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唐宋變革期 都城의 입지 변화 -군사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당송변혁기 도성사는 長安 시대의 종식과 開封 시대의 도래로 요약된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斷代史的 관점에서 개별 도성의 구조적 특징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본고는 北宋 開寶 9年(976) 천...

      당송변혁기 도성사는 長安 시대의 종식과 開封 시대의 도래로 요약된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斷代史的 관점에서 개별 도성의 구조적 특징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본고는 北宋 開寶 9年(976) 천도 논의에서 제기된 “贍軍”을 실마리로, 도성의 입지 변화 요인을 분석했다.
      7세기 장기간 지속된 대외전쟁으로 인해 唐의 변경선이 확장되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주둔할 수 있는 병력이 필요했다. 기존 방식대로 농민을 징병하기에는 곤란했기에, 징병제는 모병제로 전환되었고 이로 인해 직업군인이 출현했다. 변경 방어 기구인 藩鎭이 내지로 확대되었고, 안사의 난 이후 번진의 할거는 宋初까지 지속되었다.
      정권의 안위를 위해 권력자들은 보다 많은 군대를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당송변혁기 도성의 방어 방식이 “據山河之勝”에서 “蓄兵京師”로 변화했다. 도성에 거주하고 있던 수십만의 군인 및 그 가족에 대한 부양이 현안으로 떠올랐다.
      그런데 장안은 험준한 지형 덕분에 도성 방어에는 유리했지만, 7세기 중반부터 耕地 면적의 축소로 인해 贍軍은 고사하고 황제도 낙양으로 건너가 就食할 정도로 식량공급이 어려웠다. 낙양의 식량 공급원은 산동・하남・하북에 한정되었고, 정비되지 않은 조운 체계는 군량 공급에 차질을 야기했다.
      당송변혁기 경제 중심이 장강 중하류로 南移하였다. 개활지인 개봉은 군사방어상 지형적 이점은 없었지만, 4개의 큰 강이 도성을 관통했다. 조운에 유리한 개봉에 정도함으로써, 江・淮의 곡식과 물자가 도성으로 집중되는 유통망이 구축될 수 있었다. 요컨대 군제의 변화, 섬군의 필요성, 경제 중심의 남이, 운하의 중요성 대두로 인해 도성의 입지 조건이 唐・宋을 경계로 전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y of capital cities in Tang-Song transition period, which is recognized as a turning point of Chinese history, can be summarized into the cessation of the capital at Chang’an and the commencement of the capital at Kaifeng. Previous studies...

      The history of capital cities in Tang-Song transition period, which is recognized as a turning point of Chinese history, can be summarized into the cessation of the capital at Chang’an and the commencement of the capital at Kaifeng.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on the structure and moving patterns of capital cities. This article analyzes military factors that capital cities were moved from Chang’an and Luoyang (the western part) to Kaifeng (the eastern part) in Tang-Song transition period, with the discussion of moving the capital city in the ninth year of the Kaibao reign (976).
      The frontier of Tang was expanded because of perpetual wars in the seventh century. As it needed the stationed army to effectively defend the expanded frontier, it became difficult to sustainably conscript peasants in the traditional way. Conscription gradually moved to a volunteer military system, and therefore career soldiers appeared in Tang. The range of military coup for the frontier defending organization was expanded to inner China. After the outbreak of the An Lushan Rebellion, China in late Tang and early Song was in the continuance of war. Authorities made an effort to secure more military forces for the stability of the reign. As a result, the strategy for capital cities’ defense was changed from “據山河之勝” (it depended on the ruggedness of the mountainous terrain) to “蓄兵京師” (the regiment was stationed in the capital city) and afterward it had become important for the food supply of the capital city to support the army.
      Despite this, due to the reduction of agricultural land area, it was difficult to halt food crisis of Chang’an in the mid-seventh century. The ruggedness of the mountainous terrain in Guanzhong was beneficial to protect the capital city, but restricted transportation of foods from outside. When natural disasters happened, it led to serious food shortages, far from supporting the army, even an emperor had to move to Luoyang to consume staple food.
      Luoyang was an essential point within the Grand Canal route to Chang’an, but wars in late Tang made it devastated. In the Five Dynasties, sources of food supply in Luoyang was limited to Shandong, Henan, and Hebei. Furthermore, the poorly maintained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led to the failure of military provisions.
      An economic hub in Tang-Song transition period moved to Jianghuai region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llow river from Shandong and Henan. Kaifeng was located in open terrain and therefore did not have geographical advantages affecting military defense, but was surrounded by four big rivers. This helped to develop distribution networks that made supplies of the whole country, specially grains grown in Jianghuai region, converge on the capital c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唐宋變革論과 都城史 연구
      • 2. 모병제의 출현과 贍軍
      • 3. 長安과 洛陽의 給糧 문제
      • 4. 경제 중심의 南移와 開封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唐宋變革論과 都城史 연구
      • 2. 모병제의 출현과 贍軍
      • 3. 長安과 洛陽의 給糧 문제
      • 4. 경제 중심의 南移와 開封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