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차명상의 현대적 양상과 실제 = Modern Trend and Practice of Tea Med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6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conomic logics that governs human society and problems that were caused in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society, and analyse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odern people in respect to tea culture and meditation. Modern meditation was used to care psychological and mental diseases in terms of brain science and traditional medication was adapted to develop diverse moder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moral values of Korean tea culture that has been inherited with cultural orthodoxy for a long history in terms of meditation converged with Zen ideology of Buddhism.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 meditation on health and well-being of modern people and its advantages and meaning.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mental health and stress of modern people, and the effects of such phenomenon on self-understanding. For effective care of stress, it was important to properly understand inner status and environment. It was discovered that meditation should be effectively adapted for modern people as inner self-retrospect is needed for self-understanding.
      Second, this study speculated on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ociety and meditation and the effects of medication on modern people in terms of aspects and meaning. Meditation programs were very popular for modern people to seek for themselves and the effects of meditation based on brain science were scientifically demonstrated. Brain science demonstrated that meditation in Buddhism changed negative psychological status including anger, depression and anxiety into positive status including happiness, hope and joyfulness and the prefrontal cortex of the cerebrum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 in brain structure. Such scientific evidences showed that meditation is effective and reliable for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Meditation helped people who can not control desires and have much stress stay in a moment and be relaxed. It helped people stop obsessive thinking and see themselves positively beyond self-love and self-pity.
      Third, this study examined common characteristics of tea and meditation and discussed the values and meaning of tea meditation in terms of modern humanities. As tea meditation is combined with Zen meditation and Zen traveling, it enhances concentration and power to understand, hold the rein over one's erratic mind and helps people calms down. Meditation of Buddhism was used for psychological therapy as it was combined with westerns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and as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ea was united into mental training, it was upgra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mental culture. Tea meditation has meaning of humanities in that it can enhance cultural and popular level of modern society as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to train personality of modern people.
      Fourth,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 of real tea meditation mentioned above. The tea meditation of the study focused on sensible experiences and awakening of senses rather than Sammae in concentration meditation. This study discussed breathing and body meditation that mental movements such as instant desires, feeling, thinking, senses and emotion was clearly realized, behavior meditation and Jabi meditation focusing on general and universal experiences beyond religions. The purpose of tea meditation was to train morals and warm heart through breathing, body and behavior medit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conomic logics that governs human society and problems that were caused in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society, and analyse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odern people in respect to tea culture and meditati...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conomic logics that governs human society and problems that were caused in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society, and analyse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odern people in respect to tea culture and meditation. Modern meditation was used to care psychological and mental diseases in terms of brain science and traditional medication was adapted to develop diverse moder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moral values of Korean tea culture that has been inherited with cultural orthodoxy for a long history in terms of meditation converged with Zen ideology of Buddhism.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 meditation on health and well-being of modern people and its advantages and meaning.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mental health and stress of modern people, and the effects of such phenomenon on self-understanding. For effective care of stress, it was important to properly understand inner status and environment. It was discovered that meditation should be effectively adapted for modern people as inner self-retrospect is needed for self-understanding.
      Second, this study speculated on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ociety and meditation and the effects of medication on modern people in terms of aspects and meaning. Meditation programs were very popular for modern people to seek for themselves and the effects of meditation based on brain science were scientifically demonstrated. Brain science demonstrated that meditation in Buddhism changed negative psychological status including anger, depression and anxiety into positive status including happiness, hope and joyfulness and the prefrontal cortex of the cerebrum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 in brain structure. Such scientific evidences showed that meditation is effective and reliable for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Meditation helped people who can not control desires and have much stress stay in a moment and be relaxed. It helped people stop obsessive thinking and see themselves positively beyond self-love and self-pity.
      Third, this study examined common characteristics of tea and meditation and discussed the values and meaning of tea meditation in terms of modern humanities. As tea meditation is combined with Zen meditation and Zen traveling, it enhances concentration and power to understand, hold the rein over one's erratic mind and helps people calms down. Meditation of Buddhism was used for psychological therapy as it was combined with westerns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and as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ea was united into mental training, it was upgra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mental culture. Tea meditation has meaning of humanities in that it can enhance cultural and popular level of modern society as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to train personality of modern people.
      Fourth,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 of real tea meditation mentioned above. The tea meditation of the study focused on sensible experiences and awakening of senses rather than Sammae in concentration meditation. This study discussed breathing and body meditation that mental movements such as instant desires, feeling, thinking, senses and emotion was clearly realized, behavior meditation and Jabi meditation focusing on general and universal experiences beyond religions. The purpose of tea meditation was to train morals and warm heart through breathing, body and behavior medi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4차산업의 거대한 변혁 속에서 인간사회를 지배하는 경제논리와 부정적 특성을 야기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동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정신적 심리적 건강을 차문화와 현대명상의 관계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현대 명상의 뇌과학적 입증은 서양 심리학과 접목되어 의학적인 심리치료와 정신질환 치료에 사용되었고, 전통적인 명상을 현대에 맞게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차명상은 오랜 역사 속에서 정통성을 확립하고 전승되어 온 한국 차문화의 우수한 정신문화적 가치를 불교의 선과 융합한 명상의 기능에서 고찰하였다. 차명상 수행이 현대인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어떤 효과와 이점이 있는지 그 의미를 조명해보는 것에 의미를 두고, 이러한 관점에서 논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이 자기이해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내부와 환경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자기이해를 위해서는 내면의 자기성찰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기저로서 현대인에 맞게 개발된 명상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대사회와 명상의 관계를 조망하고 명상이 현대인들에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명상의 현대적인 양상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 세계적으로 진정한 자신을 찾는 명상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최근에는 뇌과학을 통한 명상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뇌과학은 불교의 명상이 분노,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행복, 희망, 즐거움 등의 긍정적 심리상태로 마음을 변화시켜 대뇌의 전두엽피질이 뇌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러한 과학적 증거는 현대인들이 명상의 효과에 대한 신뢰와 확신을 하는 자료가 되기에 충분했다. 명상은 매 순간에 머물게 함으로써 욕망과 생각을 통제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에 있는 마음에 휴식을 주고 깨어 있도록 도와주었다. 명상은 강박적 사고를 멈추도록 도와주고 자애와 자기연민을 깨달아 부정적인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수행력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차와 명상의 공통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문화사에서 차명상의 가치와 현대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차명상이 갖는 의미를 논하였다. 차명상은 좌선과 행선이 복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집중력과 알아차리는 힘을 강하게 해주고 마음을 안정시켜준다는 공통적인 특성이 있다. 불교의 명상이 서구의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을 만나 심리치료에 사용되었고, 차의 물질적 특성이 명상의 정신적인 수행단계와 합일되면서 차선일여(茶禪一如), 차선일미(茶禪一味)와 같이 정신문화의 척도를 높이는 기능으로 향상되었다. 차명상은 정신문화의 주체성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삶의 질과 인성교육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사회의 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대중화할 수 있다는데 인문학적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위에서 언급한 차명상의 실질적인 체험을 명상의 단계에 맞추어 그 과정을 기술하였다. 집중명상과는 달리 특정한 감각과 하나 되는 삼매가 목표가 아니라 감각을 경험하고 있는 자각을 알아차리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차를 통하여 자기의 의식 공간 안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욕망이나 감정, 생각, 감각, 정서 등 마음의 움직임을 분명히 자각하는 호흡명상과 몸명상, 행다를 통한 행위명상, 자비명상을 함으로써 종교를 초월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체험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차를 우리고 마시는 과정에 호흡과 몸, 그리고 행위명상을 통해 마음을 맑게 정화하고 따뜻하고 편안하게 포용하는 자비의 마음을 기르는 것이 차명상의 목적임을 의식하는 것이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4차산업의 거대한 변혁 속에서 인간사회를 지배하는 경제논리와 부정적 특성을 야기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동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정신적 심리적 건강을 차문화...

      본고는 4차산업의 거대한 변혁 속에서 인간사회를 지배하는 경제논리와 부정적 특성을 야기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짚어보고 동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정신적 심리적 건강을 차문화와 현대명상의 관계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현대 명상의 뇌과학적 입증은 서양 심리학과 접목되어 의학적인 심리치료와 정신질환 치료에 사용되었고, 전통적인 명상을 현대에 맞게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차명상은 오랜 역사 속에서 정통성을 확립하고 전승되어 온 한국 차문화의 우수한 정신문화적 가치를 불교의 선과 융합한 명상의 기능에서 고찰하였다. 차명상 수행이 현대인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어떤 효과와 이점이 있는지 그 의미를 조명해보는 것에 의미를 두고, 이러한 관점에서 논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이 자기이해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내부와 환경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자기이해를 위해서는 내면의 자기성찰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기저로서 현대인에 맞게 개발된 명상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대사회와 명상의 관계를 조망하고 명상이 현대인들에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명상의 현대적인 양상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 세계적으로 진정한 자신을 찾는 명상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최근에는 뇌과학을 통한 명상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뇌과학은 불교의 명상이 분노,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행복, 희망, 즐거움 등의 긍정적 심리상태로 마음을 변화시켜 대뇌의 전두엽피질이 뇌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러한 과학적 증거는 현대인들이 명상의 효과에 대한 신뢰와 확신을 하는 자료가 되기에 충분했다. 명상은 매 순간에 머물게 함으로써 욕망과 생각을 통제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에 있는 마음에 휴식을 주고 깨어 있도록 도와주었다. 명상은 강박적 사고를 멈추도록 도와주고 자애와 자기연민을 깨달아 부정적인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수행력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차와 명상의 공통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문화사에서 차명상의 가치와 현대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차명상이 갖는 의미를 논하였다. 차명상은 좌선과 행선이 복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집중력과 알아차리는 힘을 강하게 해주고 마음을 안정시켜준다는 공통적인 특성이 있다. 불교의 명상이 서구의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을 만나 심리치료에 사용되었고, 차의 물질적 특성이 명상의 정신적인 수행단계와 합일되면서 차선일여(茶禪一如), 차선일미(茶禪一味)와 같이 정신문화의 척도를 높이는 기능으로 향상되었다. 차명상은 정신문화의 주체성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삶의 질과 인성교육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사회의 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대중화할 수 있다는데 인문학적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위에서 언급한 차명상의 실질적인 체험을 명상의 단계에 맞추어 그 과정을 기술하였다. 집중명상과는 달리 특정한 감각과 하나 되는 삼매가 목표가 아니라 감각을 경험하고 있는 자각을 알아차리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차를 통하여 자기의 의식 공간 안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욕망이나 감정, 생각, 감각, 정서 등 마음의 움직임을 분명히 자각하는 호흡명상과 몸명상, 행다를 통한 행위명상, 자비명상을 함으로써 종교를 초월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체험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차를 우리고 마시는 과정에 호흡과 몸, 그리고 행위명상을 통해 마음을 맑게 정화하고 따뜻하고 편안하게 포용하는 자비의 마음을 기르는 것이 차명상의 목적임을 의식하는 것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목적 1
      • 제2절 연구 방법 5
      • 제3절 선행연구 7
      • ABSTRACT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목적 1
      • 제2절 연구 방법 5
      • 제3절 선행연구 7
      • 제2장 현대사회의 특징과 정신건강 13
      • 제1절 현대사회의 특징 13
      • 1. 지식사회와 정보화 시대 13
      • 2. 현대인의 삶 17
      • 제2절 현대사회와 스트레스 18
      • 1. 현실 적응과 부적응 18
      • 2. 스트레스의 본질 19
      • 제3절 정신건강과 자기이해 22
      • 1. 건강한 사람들의 특징 22
      • 2. 자기이해의 과정 25
      • 제3장 현대 명상의 개요 28
      • 제1절 현대사회와 명상의 필요성 29
      • 1. 명상의 현대적 의미 29
      • 2. 명상과 뇌과학의 만남 33
      • 제2절 명상의 효과 38
      • 1. 자기조절력 향상 39
      • 2. 마음의 변화 41
      • 3. 능력개발 44
      • 4 경험 사상(事象)의 변화 48
      • 제3절 명상의 현대적 양상 49
      • 1. 우리나라 명상의 현황 50
      • 2. 외국의 명상 현황 56
      • 제4장 현대 차명상의 이해 64
      • 제1절 차와 명상의 공통적 특성 64
      • 1. 차와 선(禪)의 만남 64
      • 2. 차와 명상의 공통적 특성 73
      • 제2절 차명상의 문화사적 가치 82
      • 1. 제다삼매(製茶三昧) 82
      • 2. 전다삼매(煎茶三昧) 87
      • 3. 다도삼매(茶道三昧) 89
      • 제3절 차명상의 인문학적 의미 92
      • 1. 전통문화의 주체 93
      • 2. 차명상의 현대화 100
      • 3. 차문화 발달단계 103
      • 4. 워라벨(Work & Life Balance) 문화콘텐츠 105
      • 제5장 차명상의 현대적 양상과 실제 109
      • 제1절 차명상의 양상과 실제 110
      • 1. 찻자리 호흡명상 110
      • 2. 행다 몸명상 121
      • 3. 음다 행위명상 135
      • 4. 차 정리 자비명상 145
      • 5. MBSR 차명상 155
      • 6. 템플스테이와 차명상 164
      • 7. 차와 아로마(Tea & Aroma) 명상 168
      • 제2절 차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179
      • 제6장 결 론 182
      • 참고문헌 184
      • 국문초록 1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茶명상, 지장, 차와 사람, , 2006

      2. 청규와 차, 수인,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 2010

      3. 10년 후의 세상, 최재천, 중앙일보 중앙SUNDAY 미래탐사팀, 서울 : 청림, , 2011

      4. 행복한 생활명상, 지장, 풀그림, , 2008

      5. 한국문화상징사전,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서울 : 동아출판사, , 1992

      6. 과학기술과 리더십, 장원길, 서울 : 공감북스, , 2011

      7. 초의선사의 茶 향기, 진월, 고월 용운, 무안: 초의, , 2009

      8. 치료하는 불교 읽기, 서광스님, 서울 : 불광출판사, , 2013

      9. 한․중 차문화 연구, 조기정, 서울 : 학연문화사,

      10. 이재석 역. 자기 돌봄, 타라브렉, 서울 : 생각정원, , 2018

      1. 茶명상, 지장, 차와 사람, , 2006

      2. 청규와 차, 수인, 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 2010

      3. 10년 후의 세상, 최재천, 중앙일보 중앙SUNDAY 미래탐사팀, 서울 : 청림, , 2011

      4. 행복한 생활명상, 지장, 풀그림, , 2008

      5. 한국문화상징사전,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서울 : 동아출판사, , 1992

      6. 과학기술과 리더십, 장원길, 서울 : 공감북스, , 2011

      7. 초의선사의 茶 향기, 진월, 고월 용운, 무안: 초의, , 2009

      8. 치료하는 불교 읽기, 서광스님, 서울 : 불광출판사, , 2013

      9. 한․중 차문화 연구, 조기정, 서울 : 학연문화사,

      10. 이재석 역. 자기 돌봄, 타라브렉, 서울 : 생각정원, , 2018

      11. 삶을 바꾸는 5가지 명상법, 혜봉, 서울 : 불광출판부, , 2003

      12. 남상영 역. 붓다의 명상법, 地橋秀雄, 아름다운 인연, , 2012

      13. 한기연 역. 분노 내려놓기, 제프리 브렌들리, 서울 : 시그마프레스, , 2016

      14. 마음 챙김 명상과 자기치료, 下, 존 카밧진, 서울 : 학지사, , 2005

      15. 백영미 역. 내 안의 참나를 만나다, 데이비드호킨스, 서울 : 판미동, , 2008

      16. 정여경 역. 하루 20분 나를 멈추는 시간, 샤론 셀즈버그, 서울 : 북하이브, , 2011

      17. MBSR에 기초한 Tea&aAroma 명상 프로그램 개발, 이심우정, 남부3군 상담복지교육학회, 상담복지연구지. 4(1):57-78, , 2019

      18. 세계 속의 효과적인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Eunsook Lee Zeilfeider, 이은숙, 서울 : 양서원, , 2014

      19. 한소영 역. 불안을 치료하는 마음챙김 명상법, 리자베스 로머, 수전 M. 오실로, 서울 : 소울메이트, , 2011

      20. 명상심리치료-불교명상과 심리치료의 통합적 연구, 인경, 서울 : 명상상담연구원, , 2013

      21. 안희영 역. 존 카밧진의 처음 만나는 마음 챙김 명상, 존카밧진, 서울 : 불광출판사, , 2012

      22. 자비수관 명상을 통한 수행과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지운, 한국명상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27, , 2010

      23. 안희영 역.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8주 마음 챙김 워크북, 마크 윌리엄스, 진델 시걸, 존 티즈테일, 서울 : 불광출판사, , 2014

      24. 현대사회에서 차생활의 정신적 역할과 방향-명상적 기능과 미래사회에서의 역할-., 지장, 국제차문화학회 차문화산업학 10: 23-48, ,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