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들이 어떤 유형의 유머광고를 선호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유머광고 유형은 3개 형태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언어적 유희 선호형`이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09570
2016
Korean
유머광고 ; 제품소구 ; 소비자 ; Q 방법론 ; humor ads ; consumer ; Q methodology ; product features
KCI등재
학술저널
71-88(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들이 어떤 유형의 유머광고를 선호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유머광고 유형은 3개 형태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언어적 유희 선호형`이다.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들이 어떤 유형의 유머광고를 선호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유머광고 유형은 3개 형태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언어적 유희 선호형`이다. 이들은 광고 문구의 이중적 의미를 통해서 웃음을 얻고 재미를 느끼는 스타일이다. 이들은 광고의 모델보다는 이중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카피를 주목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제2유형은 `시각적 풍자 선호형`이다. 이들은 풍자적인 모델의 우스운 차림이나 행동을 보면서 웃음을 얻고 재미를 느끼는 스타일이다. 즉 이들은 시각적인 제품의 특성을 통해 즐거움을 갖는다. 제3유형은 `신체 패러디 선호형`이다. 이들은 속담이나 우화를 신체를 이용해 재치있게 모방하거나 패러디하여 제품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광고를 선택하였다. 즉 이들은 제품에 대한 직접소개나 기능설명에 주력하는 광고보다는 신체를 이용하여 교훈을 담아냄으로써 제품의 장점을 내세우는 광고를 선호하는 유형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ypes of consumers` preferences shown toward humor ads. The results of analyses indicated that consumers preferred 3 types of ads. The first type can be labelled as “the linguistic joy”. People belong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ypes of consumers` preferences shown toward humor ads. The results of analyses indicated that consumers preferred 3 types of ads. The first type can be labelled as “the linguistic joy”. People belonging to this type are likely to take laugh and fun from the double meanings delivered by wordings. They pay attention to words included in the ads rather than the model. In general they get fun from the translation of the wordings. The second types can be named as “the visual satire”. People of this type are likely to draw laugh and fun from the attire or behavior carried by ironic models. They get fun and thrill from the features built in the goods. The third types can be called as “the physical parody”. People in this category like the ads which highlight the advantages of the goods by using old-sayings and fables or making creative parodies. They prefer ads which use physical parodies to deliver lessons rather than ads which focus on the functions of goods.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영회, "한국적 TV 유머 광고의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5
2 남궁영, "제17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자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3) : 87-111, 2016
3 정진완, "정보처리 관점에서 살펴본 유머광고 효과 연구: 개인적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222-245, 2012
4 이광숙, "인쇄 광고의 카피 특성 분석 - 유머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인쇄학회 27 (27): 73-87, 2009
5 윤진서, "유머의 실현 방식 연구 - 코미디와 토크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5 : 175-206, 2013
6 이철영, "유머의 시각적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 : 235-244, 2009
7 이종민, "유머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개인적 상품관여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141-162, 2005
8 한창희, "유머광고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유머의 강도와 제품관련성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經營大學院 1999
9 신현희, "유머광고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3
10 김운섭, "유머 형성 요인과 반복성이 유머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신경학적 기제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0 (10): 633-662, 2009
1 구영회, "한국적 TV 유머 광고의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5
2 남궁영, "제17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자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3) : 87-111, 2016
3 정진완, "정보처리 관점에서 살펴본 유머광고 효과 연구: 개인적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222-245, 2012
4 이광숙, "인쇄 광고의 카피 특성 분석 - 유머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인쇄학회 27 (27): 73-87, 2009
5 윤진서, "유머의 실현 방식 연구 - 코미디와 토크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5 : 175-206, 2013
6 이철영, "유머의 시각적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 : 235-244, 2009
7 이종민, "유머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개인적 상품관여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141-162, 2005
8 한창희, "유머광고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유머의 강도와 제품관련성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經營大學院 1999
9 신현희, "유머광고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3
10 김운섭, "유머 형성 요인과 반복성이 유머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신경학적 기제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0 (10): 633-662, 2009
11 이시훈, "유머 및 공포소구와 레이아웃에 따른 소비자들의 시선이동: 아이트래킹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1 (21): 155-182, 2013
12 김원태, "유머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4 (14): 47-56, 2011
13 전성애, "옥외광고디자인의 시각적 유머 사례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9 (9): 99-108, 2009
14 박은영, "암환자의 귀인" 11 : 143-164, 2005
15 이화자, "스트레스 대처방안으로서의 유머광고의 유형분석:심리학적 접근" 9 (9): 207-224, 1998
16 전근영, "국내 유머 광고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언론학회 59 (59): 477-504, 2015
17 강신용, "교훈적 및 비교훈적 유머광고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10 : 4-21, 2002
18 채완, "광고의 전략과 언어 표현 기법" 언어정보연구소 15 : 87-119, 2011
19 허남일, "광고메시지의 변화와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7 (27): 429-445, 2014
20 김성찬, "광고디자인에 있어 유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8 (18): 67-77, 2015
21 박영원,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로서의유머와 그 시각적 적용에 관한 연구" 7 (7): 153-185, 1996
22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436731"
23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388623"
24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383450"
25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357545"
26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317764"
27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286757"
28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227442"
29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227442"
30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211606"
31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164190"
32 "https://www.adic.or.kr/ad/print/show.cjsp?ukey=109421"
33 "http://www.y1825m"
34 "http://www.adic.co.kr/ads/list/showTvAd.do?ukey=244945"
35 "http://www.adic.co.kr/ads/list/showNewspaperAd.do?u key=15563"
36 "http://www.adic.co.kr/ads/list/showNewspaperAd.do?u key=15175"
37 "http://www.adic.co.kr/ads/list/showNewspaperAd.do?u key=14611"
38 "http://www.adic.co.kr/ads/list/showNewspaperAd.do?u key=14578"
39 "http://www.adic.co.kr/ads/list/showNewspaperAd.do?u key=134298"
40 "http://www.adic.co.kr/ads/list/showNewspaperAd.do?u key=123820"
41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9553000"
42 정순형, "TV와 신문의 유머광고 특성비교"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43 이선웅, "TV 코미디 프로그램의 유머분석" 어문학 1-26, 2005
44 하태길, "TV 유머광고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45 이 철, "TV 유머광고의 소비자 정보처리 원칙과 유머광고 내용분석" 2 : 13-19, 1991
46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 언론정보연구소 1990
47 김흥규, "Q 방법론 :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8 | 0.95 | 1.391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