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진단기술의 발달과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다발성 골수종의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진보된 치료방식으로 인해 환자들의 생존 기간이 연장되면서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삶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0804
서울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612 판사항(22)
서울
Effects of stress appraisal on the quality of life of adult patients and their primary family caregivers with multiple myeloma : Testing dyadic dynamics us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ⅵ, 102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윤은경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63-8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진단기술의 발달과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다발성 골수종의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진보된 치료방식으로 인해 환자들의 생존 기간이 연장되면서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삶의 ...
최근 진단기술의 발달과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다발성 골수종의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진보된 치료방식으로 인해 환자들의 생존 기간이 연장되면서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삶의 질과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은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가족의 상호의존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스트레스 평가와 삶의 질의 상호영향을 하고,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의 스트레스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일개 암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의 스트레스 평가가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대처의 상호반응모델과 커플관계모델을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고,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6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서울시 소재 일개 암병원을 방문하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여 총 10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서술적 통계와 상관관계는 SPSS 20.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적 모형의 검증은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의 스트레스 평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인 질병인식은 자신의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과는 있었지만, 주보호자의 신체건강관련 삶에 영향을 주는 상대방 효과는 없었다. 환자의 질병인식은 자신의 정신건강관련 삶에 질에 자기효과와 주보호자의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상대방 효과가 있었다. 환자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과는 있었지만, 주보호자의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상대방 효과는 없었다. 환자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있었고, 환자의 질병인식을 매개로 주보호자의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었으나, 주보호자의 정신건강관련 삶에 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상대방 효과는 없었다. 주보호자의 부담감은 자신의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과는 있었지만, 환자의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상대방 효과는 없었다. 주보호자의 부담감은 자신의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과와 환자의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상대방 효과가 있었다. 주보호자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주보호자의 부담감을 매개로 자신의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와 환자의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와 주보호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가 서로의 삶의 질인 신체건강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 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들이 함께 치료 과정을 이겨내고 상호작용을 하는 존재임을 고려할 때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주보호자를 하나의 단위 대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환자와 주보호자가 함께 참여하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이루어 졌을 때 서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더 큰 효과를 줄 것이므로, 환자의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위협적이고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시키고, 주보호자의 부담감을 줄이며, 환자와 주보호자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개발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cidence of Multiple myeloma(MM) is increasing along with rapid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Since modern treatment for MM has improved disease control and prolonged survival, maintenance of qualify of life is considered a great concern among...
The incidence of Multiple myeloma(MM) is increasing along with rapid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Since modern treatment for MM has improved disease control and prolonged survival, maintenance of qualify of life is considered a great concern among many myelom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However,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multiple myeloma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is available. Thus, this study examined dyadic associations between stress appraisal and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carers with multiple myeloma.
A total of 102 patient-caregiver dya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tress appraisal model guided the study and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was us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of participants’ stress appraisal and quality of life. The software used was SPSS 20.0 and AMOS 21.0. The stress appraisal of patients was measured using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Brief IPQ) and a modified version of a standard self-efficacy scale. The stress appraisal of caregivers was measured using a short version of the Zarit Burden Interview (ZBI) and a modified version of a standard self-efficacy scale. The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version 2(SF-36v2) was used to measur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the caregivers’ quality of life.
Data analyses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relat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patients and caregivers. Patients’ threatening view of multiple myeloma influenced patients’ own physical and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s well as caregivers’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urthermore, caregivers’ burden had detrimental effects on their own physical and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patients’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 self-efficacy of patients had positive effects on patients’ own physical and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aregivers' self-efficacy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caregivers, but indirect effect through caregivers’ burden.
Results suggest that stress cognitive appraisal plays a significant role in quality of life during the treatment experience for both patients and caregivers with multiple myeloma. Interventions designed to reconstruct positive appraisal and to improve self-efficacy should include both patients and caregiv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