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내용 비교 분석: 국어, 수학과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d Analysis of Assessment Cont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ith a focus o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1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basic curriculum assessment pla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at the stage of collecting data and refining keywords in the dictionary, the stage of extracting keywords, and the stage of analyzing and visualizing semantic networks. The R program, Textom, and UCINET were used to extract keyword frequency and analyze semantic networks and central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and "utilization" were common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two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second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related to the specific achievement and assessment criteria such as "work" "not covered," and "fraction"; and final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Basic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fit for the individual educational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uch as "strength" and "generalization assess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evaluation plans of the Basic Curriculum to be revis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basic curriculum a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basic curriculum assessment pla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at the stage of collecting data and refining keywords in the dictionary, the stage of extracting keywords, and the stage of analyzing and visualizing semantic networks. The R program, Textom, and UCINET were used to extract keyword frequency and analyze semantic networks and central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and "utilization" were common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two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second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related to the specific achievement and assessment criteria such as "work" "not covered," and "fraction"; and final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Basic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fit for the individual educational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uch as "strength" and "generalization assess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evaluation plans of the Basic Curriculum to be revis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집 및 핵심어 사전 정제 단계, 핵심어 추출 단계, 의미 연결망 분석 및 시각화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어 빈도 추출과 의미 연결망 및 중심성 분석을 위해 R프로그램과 Textom, UCINET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 빈도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에서 ‘학생’, ‘활용’과 같은 공통된 핵심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작품’, ‘다루지 않음’, ‘분수’ 등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대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셋째,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강점’, ‘일반화 평가’ 등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정되는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

      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집 및 핵심어 사전 정제 단계, 핵심어 추출 단계, 의미 연결망 분석 및 시각화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어 빈도 추출과 의미 연결망 및 중심성 분석을 위해 R프로그램과 Textom, UCINET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 빈도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에서 ‘학생’, ‘활용’과 같은 공통된 핵심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작품’, ‘다루지 않음’, ‘분수’ 등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대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셋째,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강점’, ‘일반화 평가’ 등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정되는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수진,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평가 전문성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김지윤, "특수학급 아동의 진단과 판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3 정혜원,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규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전통적 평가와 수행평가의 비교 사례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남수 ; 박경옥 ; 강은영, "특수학교 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275-299, 2020

      6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5

      7 한경화 ; 한경임,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30 (30): 313-347, 2020

      8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9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육과학사 2016

      10 김재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시기별 학술 담론의 특징 분석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47-90, 2020

      1 여수진,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평가 전문성 비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김지윤, "특수학급 아동의 진단과 판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3 정혜원,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규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전통적 평가와 수행평가의 비교 사례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남수 ; 박경옥 ; 강은영, "특수학교 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275-299, 2020

      6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5

      7 한경화 ; 한경임,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30 (30): 313-347, 2020

      8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9 정동영, "특수교육 교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육과학사 2016

      10 김재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시기별 학술 담론의 특징 분석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47-90, 2020

      11 박치성 ; 이준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대규모 텍스트의 자료정리(Data Cleaning)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국정관리학회 27 (27): 35-68, 2017

      12 김유정 ; 장원형 ; 홍훈기,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225-250, 2019

      13 최숙경,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수행평가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2014

      14 백기엽, "초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 실태 및 개선요구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5 이해란, "초등특수학교의 IEP-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부산대학교 2021

      16 권순황, "청각장애 특수교육 공통교육과정 국어과의 교육과정 수업 평가 일체화 쟁점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1 (11): 1-18, 2020

      17 남지연, "지체장애 특수학교 음악과에 대한 수행평가 적용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8 박해육, "지방자치단체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임실군 치즈밸리 지역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143, 2007

      19 김희규, "장애학생의 교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효율화 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3 (3): 57-76, 2010

      20 강경숙 ; 박미경, "장애학생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적용 및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1-28, 2017

      21 이호연, "장애유형과 장애정도가 초등 특수교사의 평가방법 및 시기, 평가 결과 기록 및 활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2015

      22 강은영 ; 박경옥, "일반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정당한 평가를 실현하기 위한 평가 방법 탐색- 세분화된 평가준거에 기초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63-85, 2019

      23 정영선 ; 이승연 ; 김경은,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2015 개정 도덕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87-119, 2019

      24 김종현 ; 남윤석, "수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수학 학습 특성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5 (25): 198-227, 2018

      25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4

      26 윤지영, "빅 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8

      27 김준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결과 해석에 관한 소고 - 행정학 분야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16): 247-280, 2015

      28 이은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평가준거 성취기준 개발 연구" 용인대학교 2019

      29 강은영 ; 박경옥 ; 박남수 ; 박은희 ; 이은규 ; 박지민 ; 염지혜,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재해석을 통한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방향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35-163, 2020

      30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31 이필상, "2015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내용 체계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적 개정 요구 연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4 (14): 77-99, 2021

      32 이영찬,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통합교과 연계성 분석: 기본 교육과정과 공통 교육과정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21

      33 송승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25, 2019

      34 교육부,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0-249호 [별책 3]"

      35 교육부,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길라잡이" 교육부 2016

      36 교육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8-162호 [별책 2]"

      37 교육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38 권순황,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 초등과학 교과의 과학과 본성 반영 특성 비교"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4 (14): 99-121, 2021

      39 이규철,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과 공통 교육과정 국어과 의미네트워크 분석" 공주대학교 2019

      40 김용혁, "2011과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 비교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