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재비행은 예방과 교정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 재비행 심리경험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재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57170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9
학위논문(박사)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가족심리상담전공 , 2019
2019
한국어
186.3 판사항(6)
616.89 판사항(23)
서울
vii, 196 p. ; 26 cm
지도교수: 변상해
권말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 재비행은 예방과 교정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 재비행 심리경험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재비...
청소년 재비행은 예방과 교정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 재비행 심리경험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재비행 심리에 대한 개별적인 경험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 현상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2018년 12월부터 2019년 4월까지 C 보호관찰소의 협조를 통해 소년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선정된 청소년 중 연구에 동의한 청소년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청소년들과 일대일 반구조화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녹음된 자료를 직접 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해석 현상학적 분석 단계를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을 통해 ‘이른 독립’, ‘심리적 공간의 결핍’, ‘정체성 형성’의 상위주제, 7개의 주요주제, 14개의 하위주제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비행의 배경 요인의 상위주제는 ‘이른 독립’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구조적인 폭력 속에서 안아주지 못하는 환경을 경험하였으며, 미지의 세계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이른 독립을 하게 되었다.
둘째, 재비행의 심리적 요인의 상위주제는 ‘심리적 공간의 결핍’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재비행 이전 자기중심적인 태도로 비행을 합리화하고, 자신의 욕구를 담아두기 어려웠으며, 충동적인 행위 뒤에 느껴지는 죄책감을 방어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이들은 재비행을 통해 우월성 확보, 어른의 지위를 획득하는 이차적 이득을 경험하였다. 이들의 심리경험은 자기를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심리적 공간의 결핍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셋째, 탈비행 요인의 상위주제는 ‘정체성 형성’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지금 여기의 정서적 접촉과 긍정적인 자기 조망을 통해 자기와의 실존적 만남을 경험하였다. 이들은 자기와 세계와의 관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사회질서를 수용하고,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미래를 꿈꾸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재비행 심리경험의 본질이 부정적인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이른 독립과 새로운 정체성 형성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재비행 청소년들의 심리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재비행 예방과 교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박인철, "에드문트 후설", 서울: 살림, 2013
2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 이남인, "현상학적 사회학", 철학과 현상학 연구, 33, 5-39, 2007
4 문준섭, 황성현, 이창한, 이완희, "한국청소년비행학", 경기: 피앤씨 미디어, 2017
5 김정환, "독일 청소년보호법", 법학논총, 21(2), 393-422, 2009
6 김동욱, "철학에서 무관심성", 철학논총, 92, 1-21, 2018
7 박인철, "현상학과 감성교육", 철학, 129, 177-204, 2016
8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서울: 이유, 2003
9 권이종, 김용구, "청소년이해론 (제3판)", 교육과학사, 2016
10 염건령, 최영인, "합리적 범죄선택이론", 서울: 백산, 2005
1 박인철, "에드문트 후설", 서울: 살림, 2013
2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 이남인, "현상학적 사회학", 철학과 현상학 연구, 33, 5-39, 2007
4 문준섭, 황성현, 이창한, 이완희, "한국청소년비행학", 경기: 피앤씨 미디어, 2017
5 김정환, "독일 청소년보호법", 법학논총, 21(2), 393-422, 2009
6 김동욱, "철학에서 무관심성", 철학논총, 92, 1-21, 2018
7 박인철, "현상학과 감성교육", 철학, 129, 177-204, 2016
8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서울: 이유, 2003
9 권이종, 김용구, "청소년이해론 (제3판)", 교육과학사, 2016
10 염건령, 최영인, "합리적 범죄선택이론", 서울: 백산, 2005
11 양해림, "『현대 해석학 강의』", 서울: 집문당, 2011
12 윤선구, "아도르노 부정 변증법", 철학 사상 별책, 7-21, 2006
13 박승억, "현상학-체험의 기하학?", 철학과 현상학 연구, 31, 35-55, 2006
14 임종렬, "대상중심이론 가족상담", 서울: 한국가족복지연구소, 2001
15 오덕원, "전환장애의 치료와 관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4(2), 77-88, 1997
16 이희연, "청소년기 탈비행화 과정", 한국청소년연구, 16(1), 383-419, 2005
17 변상해, "꽃보다 아름다운 부부상담", 경기도: 한국 청소년 보호재 단, 2015
18 박영규, "현행 보호관찰제도의 과제", 소년보호연구, 30(3), 35-62, 2017
19 원승룡, "현상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32, 395-426, 1993
20 이성환, "물음의 현상학, 무의 존재론", 철학논총, 69, 227-251, 2012
21 강경래, "미국소년사법의 새로운 전개", 소년보호연구, 31(1), 1-34, 2018
22 고유라, "신체증상장애의 이해와 접근", 스트레스연구, 25(4), 213-219, 2017
23 김준범, 최장원, 장대연, 서정열, "청소년의 중비행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7-51, 2018
24 유서구, "가출팸 경험과 비행행동의 차이", 비판사회정책, 54, 52-80, 2017
25 강경래, "소년법 개정논의의 정당성 검토", 소년보호연구, 30(4), 1-42, 2017
26 권해수, 윤일홍, "청소년 탈비행 과정에 관한 고찰", 형사정책연구, 26(4), 185-212, 2015
27 곽병선, "중국의 소년법제와 소년범죄현황", 법학연구, 40, 155-176, 2010
28 최종식, "일본 소년법개정의 최근 동향 (Ⅱ)", 강원법학, 13, 151-167, 2001
29 이상문, "청소년 비행 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4(3), 221-258, 2013
30 정익중, "청소년비행 발달궤적의 다양한 유형", 한국청소년연구, 20(3), 253-280, 2009
31 고제원, 이민희, 이규호,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별 PAI프로파일", 법학연구, 39, 157-176, 2010
32 김병배, 이수정, 양은경, "소년범 재범위험요인에서의 성차연구", 한 국심리학회지: 여성, 23(1), 111-125, 2018
33 김광수, 임은미, 오영희, 방기연, 박승민, "근거이론접근을 활용한 상 담 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2012
34 오윤성, "지존파 사건에 대한 범죄사회학적 고찰", 한국경찰학회 보, 7, 151-180, 2004
35 박서현,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에 대하여.”", 철학, 101, 57-84, 2009
36 송영지, 최송식, "청소년기 재비행 후 적응과정에서의 경험", 청소 년상담연구, 24(1), 65-88, 2016
37 하영진,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 21, 7(6), 195-210, 2016
38 김애령,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탈경계 인문 학, 2(1), 231-257, 2009
39 박성희, "상담학 연구방법론의 패러다임과 분석방법", 한국심리학 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8(1), 201-235, 1996
40 박기령, 최중진, "청소년 레질리언스 (resilience) 연구 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0), 451-478, 2016
41 권석만, 박선영,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741-768, 2012
42 이소희, "후기 메를로 퐁티의 살의 존재론에서 본 세계", 철학과 현상학 연구, 40, 181-204, 2009
43 신윤오, 홍성도, 이현정, 이원태, 안동현, "비행청소년들의 충동성 과 뇌기능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4, 604-611, 2005
44 Winnicott, D., "W Playing and Reality. 이재훈 옮김(1997). 놀이 와 현실",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71
45 류준혁, 홍태경,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청소년 비행요인의 비교분 석", 한국치안행정논집, 8(3), 113-138, 2011
46 이철, "순응자 일탈에 대한 중화기술의 영향에 관한 연구", 형사정 책연구, 243-278, 2008
47 윤희진, 이혜지, 이수정,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비행 위험성에 미 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2), 41-56, 2015
48 민수홍,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청 소년학연구, 13(6), 27-47, 2006
49 권애경, 임은미, "공격성의 발현 및 통합에 대한 대상관계이론의 설명", 교육문제연구, 15(1), 65-85, 2010
50 김지영, 전영실, 박성훈, "비행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 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76, 2015
51 박정훈, "개념과 역사-헤겔 『정신현상학]』의 체계론적 위상―", 헤겔연구, 36, 1-24, 2014
52 김경희, "고영건 한국판 베일런트 방어기제 평정 척도의 타당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2), 238-253, 2018
53 김순석, "부모와 친구의 애착이 청소년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연구, 11, 32-52, 2015
54 Bion, W. R., "Learning from experience. 윤순임 옮김(2012). 경 험에서 배우기", 서울: NUN, 1984
55 한종욱, "“청소년 사이버비행자의 사회유대요인에 관한 연구.”", 한 국경찰학회보, 3, 357-384, 2001
56 박수민, 양혜원, "청소년의 비행 과정과 경험에 대한 해석 현상학 적 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15, 125-158, 2018
57 김경화, 김태량,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비행에 미치 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628-643, 2017
58 이경호, 하상우, "해석학과 과학교육: 개념변화이론에의 함의를 중 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85-94, 2015
59 김민, 김현진,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 공격성과 비행경험에 미치 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5), 97-122, 2016
60 김태식, "재소자 재범과정에서의 심리경험,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61 신호재,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에 입각한 역사철학의 구획과 체 계", 철학과 현상학 연구, 76, 83-113, 2018
62 이상인, "스토리맵 (Story Map) 을 통한 청소년 탈비행 유형 분 석 연구", 한국범죄정보연구, 4(2), 67-80, 2018
63 박영주, 정혜경,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비행과의 관계에서 분노의 매개효과", 교정복지연구, 55, 49-69, 2018
64 박병선, 배성우,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비행의 일반긴장 이론 검증", 보건사회연구, 36(3), 270-302, 2016
65 김예성, 안재진, "사춘기 성숙시기에 따른 여자청소년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41(1), 39-63, 2015
66 김상준, 최예지, 정현석, 정유진, 유시영, 신경식, 마지영, "신경범 죄학: 뇌영상을 활용한 공격성 및 범죄 행동의 이해",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23(2), 57-62, 2016
67 김윤경, 임경희, "조기진통 임부의 조산 발생 영향요인: 전향적 코 호트 연구",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4(3), 233-242, 2018
68 임홍배, "해석학과 이데올로기 비판-가다머 하버마스 논쟁에 관한 소고", 독일어문화권연구, 20, 33-52, 2011
69 안윤숙, 정혜원, 장안식, "시설보호 비행청소년의 재범 태도에 영 향을 미치는 경로 연구", 교정연구, 26(3), 211-233, 2016
70 설민, "현상학적 지각이론과 초월론적 현상학에서 (외부) 세계의 문제", 철학사상, 59, 157-190, 2016
71 이계성, 천영훈, "정신질환 및 알코올/약물 사용 관련 범죄자에 대 한 치료적 개입", J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 3-9, 2016
72 Freud, A., "The ego and the mechanisms of defence. 김건종 옮 김(2015). 자아와 방어기제", 서울: 열린책들, 1937
73 김중곤, "청소년의 비행 발달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청소년학연구, 25(11), 259-287, 2018
74 Symington, J., Symington, N., "The clinical thinking of Wilfred Bion. 임말희 옮김(2015). 윌프레드 비온입문", 서울: NUN, 1996
75 이영식, "“사회유대의 신념요인이 사이버 불링 가해 현상에 미치 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256-262, 2016
76 민동옥, "고위험집단의 Bayley 영아발달 검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 1(1), 83-101, 2005
77 유순화,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통합에 의한 청소년 비행 예측.”", 청소년학연구, 10(4), 289-315, 2003
78 김택호, 이덕진, 박병훈, "청소년의 재비행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 적 연구-소년원생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7(1), 81-98, 2019
79 Winnicott, D., "W Deprivation and Delinquency. 이재훈, 박경애, 고승자 옮김(2001). 박탈과 비행", 서울: 한국심리치료연 구소, 1984
80 황진규, "보호관찰 청소년의 환경요인 및 보호관찰 개입과 재범과 의관계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법, 2(2), 115-133, 2011
81 주영신, "보호관찰청소년의 재범 후 삶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조 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2 노혜선, 장유미, 이수정, "비행촉발요인조사서를 통한 소년범 재범 예측 연구-생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7(4), 23-56, 2018
83 윤유석, "「표상주의, 변증법, 역사성: 헤겔의 경험 개념에 근거한 표상주의 비판」", 철학사상, 61, 217-244, 2016
84 김의철, 박영신, "청소년 비행과 성취행동: 가정환경, 귀인양식, 건강과 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4(1), 29-53, 1998
85 오현숙, "자율성을 매개로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및 주의력 결핍의 문제", 교육문화연구, 24(1), 351-372, 2018
86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 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가족과 상담, 5, 1-22, 2015
87 김성곤, "비행청소년의 가정ㆍ학교ㆍ사회 환경ㆍ개인 심리적 변인 과 재비행과의 관계", 소년보호연구, (8), 165-217, 2005
88 박찬국, "『현상학과 해석학-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 의 해석학적 현상학』", 에 대한 서평. 인문논총, 60, 303-329, 2008
89 이정덕, 장정현, "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2, 393-422, 2015
90 양순정, 조은정, 이동훈, 양하나, "교정전문가 및 교정상담자가 인 식하는 출소자의 사회재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17(7), 303-319, 2017
91 황성현, "“청소년 비행이론의 상대적인 영향력 검증: 아동 청소년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4, 225-250, 2015
92 김서정, 이성대, 염동문,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5(1), 55-75, 2013
93 최재경, "청소년비행과 부모의 양육행동 및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94 박민경,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서 사회관계의 종단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3(3), 147-177, 2017
95 이광석, "해석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의 의의와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질적연구, 14(2), 132-144, 2013
96 박지영, "상호주관적 명증의 현상학-후설을 토대로, 그리고 후설 을 넘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7 강민지, 김정호, "수용전념치료가 유방암 환자의 부정정서, 수용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 회지: 건강, 20(1), 17-34, 2015
98 이윤연, 장현아,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경계선 성격 성향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정서 행동장 애연구, 32(3), 241-255, 2016
99 김소은, 정익중, 정수정,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초등학교 시기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9(6), 15-25, 2018
100 박정선, 황성현, "청소년의 긴장감, 사회유대감, 비행친구와의 차별적 접촉 이 청소년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 구, 20(10), 77-94, 2013
101 손영민, "비행친구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2 박천영,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9
103 변상해, 유상현, "중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스마트 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우울, 특성분노의 매개효과", 상담 학연구, 19(6), 251-266, 2018
104 Flowers, P., Smith, J. A., Larkin, M.,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ory, method and research. 김미영, 이광석 옮김(2015). 해석 현상학적 분 석", 서울: 하누리, 2009
105 김주희, "비행 여자 청소년의 비행 발현 과정과 재비행 요인 탐색 -근거이론을 활용한 질적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6 홍봉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또래압력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정서적지지의 조절효 과", 교정연구, 28(3), 137-168, 2018
107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rach Design (3rd Ed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2015).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13
108 김준범, 정지영, "성장기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격성과 학교부적응의 순차적 매개 효과 검증", 교정복지연구, 49, 1-30, 2017
109 김재철, 이동엽, "청소년 비행의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 및 예측요인 탐색: 청소년의 자아인식, 정서문제, 친구요 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25, 74-99, 2017
110 Hans-Georg Gadamer, "Wahrheit und Methode: Grundz 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Gesammelte Werke Bd.1, T bingen: J.C.B. Mohr, 임홍배 옮김 (2016). 진리와 방법, 제2권", 서울: 문학동네, 1990
111 배성만, "긴장요인, 사회유대, 자기통제, 인터넷 사용 및 오프라인 비행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위계적 선 형 모형을 통한 4 년 종단자료 분석", 상담학연구, 17(6), 381-394, 2016
112 Robinson, P. J., Strosahl, K. D., "In This Moment: Five Steps to Transcending Stress Using Mindfulness and Neuroscience. 변상해, 최연희 옮김(2019). 지금 이 순간 마음챙김: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5가지 마음챙김 스킬", 서울: 학현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