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상진, "다층모형", 서울:학지사, 2016
2 허명회, "고급 통계학 특강Ⅰ", 서울: 데이터솔루션, 2015
3 김영철, "학급규모의 교육효과", 교육방법연구, 15(2), 57-77, 2003
4 강태중, "학업성취도의 지역차이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8(2), 315- 344, 2007
5 곽수란, "학교특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47(3), 93-120, 2009
6 김재철, "중학교 남녀공학의 교육적 효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21(1), 149-174, 2008
7 김명숙, 이해영, 양길석, 부재율, 박정, "국가수준 교육성취 도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1998-8, 1998
8 김경애, 정광희, 장성태, 이지영, 류방란, 김성식, "중학교 학생의 학 업 유형과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TR2017-70, 2014
9 이지영, "중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3
10 김태영, 이유진, "중학생의 영어 학습동기 및 성취도 변화", 한국교육 문제연구, 30(2), 263-279, 2012
11 강호수, 김양분, "중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관련 요인 탐색", 한국교육, 4 4(1), 33-61, 2017
12 김경희,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사 효과 탐색", 교육평가연구, 2 2(4), 961-986, 2009
13 박수정, 황은희, "교장공모제 학교의 학업성취도와 특성분석", 한국교 원교육연구, 28(2), 313-340, 2011
14 박아청, "청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단계의 특성분석", 교육심리연구, 1 8(1), 301-312, 2004
15 이아진, "학급규모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 제연구, 26(1), 1-26, 2017
16 김범주, "학생의 시민의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9(2), 561-580, 2019
17 김미림, 한정아, 손윤희, 서민희, 김완수, "2019년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 : 중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20-24-1, 2020
18 유진은, "반복측정데이터를 다루는 교육연구 실태분석", 열린교육연구, 2 2(4), 119-138, 2014
19 유진은, 이지아, "Elastic net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관련 변수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20(1), 149-172, 2019
20 김성식, 임현정, 이규민, 신혜숙, 반재천, 박희진, 남궁지영, 김종민, 김양분, "한국교육종단연구(KELS)2013(I)-조사개요보고서-.", 한국교 육개발원 기술보고 TR 2013-84, 2013
21 김성식, 류방란, "교육격차: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 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2014-01, 2006
22 박민호, 조성경, 정동욱, 이진실, 박현정, "서울시 초중등 교육의 교육격차 구조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1(4), 149-174, 2013
23 김성식, 송혜정, "학교특성에 따른 사교육참여와 효과 차이 분석", 교 육평가연구, 26(5), 1187-1215, 2013
24 최필선, 민인식,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대졸자 취업 예측 모형", 직업능력개발연구, 21(1), 31-54, 2018
25 김소영, "수준별 교육과정(이동수업) 운영의 효과성 탐색", 아시아교육 연구, 12(2), 135-158, 2011
26 김지은, 정동욱, 양찬주, 문찬주, 남인혜, 나윤진, "학교내 교사 자율성 의 학업 성취제고 효과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5), 219-245, 2018
27 이은하, 최은정, "정의적 특성과 국어학업성취도의 종단관계 연구", 국 어교육학연구, 50(2), 270-307, 2015
28 김정숙, 백병부, "학교 내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격차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2(1), 221-249, 2014
29 김난옥, 김양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53(3). 31-60, 2015
30 고장완, 임천순, 이수정, 이광현, 김진영, "교육재정과 학교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0(4), 171-188, 2011
31 김원경, 김현주,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종단적 추이 분석", 수학교육, 55(4), 447-465, 2016
32 강호수, 최인희, 최보미, 이영주, 이규민, 송승원, 박경호, 남궁지영, 김양분, 김미숙, "2016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Ⅳ): 조사개요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기술보고 TR 2016-55-01, 2016
33 김경근, 장희원, 연보라,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영향요인 및 그 함의", 교육사회학연구, 24(2), 1-29, 2014
34 서민원, "수업효과의 측정변인으로서 학습시간: 쟁점과 과제.", 황정규 (편). 현대교육심리학의 쟁점과 전망 (pp. 319-342) 서울: 교육과 학사, 2000
35 김안나, 한세리, "학교와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51-73, 2016
36 김완수, 정혜경, 박인용,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집설계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2(1), 55-75, 2019
37 김창원, "기획논문 :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본질과 제 문제", 국어 교육, 134, 1-33, 2011
38 엄준용, 유미경, "중학교 기초학력 성취도 차이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3(2), 97-126, 2016
39 손원숙, 신이나, "학업동기 프로파일의 잠재적 변화: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학연구, 54(3), 177-199, 2016
40 김근화, 김정숙, 김정민, 김일혁, "학교교육 내 선행학습 유발 요인 분석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OR 2013-11, 2013
41 김은영, 한유경, 윤수경, "학교장 성별에 따른 중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3), 329-350, 2011
42 김민석, 이길재, 김영식,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고교생의 독서활동 예측 요인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8(4), 137-156, 2019
43 장지현,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영어 에세이 자동채점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44 김나경, 이상민, "자유학년제 영어 수업 효과성에 대한 중학생의 인 식 조사", 외국어교육연구, 33(2), 161-187, 2019
45 구슬기, 박인용, 김완수, 김성은, "학교 학업성취 연도별 변화에 미치 는 교육 맥락 변인분석", 교육평가연구, 28(5), 1447-1471, 2015
46 김경근, 장희원,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영향 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3), 175-196, 2015
47 김경애, 류방란, "중학생의 수업 참여 양상: A중학교 학생들 사례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6(3), 719749, 2018
48 김성숙, 이현숙, 송미영, 김준엽, "학교교육개선을 위한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 결정요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4(2), 261-289, 2011
49 김성숙, 최인봉, 송미영, 박서홍, 김희경, 김진화, 김성훈,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분석결과: 중학교3학년",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0-7-3, 2010
50 구자옥, 임현정, 임해미, 송미영, 박혜영,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성 별에 따른 학업성취 영향요인 비교", 교육과학연구, 46(4), 99-122, 2015
51 김정아, 남궁지영, "중학생의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 계층분류 및 영 향 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56(1), 219-244, 2018
52 박현정, 하여진, "PISA 읽기소양 우수 및 취약집단 학생들에 대한 결 정요인 변화", 교육평가연구, 24(4), 921-942, 2011
53 정혜원, 원정은, 박소영,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9(2), 185-215, 2018
54 목진형, "결측값 대체와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이용한 패혈증 자료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55 김경애, 한은정, 최한나, 조은주, 정미경, 정광희, 임종헌, 이선영, 선혜연, "중학생의 성장과정 분석: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중심으 로(Ⅳ)",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9-01, 2019
56 김양분, 최유리, 임현정, 이규민, 송승원, 박미리, 박경호, 남궁지영, 김혜자, 김진아, "2017 한국교육종단연구–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Ⅴ): 조사개요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기술보고 TR2017-70, 2017
57 유진은, "랜덤 포레스트: 의사결정나무의 대안으로서의 데이터 마이닝 기법", 교육평가연구, 28(2), 427-448, 2015
58 김광주, 이효정, 김성훈,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률에 미치는 학교 환경과 교장공모제의 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21(1), 173-195, 2018
59 노민정, 유진은, "Group lasso를 통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는 변수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28(1), 127-149, 2017
60 김성일, 정윤경, 이민혜, 우연경, 봉미미, "사교육 시간에 따른 학습 동기, 학습전략사용 및 학업성취도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문 화 및 사회문제, 16(2), 103-124, 2010
61 김성숙, 박정, 박도영, "중학교 수학 과학 성취도에 대한 학교-학생수 준 배경변인들의 효과", 교육평가연구, 14(1), 127-149, 2001
62 김아영, 전혜원, 임인혜 , 이명희, 이다솜, "청소년이 지각하는 유능감 및 관계성과 비행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1(4), 945-967, 2007
63 김석우, 이승배, 김성숙, "학교장의 학교운영이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교육평가연구, 28(1), 141-162, 2015
64 김성식, 오범호, 김준엽, "한국교육종단연구2005(VI): 대학 이후 및 신 규 코호트 조사 설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0-24 -2, 2010
65 박순흥, 한기순, "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 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3(1), 49-65, 2013
66 원효현, 이원석, "학교급에 따른 학업성취에 대한 성취 목표 및 자 기조절 학습의 역할", 교육평가연구, 26(5), 1143-1164, 2013
67 김동호, 라종민, "청소년기 자아개념의 학년별, 성별차이와 학업성취도 와의 관계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48, 49-73, 2015
68 김성식, 류방란,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가정 배경, 학생 노력, 학교 경험의 영향력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8(2), 31-51, 2008
69 이선영, 임혜정, "가정배경이 국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4∼ 고3 시기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52, 53-71, 2020
70 김석우, 서원석, "다층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 치는 학교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199-226, 2020
71 권나영, 김상훈, "학습보조교사 활동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교육연구, 70, 29-58, 2017
72 윤미선, "중학생의 영어 교과 유능감 및 학습동기 발달경향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17(1), 294-320, 2011
73 박현정, 이진실, 석유미, "중학교에서의 학업탄력성 추이 분석 및 학 교 수준에서의 영향 요인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7(4), 193-213, 2016
74 민병철, 박소영, "'참된 교수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교육, 35(4), 131-151, 2008
75 김미림, 박민호,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대학생의 최초 취업 사교육참여 시점별 특성 분석", 교육연구논총, 40(1), 1-33, 2019
76 이지수, 임선아, "부모의 학업지원과 교과별 자기효능감 간의 자기 회귀교차지연 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9(4), 699-717, 2015
77 김경희, 이현숙, 신진아 ,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 변인 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6(2), 477-506, 2013
78 권정아, 최형권, 정종식, 정송희, 정미순, 이정은, 성춘영, 박지혜, 박성희, 김경성, "한국교육종단연구(KELS)2013(Ⅲ): 중학교 학업 성취검사 개발 및 수직연계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 구보고 TR 2015-96, 2015
79 임해미,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 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26(4), 701-714, 2016
80 김미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탐색: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6(2), 19-47, 2019
81 김민성, 허유성, 송경오,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 한 초․중․고 학교급별 비교분석", 교과교육연구, 33(1), 83-104, 2012
82 김난옥, 이빛나, 손원숙 , 박민애,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와 변화 양상: 다차원 수업참여 모형", 교육평가연구, 31 (1), 201-224, 2018
83 문병상, "청소년들의 미래목표인식, 자기조절학습전략, 학업성취도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6(4), 983-1000, 2012
84 김양분, 최유리, 임현정, 송승원, 박미리, 박경호, 남궁지영, 김혜자, 김진아, 김정아, "2017 한국교육종단연구 -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중 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과(Ⅱ)",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7-15, 2018
85 김아름, 정혜원, 박소영, 김정인, "청소년의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 변인 탐색: PISA 2018 한국 핀란드 국제비교", 교육과정평가연 구, 24(1), 123-152, 2021
86 김성은, 임현정, 시기자,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종단 데이터에 기반한 학업성취 변화유형의 판별요인탐색", 교육평가연구, 30 (1), 1-27, 2017
87 정희선, "중학생들의 목표인식과 수학학업성취도 관계에 대한 수학수 업요인의 종단매개효과", A-수학교육, 58(1), 21-39, 2019
88 정윤경, "중학생이 지각하는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업동기 및 노력, 학 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방법연구, 32(3), 383-404, 2020
89 김창환, 이수정, 민병철, 류한구, 남궁지영, 김희삼, "학업성취도, 사 교육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분석. 2008년 정책연구개발 사업", 2008년 정책연구개발 사업. 교육과학기술부, 2009
90 박남수, 박서홍,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개념과 부모의 교육기대수준 에 따른 영어교과 사교육 효과 분석", 미래교육연구, 23(1), 35-56, 2010
91 김미림, 황은희, 유예림,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영향 요인 분석: 중학교와 고등학교시기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3 1(2), 205-233, 2020
92 김영화, 박현진, "“가정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영어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0(4), 55-82, 2010
93 임혜정, "중학생의 수학수업태도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분석: 혁신학 교와 일반학교 차이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4(4), 1075-1104, 2016
94 김주후,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경 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7(1), 27-56, 2017
95 박민호, 손윤희, 박현정,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읽기소양 수준에 따 른 집단 결정 요인 분석: PISA 2018 데이터를 중심으로", 아시아 교육연구, 21(1), 191-215, 2020
96 권순보 , 함은혜, 유진은, 박빛나, "부모-자녀간의 부모지원에 대한 인식차가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영향: 잠재성장모형분석", 교육학연구, 58(1), 33-60, 2020
97 김갑성, 오휘정,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 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9(16), 23-38, 2019
98 이상빈, 최숙기, "중학생의 국어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변인에 대한 다층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청람어문교 육, 69, 225-263, 2019
99 이현주, 차윤경,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이주배경 여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3 (1), 59-90, 2020
100 주철안, 홍창남, 이쌍철, 박상욱, "학교조직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학교 조직진단 영역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3(2), 57-80, 2012
101 김진희, "중학생의 국어 교과 태도와 국어교사의 수업 능력에 대한 인식이 국어 성취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교육연구, 79, 35-53, 2020
102 김민성, 신택수, "중학생이 지각한학교의 심리적환경과 자기결정성,학 습노력, 학업성취, 학교만족도의 인과관계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 (3), 43-70, 2010
103 김수지, 정제영, 이희숙,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 - 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53-75, 2014
104 김석우, 장재혁, 서원석,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연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교육 문화연구, 26(2), 625-649, 2020
105 성기선,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서울시중학생 1988년과 2007년 비교-", 교육사회학연구, 20(3), 83-103, 2010
106 오병돈, 차종천, "교육열망과 학습참여가 학업성취의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공교육, 사교육,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비교분석", 아시아교육 연구, 13(4), 417-441, 2012
107 이영조, "혼합효과모형의 리뷰. 응용통계연구, 28(2), 123-136. 이우열(2020). 실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선형 혼합효과 모형", 한국심리학회 지: 인지 및 생물, 32(2), 197-212, 2015
108 김경희, 한정아, 시기자, 상경아, 김수진, 김성숙, "수학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와 P ISA 연계 데이터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8, 2015
109 김연경, 조시정, 양혜원, 백순근, 남나라, "TALIS 2018 자료를 활용 한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측 요인 탐색: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7(3), 33-63, 2020
110 Yi Jiang, 송주연, 김성일, "학교급과 지각된 유능감 수준에 따른 영어교과 수업참여와 학업성취에 대한 흥미와 유용성의 상대적 예측력 비교", 교육심리연구, 27(4), 911-933, 2013
111 구남욱, 조성민, 이인화, 이신영, 이소연, "PISA 2018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 특성 분석: 성취수준별 특성 및 학업탄력 성이 있는 학생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20-7, 2020
112 김은정, 최문홍, "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평가와 자기효능감이 중학 생의 영어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종단적 관계 변화를 중심으 로", 인문사회 21, 11(2), 1733-1745, 2020
113 강상진, 신다정, 봉미미, 박진현, "중학교 수학에서 성취목표, 자기효 능감,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비적응적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설 명 및 상호작용 검증", 교육방법연구, 31(1), 67-95, 2019
114 김희경, 한정아, "중학교 학생의 국어, 수학 학업 성취프로파일에 영 향을 미치는 비인지적 특성 탐색: 인지진단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 의 활용", 교육평가연구, 31(1), 1-27, 2018
115 김종백, 김준엽, "학업성취 관련 요인과 자아개념을 매개로 한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관여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종단 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3(2), 389-412, 2009
116 박매란, 송지은,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 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351-371, 2020
117 남나라, 백순근, "혼합효과 랜덤포레스트 모형을 적용한 학업성취도 예측 요인 탐색: KELS2013 자료를 중심으로. 제 14회 한국교육종 단연구 학술대회",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RM 2020-08, 2020
118 김영란, 장봉기, "국어과 학습 관련 정의적 요소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자아 효능감, 흥미, 가치 인식과 수업 몰입, 학업성취 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44, 431-464, 2014
119 김용대, 최호식, 송종우, 박창이, 김진석, "R을 이용한 데이터마이닝 (개정판). 서울: 교우사. 박현정(2008).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 - PISA2006을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1(3), 43-67, 2013
120 황정규, "21세기 학교교육, 학력, 그리고 평가연구. 2001년도 국가수 준 교육성취도 평가연구 학술세미나「21세기 우리나라 학교교육 에서 길러야 할 학력의 성격」데이터집", 한국교육개발원 3-12,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