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양회화의 여백의 의미를 근거한 미디어아트의 절제된 시간성을 표현한 작품 연구 = Study on artwork expressing restrained temporality of media art based on the definition of emptiness in Oriental pai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7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long ago, paintings in the East made use of margin in order to emphasize a transcendental spiritual world. Margin contains much more meaning than expressed space, and sometimes can be used as the sole purpose of a work by itself. While margins refer to parts that are not drawn, they are full of vividness and vitality, and shows the significance of the artwork. The study method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margin as an Eastern value in media art. First, it will discuss margin expressed in Eastern painting as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cept, and then analyze painting in the past which emphasize margin, as well as modern paintings which express the spirit of margin. Also, this paper also seek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Western paintings which contain the spirit of Eastern margin. Next, it investigates artworks that contain restrained temporality, which goes hand in hand with the spirit of Eastern margin in media art, and analyzes the functions, artistic expressions, and emotions in the works. It will be possible to make conceptual definition of margin in media ar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duction methods and expressions of media art works which intentionally manipulate margin and slow down time in Eastern paintings, or those which utilize pause technique. While utilization of margins in the East have various meanings, this paper seeks to conduct research by relating emotion, the aesthetic margin, with media art.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and make reflections on points which can overlap margin of Eastern paintings, a traditional technique, and retrained temporality of media art. Through the studies that have mentioned previously, the paper seeks to emphasize that media art, which utilizes temporal expression where time passes slowly, or paused screens, have close associations with the spirit of Margin in Eastern paintings,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margin.
      번역하기

      Since long ago, paintings in the East made use of margin in order to emphasize a transcendental spiritual world. Margin contains much more meaning than expressed space, and sometimes can be used as the sole purpose of a work by itself. While margins r...

      Since long ago, paintings in the East made use of margin in order to emphasize a transcendental spiritual world. Margin contains much more meaning than expressed space, and sometimes can be used as the sole purpose of a work by itself. While margins refer to parts that are not drawn, they are full of vividness and vitality, and shows the significance of the artwork. The study method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margin as an Eastern value in media art. First, it will discuss margin expressed in Eastern painting as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cept, and then analyze painting in the past which emphasize margin, as well as modern paintings which express the spirit of margin. Also, this paper also seek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Western paintings which contain the spirit of Eastern margin. Next, it investigates artworks that contain restrained temporality, which goes hand in hand with the spirit of Eastern margin in media art, and analyzes the functions, artistic expressions, and emotions in the works. It will be possible to make conceptual definition of margin in media ar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duction methods and expressions of media art works which intentionally manipulate margin and slow down time in Eastern paintings, or those which utilize pause technique. While utilization of margins in the East have various meanings, this paper seeks to conduct research by relating emotion, the aesthetic margin, with media art.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and make reflections on points which can overlap margin of Eastern paintings, a traditional technique, and retrained temporality of media art. Through the studies that have mentioned previously, the paper seeks to emphasize that media art, which utilizes temporal expression where time passes slowly, or paused screens, have close associations with the spirit of Margin in Eastern paintings,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marg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로부터 동양회화에서는 초월적인 정신세계를 강조하기 위해 여백을 이용하였다. 여백은 표현된 공간보다 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 자체로도 작품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여백은 그려지지 않은 부분이지만 생동감과 생명력이 넘치며 작품에서 말하고자 하는 의미가 드러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미디어아트에서 동양사상인 여백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동양회화에서 표현되어지는 여백의 심리적, 감성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논의할 것이며, 과거 여백이 중점적으로 표현된 시대의 작품부터 현재 여백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는 작품들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포괄적으로 서양회화에서 동양적 여백의 정신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들도 찾아보고자 한다. 다음은 미디어아트에서 동양의 여백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는 절제된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들을 알아보고, 작품 속 여백의 기능과 예술적 표현, 감정 등을 분석할 것이다. 동양회화의 여백의 의미와 시간을 천천히 흘러가도록 조작하거나 일시정지 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작품의 제작방법 및 표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미디어아트에서의 여백의 개념적 성립도 가능하리라 본다. 동양의 여백 운용에서는 다양한 여백의 의미들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감정 즉 심미적 여백을 미디어아트와 연관지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기법인 동양회화의 여백과 미디어아트의 절제된 시간성을 중첩시킬 수 있는 지점들을 발견하고 돌이켜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위에서 살펴보았던 연구를 통해 느리게 흘러가는 시간표현, 정지된 화면이 표현된 미디어아트가 동양회화의 여백의 정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고, 동양회화의 여백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예로부터 동양회화에서는 초월적인 정신세계를 강조하기 위해 여백을 이용하였다. 여백은 표현된 공간보다 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 자체로도 작품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여...

      예로부터 동양회화에서는 초월적인 정신세계를 강조하기 위해 여백을 이용하였다. 여백은 표현된 공간보다 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 자체로도 작품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여백은 그려지지 않은 부분이지만 생동감과 생명력이 넘치며 작품에서 말하고자 하는 의미가 드러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미디어아트에서 동양사상인 여백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동양회화에서 표현되어지는 여백의 심리적, 감성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논의할 것이며, 과거 여백이 중점적으로 표현된 시대의 작품부터 현재 여백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는 작품들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포괄적으로 서양회화에서 동양적 여백의 정신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들도 찾아보고자 한다. 다음은 미디어아트에서 동양의 여백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는 절제된 시간성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들을 알아보고, 작품 속 여백의 기능과 예술적 표현, 감정 등을 분석할 것이다. 동양회화의 여백의 의미와 시간을 천천히 흘러가도록 조작하거나 일시정지 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작품의 제작방법 및 표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미디어아트에서의 여백의 개념적 성립도 가능하리라 본다. 동양의 여백 운용에서는 다양한 여백의 의미들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감정 즉 심미적 여백을 미디어아트와 연관지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기법인 동양회화의 여백과 미디어아트의 절제된 시간성을 중첩시킬 수 있는 지점들을 발견하고 돌이켜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위에서 살펴보았던 연구를 통해 느리게 흘러가는 시간표현, 정지된 화면이 표현된 미디어아트가 동양회화의 여백의 정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고, 동양회화의 여백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영정, "현대중국 영상작품에 나타난 중국회화의 여백 사상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2 이길빈, "한국회화의 작품분석에 따른 여백운용" 군산대학교 2015

      3 장현경, "조선후기 풍속화의 특징 연구 :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풍속화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4 길케 폰 베르스보르트, "이우환 타자와의 만남" 학고재 2008

      5 김미화, "여백의 미와 선사상의 관계성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5

      6 권소영, "시간개념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움직임'에 의한 미디어 아트 전시공간 계획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7 최미령, "숭고의 개념을 통해 본 빌 비올라의 작품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8 김상미, "빌 비올라와 매튜 바니의 비디오 작품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연구"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0

      9 정연자, "바디아트에 표현된 여백의 조형성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18) : 327-348, 2012

      10 조윤경, "동양회화와 미디어아트의 이미지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1 장영정, "현대중국 영상작품에 나타난 중국회화의 여백 사상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2 이길빈, "한국회화의 작품분석에 따른 여백운용" 군산대학교 2015

      3 장현경, "조선후기 풍속화의 특징 연구 :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풍속화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4 길케 폰 베르스보르트, "이우환 타자와의 만남" 학고재 2008

      5 김미화, "여백의 미와 선사상의 관계성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5

      6 권소영, "시간개념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움직임'에 의한 미디어 아트 전시공간 계획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7 최미령, "숭고의 개념을 통해 본 빌 비올라의 작품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8 김상미, "빌 비올라와 매튜 바니의 비디오 작품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연구"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0

      9 정연자, "바디아트에 표현된 여백의 조형성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18) : 327-348, 2012

      10 조윤경, "동양회화와 미디어아트의 이미지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동화, "동양회화에 있어서 여백의 정신과 조형성에 관한 고찰"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12 김기주, "동양화의 공간개념 고찰" 6 : 2004

      13 왕백민, "동양화구도론" 미진사 1991

      14 마이클러시, "뉴미디어 아트" 시공사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