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수진,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평가 전문성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김지윤, "특수학급 아동의 진단과 판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3 정혜원,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규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전통적 평가와 수행평가의 비교 사례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남수 ; 박경옥 ; 강은영, "특수학교 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275-299, 2020
6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5
7 한경화 ; 한경임,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30 (30): 313-347, 2020
8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9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육과학사 2016
10 김재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시기별 학술 담론의 특징 분석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47-90, 2020
1 여수진,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평가 전문성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김지윤, "특수학급 아동의 진단과 판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3 정혜원,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규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전통적 평가와 수행평가의 비교 사례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남수 ; 박경옥 ; 강은영, "특수학교 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275-299, 2020
6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5
7 한경화 ; 한경임,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30 (30): 313-347, 2020
8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9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육과학사 2016
10 김재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시기별 학술 담론의 특징 분석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47-90, 2020
11 박치성 ; 이준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대규모 텍스트의 자료정리(Data Cleaning)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국정관리학회 27 (27): 35-68, 2017
12 김유정 ; 장원형 ; 홍훈기,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225-250, 2019
13 최숙경,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수행평가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2014
14 백기엽, "초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 실태 및 개선요구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5 이해란, "초등특수학교의 IEP-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부산대학교 2021
16 권순황, "청각장애 특수교육 공통교육과정 국어과의 교육과정 수업 평가 일체화 쟁점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1 (11): 1-18, 2020
17 남지연, "지체장애 특수학교 음악과에 대한 수행평가 적용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8 박해육, "지방자치단체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임실군 치즈밸리 지역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143, 2007
19 김희규, "장애학생의 교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효율화 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3 (3): 57-76, 2010
20 강경숙 ; 박미경, "장애학생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적용 및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1-28, 2017
21 이호연, "장애유형과 장애정도가 초등 특수교사의 평가방법 및 시기, 평가 결과 기록 및 활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2015
22 강은영 ; 박경옥, "일반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정당한 평가를 실현하기 위한 평가 방법 탐색- 세분화된 평가준거에 기초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63-85, 2019
23 정영선 ; 이승연 ; 김경은,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2015 개정 도덕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87-119, 2019
24 김종현 ; 남윤석, "수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수학 학습 특성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5 (25): 198-227, 2018
25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4
26 윤지영, "빅 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8
27 김준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결과 해석에 관한 소고 - 행정학 분야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16): 247-280, 2015
28 이은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평가준거 성취기준 개발 연구" 용인대학교 2019
29 강은영 ; 박경옥 ; 박남수 ; 박은희 ; 이은규 ; 박지민 ; 염지혜,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재해석을 통한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방향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35-163, 2020
30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31 이필상, "2015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내용 체계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적 개정 요구 연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4 (14): 77-99, 2021
32 이영찬,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통합교과 연계성 분석: 기본 교육과정과 공통 교육과정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21
33 송승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25, 2019
34 교육부,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0-249호 [별책 3]"
35 교육부,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길라잡이" 교육부 2016
36 교육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8-162호 [별책 2]"
37 교육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38 권순황,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 초등과학 교과의 과학과 본성 반영 특성 비교"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4 (14): 99-121, 2021
39 이규철,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과 공통 교육과정 국어과 의미네트워크 분석" 공주대학교 2019
40 김용혁, "2011과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 비교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