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백워드 設計에 基盤한 學校 敎育課程 評價의 改善 硏究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Based on Backwards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84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평가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문제해결 접근의 이론적 구조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자가 최초에 인식한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문제는 학교교육과정 외부의 기준을 통해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충실도를 평가한다는 점이었다. 그로 인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와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수업 실행이 학교교육과정 실행과 평가의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게다가 가치 판단이 중심되어야 할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단순한 측정이나 검사로 대체되어 학교교육과정의 질 개선을 위한 형성적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에 기반하여 이상의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백워드 설계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단원 개발, 교과교육과정 개발에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고, 백워드 설계를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려 하는 단계다. 본 연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는 선구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의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평가 모형은 학교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평가를 서로에게서 분리시키고 지극히 과학적 객관성과 관리 용이성만을 내세워 각각에 대해 하향식으로 접근해 왔다. 많은 교사들이 익히 경험으로써 알고 있듯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정련된 학교교육과정 운영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증대를 위한 필요조건을 될지라도 충분조건은 아니다.
      이에 반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학교교육의 책무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도달하기 원하는 교육목표를 명시한다. 둘째, 교육목표에 비춰 학생들의 학습 상황과 교사들의 교수 활동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셋째, 교육목표와 현재 수행 사이의 격차를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즉각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계획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밝힌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프로그램으로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을 구안하였다.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학교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평가를 따로 떼어 바라보지 않고 학교교육의 바라는 결과를 중심으로 설계, 실행, 평가가 일관성을 갖추어 동시에 진행되는 접근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은 6단계의 과정을 통해 교사가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학교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연구자의 긴밀한 참여를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실행(action)되었다. 실행 과정에서 백워드 설계라는 낯설고 어려운 설계 이론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거부 반응, 설계의 내실보다는 수업의 기술이나 학습 활동을 중요시하는 고질적인 분위기, 열심히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것에 집중하여 정말로 중요한 것에 대한 판단을 미루려는 매너리즘에 맞닥뜨리기도 했다.
      그러나 실행 결과,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의 실행은 뚜렷하고 의미 있는 현장의 변화를 이끌어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접근은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적 효과와 그 수단으로서의 수업 실행을 중심부에 두고 학교교육과정 설계, 실행, 평가가 일관성을 갖추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교사의 수업 실행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교사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또한 이 접근은 교사의 수업 실행 개선이 모여 학교교육과정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는 상향식 접근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교사들이 실천가로서의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하여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책무성 회복을 이끌어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평가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문제해결 접근의 이론적 구조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자가 최초에 인...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평가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문제해결 접근의 이론적 구조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자가 최초에 인식한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문제는 학교교육과정 외부의 기준을 통해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충실도를 평가한다는 점이었다. 그로 인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와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수업 실행이 학교교육과정 실행과 평가의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게다가 가치 판단이 중심되어야 할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단순한 측정이나 검사로 대체되어 학교교육과정의 질 개선을 위한 형성적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에 기반하여 이상의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백워드 설계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단원 개발, 교과교육과정 개발에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고, 백워드 설계를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려 하는 단계다. 본 연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학교교육과정 평가에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는 선구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의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평가 모형은 학교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평가를 서로에게서 분리시키고 지극히 과학적 객관성과 관리 용이성만을 내세워 각각에 대해 하향식으로 접근해 왔다. 많은 교사들이 익히 경험으로써 알고 있듯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정련된 학교교육과정 운영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증대를 위한 필요조건을 될지라도 충분조건은 아니다.
      이에 반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학교교육의 책무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도달하기 원하는 교육목표를 명시한다. 둘째, 교육목표에 비춰 학생들의 학습 상황과 교사들의 교수 활동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셋째, 교육목표와 현재 수행 사이의 격차를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즉각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계획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밝힌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프로그램으로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을 구안하였다.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학교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평가를 따로 떼어 바라보지 않고 학교교육의 바라는 결과를 중심으로 설계, 실행, 평가가 일관성을 갖추어 동시에 진행되는 접근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은 6단계의 과정을 통해 교사가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학교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연구자의 긴밀한 참여를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실행(action)되었다. 실행 과정에서 백워드 설계라는 낯설고 어려운 설계 이론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거부 반응, 설계의 내실보다는 수업의 기술이나 학습 활동을 중요시하는 고질적인 분위기, 열심히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것에 집중하여 정말로 중요한 것에 대한 판단을 미루려는 매너리즘에 맞닥뜨리기도 했다.
      그러나 실행 결과,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평가 접근의 실행은 뚜렷하고 의미 있는 현장의 변화를 이끌어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접근은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적 효과와 그 수단으로서의 수업 실행을 중심부에 두고 학교교육과정 설계, 실행, 평가가 일관성을 갖추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교교육과정 평가가 교사의 수업 실행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교사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또한 이 접근은 교사의 수업 실행 개선이 모여 학교교육과정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는 상향식 접근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교사들이 실천가로서의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하여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책무성 회복을 이끌어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및 범위 8
      • 3. 선행연구 분석 11
      • 4. 용어의 정의 23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및 범위 8
      • 3. 선행연구 분석 11
      • 4. 용어의 정의 23
      • Ⅱ. 이론적 배경 27
      • 1. 학교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27
      • 2.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50
      • 3. 연구의 이론적 구조: 문제해결적 접근 64
      • Ⅲ. 연구방법: 참여적 실행연구 72
      • 1. 본 연구의 나선형적 사이클 73
      • 2. 연구 현장과 연구 참여자 80
      • 3. 자료 수집 및 분석 82
      • Ⅳ. 문제해결 프로그램 구안 87
      • 1. 문제 확인 및 규명 87
      • 2.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특징 98
      • 3.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단계 103
      • 4. 논의 121
      • Ⅴ. 실행의 과정 및 결과 126
      • 1. 실행의 과정 126
      • 2. 프로그램 적용 결과 156
      • 3. 실행 결과: 현장의 주요 변화 164
      • 4. 논의 181
      • Ⅵ. 결론 및 제언 185
      • 1. 결론 185
      • 2. 제언 192
      • 참고문헌 195
      • Abstract 209
      • 부 록 2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Teddlie, C., "Schooling by design: Mission, action, and achievement.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허영식, 유제순, 온정덕, 이지은, 정수경 역 (2015). 백워드로 시작하는 창의적인 학교교육과정 설계", 서울: 학지 사, 2007

      2 Teddlie, C., "The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이원희, 박영무, 최호성, 박창언, 경북대학교 교육과정연구팀 역(2008).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핸드북", 서울: 학지사, 1999

      3 Teddlie, C.,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advanced concepts in creating and reviewing unit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 석, 유제순, 온정덕, 이지은 역(2015).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 본 모듈(Ⅱ)", 서울: 교육과학사, 2012

      4 이동수, "행정학 사전",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9

      5 김경자, "학교교육과정론",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0

      6 Teddlie, C.,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 석, 이원희, 허영식, 이자현, 유제순, 최윤경 역(2008). 거꾸로 생각하 는 교육과정 개발: 교과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목적으로", 서울: 학지 사, 2005

      7 이홍우, "증보 교육과정 탐구", 서울: 배영사, 1992

      8 진동섭, "학교장과 학교 평가",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19(2), 223-238, 2001

      9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1

      10 배호순,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원미사, 2008

      1 Teddlie, C., "Schooling by design: Mission, action, and achievement.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허영식, 유제순, 온정덕, 이지은, 정수경 역 (2015). 백워드로 시작하는 창의적인 학교교육과정 설계", 서울: 학지 사, 2007

      2 Teddlie, C., "The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이원희, 박영무, 최호성, 박창언, 경북대학교 교육과정연구팀 역(2008).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핸드북", 서울: 학지사, 1999

      3 Teddlie, C.,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advanced concepts in creating and reviewing unit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 석, 유제순, 온정덕, 이지은 역(2015).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 본 모듈(Ⅱ)", 서울: 교육과학사, 2012

      4 이동수, "행정학 사전",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9

      5 김경자, "학교교육과정론",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0

      6 Teddlie, C.,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 석, 이원희, 허영식, 이자현, 유제순, 최윤경 역(2008). 거꾸로 생각하 는 교육과정 개발: 교과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목적으로", 서울: 학지 사, 2005

      7 이홍우, "증보 교육과정 탐구", 서울: 배영사, 1992

      8 진동섭, "학교장과 학교 평가",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19(2), 223-238, 2001

      9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1

      10 배호순,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서울: 원미사, 2008

      11 김대현, "Hirst의 지식과 교육과정", 敎育科學, 서울: 교육과학사, 1994

      12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2015

      13 김재복,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모형",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16(1), 375-395, 1998

      14 주동범,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2

      15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

      16 김경자, "2015 교육과정 개정 정책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광장, 55, 8-11, 2015

      17 박일수, "학교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0

      18 박현주,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5

      19 강충열, "초등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 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학연구, 13(2), 65-87, 2006

      20 조재식,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고찰", 교육과정연구, 23(1), 63-94, 2005

      21 김한나, "초등학교 자체평가 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 민용성, 이태상,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행 방안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 구, 23(4), 109-133, 2010

      23 강현석, "학교 교육과정 : 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12

      24 김순남, 박종렬, "한국 학교평가의 실태와 발전방향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29(2), 5-31, 2002

      25 김영미, 조재식, 조덕주, 이혁규, 이용숙, 김영천,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005

      26 조난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학회 학 술대회논문집, 41, 163-178, 2010

      27 이지은, 강현석(Hyeon-Suk KANG), "백워드 설계의 초등 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 육연구, 23(2), 383-409, 2010

      28 Teddlie, C., "Understanding by design: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이원희, 박영무, 최호성, 박창언, 경북대학교 교육과정연구팀 역(2008).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 발: 교사연수를 위한 워크북", 서울: 학지사, 2004

      29 이훈병 ( Hun Byoung Lee ), "학교교육과정평가를 위한 논리와 근거 탐색",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연구, 35(1), 353-376, 2008

      30 남궁지영, "교육효과를 반영한 학교평가 모형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1 박대권, 김영식, "백워드 교육모형의 체육과 적용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67-89, 2012

      32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국어, 수학", 서울: 대한 교과서주식회사, 1993

      33 서경혜,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 구, 23(2), 285-310, 2005

      34 홍옥표, "학교교육과정 평가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연구",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교육연구, 26, 1-22, 2007

      35 손지현,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의 미술과 적용 가능성 탐색", 미술과 교육, 17(1), 29-51, 2016

      36 강현석, 이지은,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2.0버전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 정연구, 31(3), 153-172, 2013

      37 이지은, "백워드 설계모형을 적용한 이해중심 교육과정 개발", 경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8 허숙,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과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 연구, 30(1), 81-98, 2012

      39 교육부,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2013 대통령 업무보고(2013. 3. 28.), 2013

      40 최미정, 허명, "백워드 교육과정 이론에서 본 포트폴리오평가의 과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학회논문지, 7(3), 97-102, 2013

      41 김무정, "Hirst의 사회적 실제에 기반한 교육과정 설계 모형 개발", 경 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42 김무정, 강현석, "Hirst의 사회적 실제에 비추어 본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55(3), 247-268, 2007

      43 허경철,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철학: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 육과정연구, 20(2), 1-25, 2002

      44 이태구 ( Tae Koo Lee ), 이한주 ( Han Joo Lee ), "평가방법 먼저: 백워드 교육모형 체육수업 설계와 실행",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7(2), 73-86, 2015

      45 장현주, "자체평가와 방문평가가 학교평가 영역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아 동교육, 13(1), 227-239, 2004

      46 김혜경,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미술과 교육과정의 평가 모델 개발", 한국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논총, 28(3), 235-250, 2014

      47 조영태, "교육과정의 새로운 모형: Stenhouse의 연구모형에 대한 검 토", 교육과정연구, 13, 137-157, 1995

      48 이병욱, "공업계 고등학교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9 이재철, "학교교육과정 개발요인 및 평가지표 설정과 적용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0 강현석, 정수경, "백워드 설계 방식을 통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안 탐색",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1(3), 107-130, 2015

      51 강현석, 정수경, "이해중심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전문성 관점과 교사 역할 탐 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2), 371-378, 2016

      52 최호성,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정립과 목표의 평가준거 설정 및 타당 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53 배호순, "학교교육의 책무성 확립방안으로서 평가적 접근방법의 정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9(1), 81-107, 1996

      54 Teddlie, C., "Tashakkori. A. Foundations of mixed methods research: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CA: Sage. 강현석, 김경식, 박 창언, 백상수, 조영남, 주동범, 황윤세 역(2015). 통합방법 연구의 기 초: 사회․행동과학에서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의 통합",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2009

      55 McKernan, J., "Action inquiry: planned enactment. In E. C. Short(Ed.), Forms of curriculum inquiry(309-326)",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강현석, 조인숙, 전호재, 정 상원, 이지은, 경북대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역(2016). 교육과정 탐구 방법론. 서울: 한국문화사, 1991

      56 이미숙,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부분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증보편", 교육부, 서울: 교육부, 2014

      57 김인숙, 정연준, 김희경,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형성평가 체제 도 입(Ⅱ): 온라인 문항관리시스템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10, 2015

      58 박채형,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를 활용한 2009 개정 초등학교 교육 과정의 자율화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1), 135-155, 2011

      59 전영한, "백워드 교육과정 수업 설계 모형에 대한 초등학교 체육과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9(4), 97-109, 2014

      60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 학습 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2009

      61 장효순, "예비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과 연계된 대학 강좌 개발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62 소경희,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과정-탐 구’모형 활용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교육과정연구, 30(1), 59-79, 2012

      63 Isecke, H., "Backwards planning: Building enduring understanding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Huntington Beach, CA: Shell Education. 강현석, 이지은, 정수경 역(2016). 백워드 설 계와 수업 전문성", 서울: 학지사, 2011

      64 Helbowitsh, P. S., "Designing the school curriculum(Allyn & Bacon, Trans.).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강현석, 박영무, 이원희, 박창언, 유제순, 이자현 역(2006). 학교 교육과정 설계론의 새 지평",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5

      65 Creswell, J. W., "Qualit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07

      66 Teddlie, C.,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유제순, 조인숙, 이지은 역 (2013).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Ⅰ)", 서울: 교육과학사,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