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酸化染毛製의 明渡調合에 Dyeing level의 規則 = A rule of level in lightness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5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화염모제의 명도조합에 따라서 염색한 이후의 모발명도의 변화를 알아보려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저명도, 중명도, 고명도를 교차로 혼합하였으며, 3:1, 2:1, 1:1, 1:2,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 산화염모제가 “중명도+고명도” 의 명도조합에서는 표준편차의 평균이 0.5 이하로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저명도+중명도” 와 “저명도+고명도” 의 명도조합에서는 표준편차의 평균이 0.5 이상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저명도와 고명도의 산화염모제가 조합되거나 혼합되는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모발의 명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명도를 조합한 산화염모제의 사용은 혼합하는 명도 차에 따라 상승할 수 있는 명도의 범위를 알 수 있음으로 산화염모제를 혼합하는 표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산화염모제의 명도조합에 따라서 염색한 이후의 모발명도의 변화를 알아보려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저명도, 중명도, 고명도를 교차로 혼합하였으며, 3:1, 2:1, 1:1, 1:2, 1:3의 비율로 ...

      본 연구는 산화염모제의 명도조합에 따라서 염색한 이후의 모발명도의 변화를 알아보려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저명도, 중명도, 고명도를 교차로 혼합하였으며, 3:1, 2:1, 1:1, 1:2,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 산화염모제가 “중명도+고명도” 의 명도조합에서는 표준편차의 평균이 0.5 이하로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저명도+중명도” 와 “저명도+고명도” 의 명도조합에서는 표준편차의 평균이 0.5 이상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저명도와 고명도의 산화염모제가 조합되거나 혼합되는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모발의 명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명도를 조합한 산화염모제의 사용은 혼합하는 명도 차에 따라 상승할 수 있는 명도의 범위를 알 수 있음으로 산화염모제를 혼합하는 표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which sees examines hair lightness changes of hair coloring one after that in compliance with lightness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The testing method did, crossroads low lightness( 1∼4 Level; LL), middle lightness (5∼7 Level; ML)and hight lightness(8∼10 Level; HL) combination mixed experimented at ratio of the 3:1, the 2:1, the 1:1, the 1:2 and the 1:3.
      The result of experiment according to mixture ratio analyzed the ratio price of the 1:1 in standard.
      Result of analysis, oxidation hair color from “ML+HL” lightness combination standard deviation average difference did not appear almost below 0.5.
      Standard deviation average difference of above 0.5 appeared from “LL+ML” and “LL+HL” lightness combination.
      Therefore oxidation hair color of low and hight lightness are combined and the possibility in case the ratio which is mixed is many of affecting high in lightness of the hair is the thing is conclusion.
      Consequently lightness,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uses combination according to lightness difference where does the possibility of knowing lightness scope will be able to rise with being,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will be able to present the standard which does.
      번역하기

      The research which sees examines hair lightness changes of hair coloring one after that in compliance with lightness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The testing method did, crossroads low lightness( 1∼4 Level; LL), middle lightness (5∼7 Lev...

      The research which sees examines hair lightness changes of hair coloring one after that in compliance with lightness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The testing method did, crossroads low lightness( 1∼4 Level; LL), middle lightness (5∼7 Level; ML)and hight lightness(8∼10 Level; HL) combination mixed experimented at ratio of the 3:1, the 2:1, the 1:1, the 1:2 and the 1:3.
      The result of experiment according to mixture ratio analyzed the ratio price of the 1:1 in standard.
      Result of analysis, oxidation hair color from “ML+HL” lightness combination standard deviation average difference did not appear almost below 0.5.
      Standard deviation average difference of above 0.5 appeared from “LL+ML” and “LL+HL” lightness combination.
      Therefore oxidation hair color of low and hight lightness are combined and the possibility in case the ratio which is mixed is many of affecting high in lightness of the hair is the thing is conclusion.
      Consequently lightness,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uses combination according to lightness difference where does the possibility of knowing lightness scope will be able to rise with being, combination of oxidation hair color will be able to present the standard which do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연, "헤나염색과 퍼머넌트시술에 따른 모발색상변화와 역학적 특징"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대학원 2007

      2 조지훈, "퍼머와 염색의 동시시술을 위한 기초처방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3 이화선, "웰빙 트렌드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유기농 식품 패키지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 박영옥, "영구염색 시술법에 의한 모발의 변화"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5

      5 이은영, "영구염모제의 pH조정에 따른 모발의 조직구조 변화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6

      6 이동훈, "염모제의 성분에 따른 색소조성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7 하병조, "산화형 영구염모제의 염색, 탈색효과에 관한 연구" 7 (7): 106-, 2001

      8 이상근, "모발염색디자인" 형설출판사 89-90, 2002

      9 이진옥, "모발과학" 형설출판사 108-109, 2001

      10 김선자, "국내외 산화염모제에 대한 미용사들의 인식정도 및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8

      1 김지연, "헤나염색과 퍼머넌트시술에 따른 모발색상변화와 역학적 특징"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대학원 2007

      2 조지훈, "퍼머와 염색의 동시시술을 위한 기초처방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3 이화선, "웰빙 트렌드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유기농 식품 패키지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 박영옥, "영구염색 시술법에 의한 모발의 변화"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5

      5 이은영, "영구염모제의 pH조정에 따른 모발의 조직구조 변화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6

      6 이동훈, "염모제의 성분에 따른 색소조성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7 하병조, "산화형 영구염모제의 염색, 탈색효과에 관한 연구" 7 (7): 106-, 2001

      8 이상근, "모발염색디자인" 형설출판사 89-90, 2002

      9 이진옥, "모발과학" 형설출판사 108-109, 2001

      10 김선자, "국내외 산화염모제에 대한 미용사들의 인식정도 및 선호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8

      11 이성자,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모발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13 (13): 1-5, 2007

      12 TOMOTOMO, "NO610:Japan"

      13 황정원, "Hair Color Design" 고문사 38-46, 2002

      14 FS, "Design Color1" Wella Korea 5-, 2009

      15 FS, "Color camp3" Wella Korea 11-, 2009

      16 FS, "Color camp1" Wella Korea 3-, 2009

      17 류은주, "CLINICAL HAIR COLORING" 청구문화사 59-,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KCI등재
      2016-04-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60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