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fore the 2000s, A study of Zhu Xi(朱熹) has become much more focused o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ut after the 2000s, many scholars began to pay attention to his Hermeneutics thought. Therefore A study of Zhu Xi(朱熹)’s theory of Herm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fore the 2000s, A study of Zhu Xi(朱熹) has become much more focused o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ut after the 2000s, many scholars began to pay attention to his Hermeneutics thought. Therefore A study of Zhu Xi(朱熹)’s theory of Herme...
Before the 2000s, A study of Zhu Xi(朱熹) has become much more focused o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ut after the 2000s, many scholars began to pay attention to his Hermeneutics thought. Therefore A study of Zhu Xi(朱熹)’s theory of Hermeneutics and methord of Hermeneutics achieved great results in many ways.
I would like to study on he Objects of Self-getting(自得說) as the methodology of his literatur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of Zhu Xi(朱熹)’s Hermeneutics. Self-getting(自得) is an very important concept in academic history of Song dynasty and that also is an very important concept in poetics of Song dynasty and after their time. So I study how is such an academic trend embodied in literature Hermeneutics of Zhu Xi(朱熹) in this theory.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이전에는 주희 연구가 주로 그의 경학 연구에 집중되었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그의 해석학 사상을 크게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주희의 해석학 이론 및 해석학 방법론 등 여...
2000년대 이전에는 주희 연구가 주로 그의 경학 연구에 집중되었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그의 해석학 사상을 크게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주희의 해석학 이론 및 해석학 방법론 등 여러 측면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필자 역시 이상의 주희 해석학에 대한 연구 성과에 기대어 그의 문학적 해석방법론으로서 ‘自得說’을 고찰하고자 한다. ‘自得’은 송대 학술사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임과 동시에 송대 및 송대 이후 시학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이는 송대의 사인들이 기존의 학술풍조를 재검토하는 한편 자신의 주체정신과 이상적 인격을 추구함으로써 士 意識을 재정립하고자 하는 문화심리나 학술풍조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송대 ‘자득’의 학술풍조가 주희의 문학해석학적 사상체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충열, "송대 ‘自得說’의 시학방법론" 중국연구소 71 : 65-87, 2017
2 朱熹, "近思錄" 中華書局 2011
3 耿方朝, "近三十年朱熹詮釋學硏究述論" 29 (29): 2014
4 박소동, "譯註 毛詩正義(1, 2권)" 전통문화연구회 2018
5 朱熹, "詩集傳" 古籍出版社 1980
6 "毛詩正義(十三經注疏(標點本))" 北京大學出版社 1999
7 鄒其昌, "朱熹詩經詮釋學美學硏究" 상무인서관 2008
8 曹海東, "朱熹經典解釋理論中的自得說" (10) : 2014
9 張旭曙, "朱熹的『詩經』解釋方法初探" 1998
10 朱漢民, "朱熹的‘自得’思想" (6) : 2011
1 양충열, "송대 ‘自得說’의 시학방법론" 중국연구소 71 : 65-87, 2017
2 朱熹, "近思錄" 中華書局 2011
3 耿方朝, "近三十年朱熹詮釋學硏究述論" 29 (29): 2014
4 박소동, "譯註 毛詩正義(1, 2권)" 전통문화연구회 2018
5 朱熹, "詩集傳" 古籍出版社 1980
6 "毛詩正義(十三經注疏(標點本))" 北京大學出版社 1999
7 鄒其昌, "朱熹詩經詮釋學美學硏究" 상무인서관 2008
8 曹海東, "朱熹經典解釋理論中的自得說" (10) : 2014
9 張旭曙, "朱熹的『詩經』解釋方法初探" 1998
10 朱漢民, "朱熹的‘自得’思想" (6) : 2011
11 洪永穩, "朱熹審美閱讀的自得說" 29 (29): 2014
12 黎靖德, "朱子語類(全4冊)" 岳麓书社 1997
13 李春靑, "宋學與宋代文學觀念"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1
14 張思齊, "宋代詩學" 湖南人民出版社 2000
15 楊伯峻, "孟子譯注" 中華書局 2006
16 汪大白, "傳統『詩經』學的重大歷史轉折-朱熹‘以詩言詩’說申論" 29 (29): 2001
17 周光慶, "中國古典解釋學導論" 中華書局 2002
18 左健, "中國古代文學鑑賞論" 復旦大學出版社 2009
19 方紅梅, "“自得”說的哲學內涵及美學意義" 2012
20 張晶, "“自得” :創造性的審美思惟命題" (1) : 2003
역외 상장된 중국 기업의 현황과 중국 증시 회귀 문제에 관한 연구
입지상계수를 활용한 징진지 도시군 산업특화도 변화 분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7-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Journal of Sinology and China Studies | ![]() |
2015-07-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China Studies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 |
2015-03-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China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8-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27 | 0.492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