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제 및 통일신라의 지방지배와 영산강유역 - 나주지역 편제를 중심으로 - = Naju Region’s Position 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of Baekje and Unified Silla and Yeongsangang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9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6세기 중엽경 백제가 5방제를 실시한 이후부터 신라 통일기에 이 르기까지 나주지역에 대한 편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7세기 초 나주 일대의 중심지는 郡治인 豆肹城이 있었던 현재의 다시면 복암 리 일대였으며, 웅진도독부의 7주체제에서도 竹軍城(豆肹城)은 대방주의 州治였 다. 두힐성은 백제 멸망시까지, 또 웅진도독부 체제 하에서도 중심지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복암리 출토 목간을 통해 호구의 집계, 토지 보유 및 생산량의 파악, 군 단위 내의 행정명령의 전달체계 등 6~7세기 지방행정을 파악할 수 있 다.
      신라 통일 이후에는 백제 때나 도독부 시기와는 달리 豆肹縣의 위상을 격하시 켜 發羅郡 예하에 배치하였다. 또한 종래 『삼국사기』 지리지 3의 무주조의 기사 를 근거로 백제 때의 半那夫里縣이 신라통일기에 潘南郡으로 승격되었다고 본 것 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三國史記』 지리지 4 백제조의 147개의 주군현명에는 ‘半那夫里縣’으로 되어 있고, 지리지 3에는 반남군이 영암군을 가로질러 昆湄縣 (영암군 미암면)을 영현으로 거느리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반남군을 반남 현으로 수정하여 영암군의 영현으로 본다면, 지리지 3의 武州의 군현수도 15군 43현이 아니라 14군 44현이 되어 신라본기 경덕왕 16년(757)조의 개명 기사에 나오는 군현수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6세기 중엽경 백제가 5방제를 실시한 이후부터 신라 통일기에 이 르기까지 나주지역에 대한 편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7세기 초 나주 일대의 중심지는 郡治인 ...

      본고에서는 6세기 중엽경 백제가 5방제를 실시한 이후부터 신라 통일기에 이 르기까지 나주지역에 대한 편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7세기 초 나주 일대의 중심지는 郡治인 豆肹城이 있었던 현재의 다시면 복암 리 일대였으며, 웅진도독부의 7주체제에서도 竹軍城(豆肹城)은 대방주의 州治였 다. 두힐성은 백제 멸망시까지, 또 웅진도독부 체제 하에서도 중심지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복암리 출토 목간을 통해 호구의 집계, 토지 보유 및 생산량의 파악, 군 단위 내의 행정명령의 전달체계 등 6~7세기 지방행정을 파악할 수 있 다.
      신라 통일 이후에는 백제 때나 도독부 시기와는 달리 豆肹縣의 위상을 격하시 켜 發羅郡 예하에 배치하였다. 또한 종래 『삼국사기』 지리지 3의 무주조의 기사 를 근거로 백제 때의 半那夫里縣이 신라통일기에 潘南郡으로 승격되었다고 본 것 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三國史記』 지리지 4 백제조의 147개의 주군현명에는 ‘半那夫里縣’으로 되어 있고, 지리지 3에는 반남군이 영암군을 가로질러 昆湄縣 (영암군 미암면)을 영현으로 거느리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반남군을 반남 현으로 수정하여 영암군의 영현으로 본다면, 지리지 3의 武州의 군현수도 15군 43현이 아니라 14군 44현이 되어 신라본기 경덕왕 16년(757)조의 개명 기사에 나오는 군현수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aju region was assigned 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from the mid-6th century, when Baekje implemented the five-Bang System, to the period when Silla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center of the Naju region was the current area of ​​Bokam-ri, Dashi-myeon, where Duhil-seong,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apital, was located. In the 7-ju system of the Ungjin-dodokbu, Jukgun-seong (Duhil-seong) was also the regional capital of Daebang-ju. Duhil-seong served as the center not only until the fall of Baekje but also under the Ungjin-dodokbu system. Through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Bokam-ri, we can fathom the status of local administration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such as household statistics, land ownership and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administrative order transmission system with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of Silla, unlike the Baekje period and the Ungjin-dodokbu period, the status of Duhil-hyeon was lowered and placed under Bala-gun. The previous view that Bannaburi-hyeon of Baekje was promoted to Bannam-gun during the unification of Silla needs to be reexamined. In the Geography 4 Baekje section of the Samguksagi, it is written as ‘Bannaburi-hyeon’, and in Geography 3, Bannam-gun is written as crossing Yeongam-gun and governing Gonmi-hyeon (Miam-myeon, Yeongam-gun) as affiliated hyeon. If we correct Bannam-gun as Bannam-hyeon, and considered it Yeongam-gun’s affiliated hyeon, the number of Guns and Hyeons in Muju in Geography 3 becomes 14 Guns and 44 Hyeon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number of Guns and Hyeon in the article on the renaming of the 16th year (757) of King Gyeongdeok of Silla’s Annals.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aju region was assigned 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from the mid-6th century, when Baekje implemented the five-Bang System, to the period when Silla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aju region was assigned 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from the mid-6th century, when Baekje implemented the five-Bang System, to the period when Silla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center of the Naju region was the current area of ​​Bokam-ri, Dashi-myeon, where Duhil-seong,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apital, was located. In the 7-ju system of the Ungjin-dodokbu, Jukgun-seong (Duhil-seong) was also the regional capital of Daebang-ju. Duhil-seong served as the center not only until the fall of Baekje but also under the Ungjin-dodokbu system. Through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Bokam-ri, we can fathom the status of local administration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such as household statistics, land ownership and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administrative order transmission system with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of Silla, unlike the Baekje period and the Ungjin-dodokbu period, the status of Duhil-hyeon was lowered and placed under Bala-gun. The previous view that Bannaburi-hyeon of Baekje was promoted to Bannam-gun during the unification of Silla needs to be reexamined. In the Geography 4 Baekje section of the Samguksagi, it is written as ‘Bannaburi-hyeon’, and in Geography 3, Bannam-gun is written as crossing Yeongam-gun and governing Gonmi-hyeon (Miam-myeon, Yeongam-gun) as affiliated hyeon. If we correct Bannam-gun as Bannam-hyeon, and considered it Yeongam-gun’s affiliated hyeon, the number of Guns and Hyeons in Muju in Geography 3 becomes 14 Guns and 44 Hyeon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number of Guns and Hyeon in the article on the renaming of the 16th year (757) of King Gyeongdeok of Silla’s Anna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