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라 적석목곽묘 상장의례 연구 = A study on funeral rites of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of Silla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ncient time, it is believed that a soul of deceased person might encounter numerous obstacles to reach to the after world that there was a need for certain ceremony for formality in order to overcome such obstacles and it is referred to as the...

      In the ancient time, it is believed that a soul of deceased person might encounter numerous obstacles to reach to the after world that there was a need for certain ceremony for formality in order to overcome such obstacles and it is referred to as the burial ceremony.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burial ceremony undertaken in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of Silla Dynasty. When looking at the construction activities of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it is considered as the symbolic outcome of the suggestive action and the ceremonial conception is reflected in all elements of the tomb. The burial ceremony intended to discuss in this thesis means various ceremonies held prior to place the deceased in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a number of burial ceremonie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deceased and constructing the ancient tomb, and comprehensive review on the memorial rites held around the mound or tombstone after completing the ancient tomb. Therefore, by figuring out the types of buried relics, burial pattern and implication of burial as confirmed for each construction phase of the ancient tomb, the respective ceremonial action is to be restored and further review for formation of ceremonies emerged through such effort. In addition, it is also deemed to take a look at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of ceremonies held depending on the hierarchy of each ancient tomb, and this is attributable to recognize the expert group to construct the ancient tomb and take a look at the norm or social agreement following the foregoing.
      The funeral parlor made prior to place the deceased person to the burial site has been seen through various metal containers and earthenware buried inside the relic box installed at the head side of the deceased person. By thoroughly finding out the combined image of relics, burial location and so forth as confirmed in the burial box, it is restored the dining table for ancestral rituals, such as, funeral parlor or perpetual placement, for the buried person. As a result, several units of buried relic groups were found out from the burial box, and such a group phenomenon would be presented as various ceremonial devised used in a number of funeral parlors, namely, funeral parlor, road ritual, ritual for funeral procession, perpetual placement and so forth that were made prior to place the deceased in the burial site.
      The burial ceremony is restored by analyzing the types of relics confirmed at the phase of constructing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of excavating relics and characteristics of buried relics, the characteristics of remaining items, ceremonial goods, religious items, food contribution and so forth for the buried person have to be considered.
      The tomb ritual includes various memorial ceremonies held after completing the ancient tomb that it is available to consider in details through various ceremonial relics emerged from Jjoksam Tomb No. 44 and in the process of re-discovery of Geumryeongchong.
      It has taken a look at the formation of ceremonies following the hierarchy of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detailed outcomes of such burial ceremony. Common ceremonies carried out from a number of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were the memorial ceremony relate to funeral parlor, perpetual placement and the frequency of such a memorial seemed to differ depending on the hierarchy. And, it is common to find that the ceremonies were carried out from the stone mound part that the Juchil ceremony and food contribution are seemed to be mostly made. The ceremony processed in the stone mound part may be considered as the ceremony related to the buried person, but it may also be contemplated as the ceremony hel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ncient tomb.
      The ritual ceremonies held at the ancient tomb are differentially made following the hierarchy of the buried person, and the higher the hierarchy, the more differences in terms of type and quantity of outfits and related items, boxes containing the relics and relics around the buried person, and there is a complicated characteristic in displaying the ritual ceremonies related to various ritual items used in the funeral march and ceremonies related to the heavily religious incantation.
      When looking comprehensively on such differences and trend of buried relics, the ritual ceremony made in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mound of Silla Dynasty is assumed to carry out by reflecting at least the system aspect, and it internally contains religious factors that seemed to stem from Taoism and local folk religion as it is similar to the Confucius burial ritual that enable to assume for having the ritual ceremonies with various views on earthly wor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연구목적과 방법 4
      • 1. 연구목적 및 방법 4
      • 2. 의례 개념정리 및 선행연구 검토 7
      • 3. 문헌자료에서 보이는 상장의례 15
      • Ⅰ. 머리말 1
      • Ⅱ. 연구목적과 방법 4
      • 1. 연구목적 및 방법 4
      • 2. 의례 개념정리 및 선행연구 검토 7
      • 3. 문헌자료에서 보이는 상장의례 15
      • Ⅲ. 적석목곽묘 의례양상과 유형설정 23
      • 1. 적석목곽묘 구조와 부장유물의 의미 23
      • 2. 상장의례의 구성과 절차 30
      • 3. 적석목곽묘에서 확인되는 상장의례 자료 검토 39
      • 4. 의례 유형설정 70
      • Ⅳ. 적석목곽묘의 빈 108
      • 1. 유물부장을 통해 본 빈(殯) 108
      • 2. 유물부장궤(칸) 내 금속용기를 통해 본 빈 의례 111
      • 3. 유물부장궤(칸) 내 토기류를 통해 본 빈 의례 128
      • 4. 피장자 염습의 흔적 149
      • Ⅴ. 적석목곽묘 축조와 장송의례 152
      • 1. 시신처리와 관곽시설 152
      • 2. 바닥정지 및 유물 부장의례 156
      • 3. 곽상부 의례 160
      • 4. 적석부 의례 162
      • 5. 봉토의례 165
      • Ⅵ. 묘제(墓祭) 170
      • 1. 고분축조 완료 후 이루어진 제사 171
      • 2. 적석목곽묘의 묘제 173
      • Ⅶ. 적석목곽묘 위계에 따른 정형 197
      • 1. 고분의 위계 검토 197
      • 2. 최상위 위계 고분의 상장의례 202
      • 3. 상위 위계 고분의 상장의례 223
      • 4. 고분의 위계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장의례 특징 231
      • Ⅷ. 맺음말 235
      • 참고문헌 238
      • Abstract 24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임효택, "「副葬鐵鋌考」", 『東義史學』2, 동의대학교 사학과, 1985

      2 김광억, 한상복, 이문웅, "『문화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9

      3 정종수, "「유교식 상례」",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국사편찬위원회, 2005

      4 권오영, "「喪葬制와 墓制」",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5 장철수, "『옛무덤의 사회사』", 웅진, 1995

      6 김용성, "「新羅 高塚의 殉葬」", 『고문화』59,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2

      7 최종규, "「積石塚 封, 槨, 殉」", 『考古學探究』9, 考古學探究會, 2011

      8 김용성, "「신라 고총의 장제」", 『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학연문화사, 2009

      9 김준식, "『加耶 橫穴式石室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9

      10 나희라,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 지식산업사, 2008

      1 임효택, "「副葬鐵鋌考」", 『東義史學』2, 동의대학교 사학과, 1985

      2 김광억, 한상복, 이문웅, "『문화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9

      3 정종수, "「유교식 상례」",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국사편찬위원회, 2005

      4 권오영, "「喪葬制와 墓制」",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5 장철수, "『옛무덤의 사회사』", 웅진, 1995

      6 김용성, "「新羅 高塚의 殉葬」", 『고문화』59,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2

      7 최종규, "「積石塚 封, 槨, 殉」", 『考古學探究』9, 考古學探究會, 2011

      8 김용성, "「신라 고총의 장제」", 『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학연문화사, 2009

      9 김준식, "『加耶 橫穴式石室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9

      10 나희라,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 지식산업사, 2008

      11 김선주, "『신라 고분문화와 여성』", 국학자료원, 2010

      12 김후련, "「고대 일본인의 장송의례」", 『비교민속학』23, 비교민속학회, p.394, 2002

      13 권오영, "「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第51回 全國歷史學大會 考古學部 發表資料輯』, 2008

      14 신인주, "「삼국시대 馬形土器 연구」", 『丹豪文化硏究』제12호, 龍仁大學校 傳統文 化硏究所, 2008

      15 홍순창, "「신라 유교사상의 재조명」",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12, 동국대학 교 신라문화연구소, 1991

      16 김용성, "『新羅의 高塚과 地域集團』", 춘추각, 1998

      17 김용성, "『신라 고분고고학의 탐색』", 진인진, 2015

      18 한옥민, "「고고자료로 본 마한 의례」", 『삼한의 신앙과 의례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국립김해박물관, 2019

      19 김은경, "「新羅古墳出土雲母의 性格」", 『韓國考古學報』第77輯, 韓國考古學會, 2010

      20 李鐘五, "『喪禮精解-전통상례의 이해』", 북스힐, 2014

      21 이성주, "「王權에 대한 考古學的 論議」", 『영남고고학회 학술워크샵』제2집, 영남고 고학회, 2012

      22 李恩碩, "『新羅 皇南大塚에 관한 硏究』", 東亞大學校 大學院 史學科碩士學位論文, 1998

      23 鄭好燮, "『高句麗 古墳의 造營과 祭義』", 高麗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2009

      24 채미하, "「신라의 凶禮 수용과 그 의미」", 『韓國思想史學』第42輯, 한국사상사학회, 2011

      25 김대욱, "『임당 고총의 축조와 그 장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6 鄭仁盛, "「韓半島 出土 (靑銅)鼎의 性格」", 『고문화』48, 1996

      27 조윤재,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變容」", 『제51회 전국역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2008

      28 김용성, "「고분으로 본 신라의 장송의례」", 『중앙고고연구』제15호, 중앙문화재연구원, 2014

      29 김동숙, "「원시와 고대의 장송의례 연구」", 『전국역사학대회 학술발표자료』, 한국고 고학회, 2008

      30 채미하,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祭禮」", 『한국고대사연구』65, 한국고대사학회, 2012

      31 양하석, "『5~6世紀 新羅 石槨甕棺墓 硏究』", 계명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2007

      32 김혁중, 정주희, "「영남지방 출토 철정 연구 시론」", 『고대 철 및 철기의 생산과 유통』, 한국철문화연구회, 2011

      33 구혜인, "『조선시대 왕실 제기(祭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 사학위논문, 2019

      34 김은경, "「영남지역 옹관묘 장송의례 연구」", 『한국고고학회 발표자료집-패널분과』, 한국고고학회, 2019

      35 金龍星, "『大邱.慶山地域 高塚古墳의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7

      36 김은경, "「三國時代 古墳出土 朱와 그 意味」", 『嶺南考古學』第61號, 嶺南考古學會, 2012

      37 김대환, "「古墳資料로 본 新羅의 國家 形成」", 『국가 형성의 고고학』, 사회평론, 2008

      38 表仁柱, "「부안 죽막동유적의 민속학적 고찰」", 『扶安 竹幕洞 祭祀遺構 硏究』개관 5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논문집, 국립전주박물관, 1994

      39 류창환, "「부장철기로 본 아라가야의 수장들」", 『중앙고고연구』제11호, 2012

      40 박보현, "『威勢品으로 본 古新羅社會의 구조』", 慶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5

      41 김동윤, "『新羅 積石木槨墓의 變遷過程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2 류준형, "「唐代 監護의 시행과 변화의 諸측면」", 『중국고중세사연구』43, 중국고중 세사학회, 2017

      43 박천수, "「考古學으로 본 古代 東亞細亞 王陵」", 『한국상고사학보』제98호, 한국상 고사학회, 2017

      44 趙榮濟, "「鳥形裝 鐵板義器考」, 『고고광장』9", 부산고고학회, 2011

      45 김대욱, "「경산 임당유적 고총 순장자의 성격」", 『민족문화논총』55, 영남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소, 2013

      46 윤호필, "『축조와 의례로 본 지석묘사회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7 朴光烈, "「新羅 瑞鳳塚과 壺衧塚의 絶對年代考」", 『韓國考古學報』41輯, 1999

      48 심현철, "「新羅 積石木槨墓의 구조와 축조공정」", 『韓國考古學報』第88輯, 한국고고 학회, 2013

      49 권용대, "「경주식 적석목곽묘의 구조복원 재고」", 『문화재』4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50 최병현, "「신라 적석목곽분의 축조기법과 전개」", 『崇實史學』第37輯, 崇實史學會, 2016

      51 길가은, "『삼국시대 경산지역 적석목곽묘 연구』", 嶺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8

      52 이한상, "「신라고분 속 외래문물의 조사와 연구」", 『중앙고고연구』제6호, 중앙문화 재연구원, 2010

      53 東朝, "「弁辰과 加耶의 鐵」, 『加耶諸國의 鐵』", 신서원, 1995

      54 노중국, "「신라 중고기 유학 사상의 수용과 확산」", 『대구사학』93, 2008

      55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제의(祭義)」", 『역사와 현실』32, 한국역사연구회, 1999

      56 성수일, 성정용, "「鐵鋌을 통해 본 古代 鐵의 生産과 流通」", 『한반도의 제철유적 종합보고서』,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57 김수민,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경주사학』38, 경주사학회, 2013

      58 김용성, "「경산 임당고총의 제의와 부장품의 의미」", 『한국 고대사 속의 경산-고대 압독국 문화 고증을 위한 학술대회 자료집』, 경산시・대구사학회, 2008

      59 김용성, 최규종,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의 새로운 이해」", 『石心鄭永和敎授 停 年退任記念 天馬考古學論叢』, 石心鄭永和敎授 停年退任記念 天馬考古學論叢 刊行委員會, 2007

      60 이상길, "『靑銅器時代 儀禮에 관한 考古學的 硏究』",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大學 院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2000

      61 김광명, 정은정, "「古代 韓國의 培墓-嶺南地域을 中心으로-」", 『야외고고학』제6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9

      62 방민규, "「고고학 자료로 본 신라 고분제사의 성격」", 『한국전통문화연구』제13권,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63 김종일, "「“계층사회와 지배자의 출현”을 넘어서」", 『韓國考古學報』第63輯, 韓國考 古學會, 2007

      64 심현철, "「新羅 積石木槨墓의 墳形과 封墳設計原理」", 『韓國考古學報』第109輯, 한 국고고학회, 2018

      65 홍보식, "「신라・가야지역 象形土器의 변화와 의미」", 『한국상고사학보』90, 한국상 고사학회, 2015

      66 김은경, "「신라고분 출토 철부(鐵釜)의 부장과 의의」", 『嶺南考古學』第71號, 嶺南 考古學會, 2015

      67 조윤재,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棺槨制度의 變容」", 『고고학』12-3호, 중부고고 학회, 2013

      68 박중환, "「백제권역 동물희생 관련 考古자료의 성격」", 『百濟文化』第47輯, 공주대 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69 한도식, "『慶州地域 新羅古墳 出土 像形土器의 檢討』", 慶州大學校 大學院 碩士學 位論文, 2000

      70 권오영, "「동아시아 문화강국 백제의 상징, 무령왕릉」", 『韓國史市民講座』44, 일조각, 2009

      71 김대환, "「신라 마립간기 왕릉의 새로운 성과와 해석」", 『한국고대사연구』제88집, 한국고대사학회, 2017

      72 김대욱, "「임당 고총 주피장자의 성격과 순장의 특징」", 『한국고대사탐구』20, 한국 고대사탐구학회, 2015

      73 권오영,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배게, 2005

      74 이한상, "「금동식리로 본 삼국시대 장송의례의 한 단면」", 『新羅史學報』20, 신라사학회, 2010

      75 이송란, "「新羅의 말信仰과 馬具裝飾」, 『美術史論壇』15", 한국미술연구소, 2002

      76 金旼柱, "「신라고분 출토 청동용기 연구」, 『고고광장』17", 부산고고학회, 2015

      77 김용성, "「신라 고총의 연대론-황남대총 남분을 중심으로」", 『신라 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학연문화사, 2009

      78 金大煥, "「新羅 高塚의 지역성과 의의」, 『新羅文化』第23輯", 동국대학교(경주캠퍼 스)신라문화연구소, 2004

      79 박종천,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국학연구』17, 한국 국학진흥원, 2010

      80 최병현, "「신라 전기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계층성과 복식군」", 『韓國考古學報』第 104輯, 韓國考古學會, 2017

      81 김동숙, "『新羅・加耶 墳墓의 祭儀遺構와 遺物에 관한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0

      82 權五榮, "「고대 한국의 喪葬儀禮」, 『韓國古代史硏究』第20卷", 한국고대사학회, 2000

      83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 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 민속원, 2012

      84 류위남, "「삼한시대 영남지역 출토 주조철부와 판상철부 연구」", 『嶺南考古學報』第 51號, 嶺南考古學會, 2009

      85 박선미, "「한반도 출토 덩이쇠[板狀鐵斧・鐵梃]의 성격과 의미」", 『白山學報』第89 號, 白山學會, 2011

      86 강원표, "『百濟 喪葬儀禮 硏究-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 學院 博士學位論文, 2016

      87 土生田純之, "「일본 고대의 상장의례」, 『한국학연구원 학술총서』12", 계명대학교한 국학연구원, 2009

      88 김재열, "「삼국시대 경주지역 고분 출토 대금구의 부장양상 검토」", 『신라사학보』 32, 신라사학회, 2014

      89 고은별, "「임당 고총 동물부장 연구 : 조류 부장 양상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 報』第106輯, 韓國考古學會, 2018

      90 황보경, "「서울・경지지역 신라 고분 부장 토기의 훼기 습속 고찰」", 『민속학연 구』제41호, 국립민속박물관, 2017

      91 李漢祥, "「新羅 熨斗의 副葬方式과 用途」, 『東亞考古論壇』創刊號", (財)忠淸文化財 硏究院, 2005

      92 金榮珉, "「伽耶地域 有刺利器의 性格과 意味」, 『伽耶의 精神世界』", 第13回 伽耶 史學術大會 발표자료집, 2007

      93 金訓熙, "「蕨手型 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 『韓國考古學報』第81輯", 韓國考古學會, 2011

      94 김대욱, "「경산 조영EⅡ-2호분으로 본 신라 지방 고총의 殯葬 가능성」", 『한국고대 사탐구』28,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95 金斗喆, "「積石木槨墓의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 『古文化』第73輯", (사)한국대 학박물관협회, 2009

      96 경주시, "『경주 대릉원 일원 고분 자료집성 및 분포조사 종 합보고서』",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8

      97 조경화, "『경주지역 古墳을 통해 본 祭義의 형태와 신라인의 죽음인식』", 安東大學 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2

      98 關根英行, "「일본의 장제(葬制)에 나타난 정화(淨化)관념」, 『일본학보』52권", 한국 일본학회, 2002

      99 김정식, "「唐 前期 官人 喪葬制度의 운용과 그 성격-賻物・護喪을 중심으로-」", 『史林』55, 수선사학회, 2016

      100 김태식, "「신선의 왕국, 도교의 사회 신라-적석목곽분과 그 시대를 중심으로」", 『문 화재』36, 2003

      101 趙胤宰, "「公州 松山里6號墳 銘文塼 판독에 대한 管見」, 『湖西考古學』第19卷", 湖 西考古學會, 2008

      102 山本孝文, "「百濟 泗沘期 石室의 設計와 築造傳統論」, 『韓國考古學報』, 第63輯", 韓國考古學會, 2007

      103 유병하, "『扶安 竹幕洞遺蹟의 海神과 祭祀 : 제사양상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考古美術史學科 碩士學位論文, 1997

      104 李漢祥, "「5~6世紀 新羅의 邊境支配方式-裝身具 分析을 중심으로-」, 『韓國史論』 33", 서울大學校 人文大學 國史學科, 1995

      105 金玟澈, "「類型과 種族性(ethnicity)에 관한 비판적 검토」, 『韓國上古史學報』第62 號", 韓國上古史學會, 2008

      106 장기명, "「낙동강 중~하류 유역 3~5세기 철기 屍臺 분묘의 분포와 지역적 상호작 용」", 『한국상고사학보』제97호, 한국상고사학회, 2017

      107 이안호더, "・스코트・허트슨저(김권구 譯), , 『과거읽기, 최근의 고고학 해석방법들』", 학연문화사, 2007

      108 金東淑, "「新羅・伽耶 墳墓의 祭義遺構와 遺物에 관한 硏究」, 『嶺南考古學』第30 號", 嶺南考古學會, 2002

      109 長友朋子, "「食事樣式으로 본 漢文化受-日本列島를 中心으로-」, 『嶺南考古學報』 45號", 嶺南考古學會, 2008

      110 이도희, "「한국 전동상 장례 중 몇 가지 의례절차의 상징성-분석심리학적 입장에 서」", 『心性硏究』20, 한국분석심리학회, 2005

      111 河大龍, "『신라 고분의 구성 정형 연구-적석목곽묘 피장자의 성격복원을 중심으로 -』", 서울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9

      112 李熙濬, "「4~5세기 신라 고분 피장자의 服飾品 着裝 定型」, 『韓國考古學報 』第 47輯", 韓國考古學會, 2002

      113 金基雄, "「古墳에서 엿볼 수 있는 新羅의 葬送儀禮」,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 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4

      114 이성주, "「貯藏儀禮와 盛饌儀禮-목곽묘의 토기부장을 통해 본 음식물 봉헌과 그 의미」", 『嶺南考古學報』70, 嶺南考古學會, 2014

      115 松永悅枝, "「고분출토 취사용기로 본 고대 한・일 장송의례의 비교」, 『嶺南考古 學』第50號", 嶺南考古學會, 2009

      116 김정열, "「산 자를 위한 죽은 이의 그릇-중국 상주(商周)시대 청동예기의 성격과 그 변화-」", 『美術史學』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117 김옥순, "「삼국시대 토기 기종조합과 사회집단의 교류양상-낙동강상류지역을 중심 으로-」", 『야외고고학』제11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1

      118 趙胤宰, "「中國 先秦・漢唐時期 藏氷, 造氷 및 冷藏遺蹟 考古資料 考察」, 『先史 와 古代』54", 韓國古代學會, 2017

      119 신창문, "『한국의 유교 상장례 전래와 정착에 관한 연구-『주자가례(朱子家禮)』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0 姜玧錫, "『新羅・伽耶古墳의 祭祀儀式에 關한 硏究-5~6世紀代 築造科程에 나타 난 樣相을 中心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9

      121 김대환, "「신라 장경호 부장 정형과 신라 토기의 확산 - ‘토기제사법’ 및 ‘양식적 선택압’의 실체-」", 『중앙고고연구』제11호,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122 尹溫植, "「嶺南地域 原三國時代 後期 祭義土器의 設定-포항지역 자료를 중심으 로」, 『韓國考古學報』第76輯", 韓國考古學會, 2010

      123 劉炳一, "「新羅・伽耶社會의 葬送儀禮에 대한 檢討-무덤출토 動物遺體를 中心으 로-」, 『韓國 古代史와 考古學-鶴山 金廷鶴博士 頌壽紀念論叢』", 學硏 文化社,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