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웹툰의 패럴랙스 스크롤링 적용이 사용자 경험 및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018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포털사이트의 대표적인 창작 콘텐츠로서 많은 작품이 발표 되고 있는 웹툰은 기존의 출판만화가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인식을 벗어나 OSMU를 활용한 하나의 원천콘텐츠로서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인정을 받고 있다.
      현재의 웹툰은 출판만화를 대체 할 콘텐츠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으나, 점차 유사한 형식의 내용전개와 수준 이하의 작화, 장르의 편중으로 인해 전체적인 완성도를 저하시키고 있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웹툰 서비스 업체들은 새로운 형식의 웹툰을 제작하기 위해 모션 효과 및 패럴랙스 스크롤링 효과 등을 활용하여 웹툰에 접목시키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현 연구를 통해 선행 연구들에서 정의한 패럴랙스 스크롤링의 개념을 이해하여, 패럴랙스 스크롤링 적용이 웹툰의 사용자 경험 및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패럴랙스 스크롤링과 사용자 경험 요소 및 이용자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웹툰의 사용자 경험 요소인 신규성, 심미성, 유희성, 가시성의 측정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표본 집단은 웹툰 서비스 사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 136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8일부터 25일까지 1주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럴랙스 스크롤링의 적용은 웹툰의 사용자 경험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러한 사용자 경험 요소 중 신규성과 심미성은 제외하고 유희성과 가시성이 이용자 만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웹툰의 상호작용성이 내재된 효과의 적용은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며, 콘텐츠의 질적 상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볼 수 있기에 웹툰 서비스 플랫폼들은 웹툰의 콘텐츠 질적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며, 본 연구의 패럴랙스 스크롤링과 같은 상호작용성이 내재된 효과들을 발빠르게 수용하여, 이용자들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 및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국내 포털사이트의 대표적인 창작 콘텐츠로서 많은 작품이 발표 되고 있는 웹툰은 기존의 출판만화가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인식을 벗어나 OSMU를 활용한 하나의 원천콘텐츠로서 영화, 드라...

      국내 포털사이트의 대표적인 창작 콘텐츠로서 많은 작품이 발표 되고 있는 웹툰은 기존의 출판만화가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인식을 벗어나 OSMU를 활용한 하나의 원천콘텐츠로서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인정을 받고 있다.
      현재의 웹툰은 출판만화를 대체 할 콘텐츠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으나, 점차 유사한 형식의 내용전개와 수준 이하의 작화, 장르의 편중으로 인해 전체적인 완성도를 저하시키고 있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웹툰 서비스 업체들은 새로운 형식의 웹툰을 제작하기 위해 모션 효과 및 패럴랙스 스크롤링 효과 등을 활용하여 웹툰에 접목시키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현 연구를 통해 선행 연구들에서 정의한 패럴랙스 스크롤링의 개념을 이해하여, 패럴랙스 스크롤링 적용이 웹툰의 사용자 경험 및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패럴랙스 스크롤링과 사용자 경험 요소 및 이용자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웹툰의 사용자 경험 요소인 신규성, 심미성, 유희성, 가시성의 측정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표본 집단은 웹툰 서비스 사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 136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8일부터 25일까지 1주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럴랙스 스크롤링의 적용은 웹툰의 사용자 경험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러한 사용자 경험 요소 중 신규성과 심미성은 제외하고 유희성과 가시성이 이용자 만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웹툰의 상호작용성이 내재된 효과의 적용은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며, 콘텐츠의 질적 상승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볼 수 있기에 웹툰 서비스 플랫폼들은 웹툰의 콘텐츠 질적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며, 본 연구의 패럴랙스 스크롤링과 같은 상호작용성이 내재된 효과들을 발빠르게 수용하여, 이용자들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 및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reative contents representing domestic portal sites, web toons are a kind of original contents using OSMU and being recognized in diverse fields such as movie, drama and musical by getting rid of negative perceptions of existing published cartoons.
      Current web toons are performing their roles sufficiently as contents to replace published cartoons. But the similar way of developing stories, the substandard painting and the bias towards specific genres are lowering the entire completeness.
      For this reason, recently, web toon service companies are making a variety of attempts including application of motion and parallax scrolling effects for developing new types of web to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parallax scrolling application on web toon user experience and user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parallax scrolling, which has been defined in previous studie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concept of parallax scrolling was def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parallax scrolling,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and variables of web toon user experience elements; novelty, aesthetics, playfulness and visibility were extracted.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36 users with experience in using web toon services for a week from April 18th to 25th 2016.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Parallax scrolling appl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web toon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especially, playfulness and visibility excepting novelty and aesthetics positively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too.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ffects with interactivity of web toons provide new experience for users and improve contents qualitatively. Based on this finding, web toon service platforms would need to put a great deal of effort into preventing decline in quality of web toon content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by accepting the effects with interactivity like parallax scrolling promptly.
      번역하기

      As creative contents representing domestic portal sites, web toons are a kind of original contents using OSMU and being recognized in diverse fields such as movie, drama and musical by getting rid of negative perceptions of existing published cartoons...

      As creative contents representing domestic portal sites, web toons are a kind of original contents using OSMU and being recognized in diverse fields such as movie, drama and musical by getting rid of negative perceptions of existing published cartoons.
      Current web toons are performing their roles sufficiently as contents to replace published cartoons. But the similar way of developing stories, the substandard painting and the bias towards specific genres are lowering the entire completeness.
      For this reason, recently, web toon service companies are making a variety of attempts including application of motion and parallax scrolling effects for developing new types of web to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parallax scrolling application on web toon user experience and user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parallax scrolling, which has been defined in previous studie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concept of parallax scrolling was def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parallax scrolling,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and variables of web toon user experience elements; novelty, aesthetics, playfulness and visibility were extracted.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36 users with experience in using web toon services for a week from April 18th to 25th 2016.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Parallax scrolling appl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web toon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especially, playfulness and visibility excepting novelty and aesthetics positively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too.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ffects with interactivity of web toons provide new experience for users and improve contents qualitatively. Based on this finding, web toon service platforms would need to put a great deal of effort into preventing decline in quality of web toon content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by accepting the effects with interactivity like parallax scrolling promp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 제 1 절 웹툰에 대한 이해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 제 1 절 웹툰에 대한 이해 4
      • 제 1 항 웹툰의 개념 및 등장배경 4
      • 제 2 항 웹툰의 발전 및 특징 7
      • 제 2 절 패럴랙스 스크롤링에 대한 이해 13
      • 제 1 항 패럴렉스 스크롤링의 정의 13
      • 제 2 항 패럴렉스 스크롤링의 활용사례 15
      • 제 3 절 사용자 경험 요소 19
      • 제 1 항 사용자 경험의 개념 19
      • 제 2 항 사용자 경험과 패럴랙스 스크롤링의 관계 20
      • 제 3 항 사용자 경험 요소에 관한 선행연구 21
      • 제 4 절 웹툰의 사용자 경험 요소 도출 24
      • 제 1 항 표본의 구성 23
      • 제 2 항 사용자 경험 요소 도출 26
      • 제 5 절 이용자 만족 30
      • 제 1 항 이용자 만족의 개념 30
      • 제 2 항 이용자 만족과 패럴랙스 스크롤링의 관계 32
      • 제 3 장 연구설계 및 가설 33
      • 제 1 절 연구모형 설정 33
      • 제 2 절 연구가설 설정 34
      • 제 3 절 연구의 설계 36
      • 제 1 항 조사대상 및 실험설계 36
      • 제 2 항 설문지의 구성 37
      • 제 3 항 분석 방법 37
      • 제 4 장 연구 결과 39
      • 제 1 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39
      • 제 2 절 신뢰성 검증 41
      • 제 3 절 타당성 검증 44
      • 제 4 절 연구가설 검증 46
      • 제 5 장 결 론 55
      • 제 1 절 연구의 요약 55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57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안 59
      • 참고문헌 60
      • 부 록 66
      • Abstract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