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刊 『選賦抄評注解刪補』引 『楚辭』 各篇之考實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70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기에 유통된 『선부초평주해산보(選賦抄評註解刪補)』는 필사본, 관판본, 방각본 세 종류가 있다. 『선부초평주해산보』는 필사본이 먼저 유통되었다가 지방 관아에서 목판본으로 ...

      조선시기에 유통된 『선부초평주해산보(選賦抄評註解刪補)』는 필사본, 관판본, 방각본 세 종류가 있다. 『선부초평주해산보』는 필사본이 먼저 유통되었다가 지방 관아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고, 후에 또 방각본이 간행되면서 내용의 증보가 발생하였다. 『선부초평주해산보』는 『문선』 중의 부(賦) 작품들을 위주로 선별하여 수록하였고 『문선』 외에 기타 부 작품들도 추가하였다. 이 책의 관은본은 『초사(楚辭)』속의 「이소경(離騷經)」 한 편만을 수록하였고, 방각본에는 「이소경(離騷經)」 외에 또 『초사』속의 「구가(九歌)」, 「구장(九章)」, 「천문(天問)」을 더 추가하였다. 이로부터 『선부초평주해산보』는 비록 직접 『초사』를 저본으로 간행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 『초사』속의 「이소경」, 「구가」, 「구장」, 「천문」을 부 작품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사』 작품의 주해(注解)도 주희의 『초사집주(楚辭集注)』를 바탕으로 주석하였는데 조선 시기에 복각한 주희 『초사집주』양상림(楊上林) 간본을 저본으로 하여 수정하였을 것으로 본다. 『선부초평주해산보』의 주해에는 정확하고 합리적인 산삭도 있지만, 잘못된 삭감도 있다. 관판본 속의 「이소경」 주석에는 오류가 비교적 적고, 방각본 속의 「구가」, 「구장」, 「천문」의 주석에는 상대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많다. 그 외에 방각본의 「구가」, 「구장」, 「천문」 각 편은 많은 부분을 삭감하고 교감과 주음을 하였는데, 관판본 속의 「이소경」에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선시기에 간행한 『선부초평주해산보』간본은 조선시기의 『초사』의 「이소경」, 「구가」, 「구장」, 「천문」의 수용과 주희의 집주를 높이 평가하는 양상을 연구하는 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적 가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Xuanfu Chaoping Pizhu Shanbu(Deleting and Adding Commentary of Selected Works) which was circulated in Chosun era included three versions, namely written edition, offical edition and folk printed edition. This was a process of recarving, deleting and ...

      Xuanfu Chaoping Pizhu Shanbu(Deleting and Adding Commentary of Selected Works) which was circulated in Chosun era included three versions, namely written edition, offical edition and folk printed edition. This was a process of recarving, deleting and adding up for various versions, ranging from being written by hands, locally printed in official houses to being printed in the folk houses.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mainly on fu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from Wenxuan (selected proses), added other proses outside Wenxuan. The official edition only selected one prose, namly Lisao Jing from Chuci, while the folk house printed edition added Jiuge Jiuzhang, and Tianwen from Chuci. The version of Xuanfu(Selected Works)was not the same as Chuci,but both official and folk printed versions identifies Lisao Jing, Jiuge, Jiuzhang, Tianwen as a piece of fu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Besides, Xuanfu(Selected Works), whose explanatory notes were completely based on Zhuxi’s Chuci Jizhu, was likely to be deleted and added up according to Yang Shanglin’s Chuci Jizhu reprinted in Chosun era. The explanatory notes of various chapters of Chuci in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was reasonably deleted and changed, sometimes mistakenly removed. However, compared with Jiuge, Jiuzhang and Tianwen of folk printed edition, Lisao Jing of official edition contained much less commentary errors. In addition, Lisao Jing of official edition was not deleted, collated and phonetically notated in such a large quantity in every chapter as Chuci of folk printed edition. Therefore,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had important literature value not only in exploring the acceptance of Lisao 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in Chosun era, but also in canonizing Zhuxi’s anno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序言
      • 2. 『選賦抄評注解刪補』官版本引「離騷經」之考實
      • 3. 『選賦抄評注解刪補』坊刻本引「九歌」「九章」「天問」之考實
      • 4. 結語
      • 국문초록
      • 1. 序言
      • 2. 『選賦抄評注解刪補』官版本引「離騷經」之考實
      • 3. 『選賦抄評注解刪補』坊刻本引「九歌」「九章」「天問」之考實
      • 4. 結語
      • 參考文獻
      • 中文摘要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玉順, "現存韓國刊行『文選』版本考" (4, 5) : 93-, 1998

      2 朱熹, "楚辭集註, 楊上林刊本"

      3 朱熹, "楚辭集註, 掃葉山房本"

      4 朱熹, "楚辭集註, 宋端平刊本"

      5 朱熹, "楚辭集註, 古逸叢書本"

      6 吳平, "楚辭集注" 廣陵書社 2008

      7 崔富章, "楚辭書錄解題" 高等教育出版社 78-, 2010

      8 張鳳翼, "楚辭, 明刻本"

      9 張鳳翼, "文選纂註, 明刻本"

      10 蕭統, "文選" 上海古籍出版社 1986

      1 鄭玉順, "現存韓國刊行『文選』版本考" (4, 5) : 93-, 1998

      2 朱熹, "楚辭集註, 楊上林刊本"

      3 朱熹, "楚辭集註, 掃葉山房本"

      4 朱熹, "楚辭集註, 宋端平刊本"

      5 朱熹, "楚辭集註, 古逸叢書本"

      6 吳平, "楚辭集注" 廣陵書社 2008

      7 崔富章, "楚辭書錄解題" 高等教育出版社 78-, 2010

      8 張鳳翼, "楚辭, 明刻本"

      9 張鳳翼, "文選纂註, 明刻本"

      10 蕭統, "文選" 上海古籍出版社 1986

      11 朱熹, "文渊閣『四庫全書』本" 上海古籍出版社 1987

      12 蕭統, "六臣註文選" 中華書局 2012

      13 許嘉璐, "傳統語言學辭典" 河北教育出版社 484-,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