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현진 ; 한경임, "특수학교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25-144, 2013
2 임장현, "특수학교 기반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한 요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103-129, 2019
3 구민관 ; 김경양, "특수학교 교사들의 AAC 기기 인지와 활용지도 및 AAC 기기 확보와 활용에 관한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 실태에 관한 인식 연구: 부산지역 중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15-136, 2014
4 김시원 ; 백혜정 ; 정영록, "특수학교 AAC 연구동아리 ‘보통날’의 지도 사례보고"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11-128, 2016
5 박경옥 ; 김지연 ; 옥민욱, "특수교사의 보조공학 활용현황 및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9 (29): 304-335, 2022
6 김정기 ; 전병운, "특수교사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적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10 (10): 109-144, 2022
7 이경미 ; 박경옥, "참여모델에 근거한 AAC 당사자의 기회장벽 경험에 대한 문헌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1 (61): 177-204, 2022
8 박경옥 ; 김경양 ; 양은애, "지체중복장애학생의 AAC 지원을 위한 학교 기반 교육 컨설팅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6 (6): 79-103, 2018
9 박경옥 ; 김경양,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AAC 지원을 위해 전문가 컨설팅에 참여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의 경험"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23-145, 2019
10 김정기 ; 전병운,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적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5 (5): 51-74, 2017
1 한현진 ; 한경임, "특수학교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25-144, 2013
2 임장현, "특수학교 기반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한 요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103-129, 2019
3 구민관 ; 김경양, "특수학교 교사들의 AAC 기기 인지와 활용지도 및 AAC 기기 확보와 활용에 관한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 실태에 관한 인식 연구: 부산지역 중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15-136, 2014
4 김시원 ; 백혜정 ; 정영록, "특수학교 AAC 연구동아리 ‘보통날’의 지도 사례보고"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11-128, 2016
5 박경옥 ; 김지연 ; 옥민욱, "특수교사의 보조공학 활용현황 및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9 (29): 304-335, 2022
6 김정기 ; 전병운, "특수교사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적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10 (10): 109-144, 2022
7 이경미 ; 박경옥, "참여모델에 근거한 AAC 당사자의 기회장벽 경험에 대한 문헌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1 (61): 177-204, 2022
8 박경옥 ; 김경양 ; 양은애, "지체중복장애학생의 AAC 지원을 위한 학교 기반 교육 컨설팅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6 (6): 79-103, 2018
9 박경옥 ; 김경양,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AAC 지원을 위해 전문가 컨설팅에 참여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의 경험"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23-145, 2019
10 김정기 ; 전병운,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적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5 (5): 51-74, 2017
11 국가인권위원회, "중증중복장애 교육권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8
12 채수정 ; 연석정 ; 박경옥 ; 김경양, "중도 비구어장애인을 위한 AAC 어휘 및 그림상징 개발: 인권, 피해, 지역사회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19-140, 2020
13 이진승, "영국 성인발달장애인 조지레인 케어홈 운영사례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8 (8): 23-43, 2017
14 최다영 ; 한경임, "삽입교수를 활용한 AAC 중재가 헌터증후군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과 자발적 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155-184, 2021
15 박한빛 ; 이주연 ; 박현주,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 부모의 AAC 포기 경험과 지원 요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51-76, 2020
16 우정한 ; 김동규 ; 김영걸 ; 김용욱,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웹 읽기이해 프로그램이 읽기곤란학생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299-322, 2019
17 Hall, T.,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 학지사 2012
18 신정미 ; 이수향,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인식 조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18, 2016
19 이희연 ; 홍기형,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글자판의 단어예측기능에 대한 뇌병변장애인 대상의 사용성 평가" 한국재활복지공학회 9 (9): 209-214, 2015
20 임장현 ; 박은혜 ; 구정아, "보완대체의사소통 (AAC) 중재서비스에 대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요구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2 (12): 309-332, 2013
21 박경옥,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보조기기 개발 기초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8
22 이근민 ; 임성빈 ; 나대영, "미국과 한국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 비교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11 (11): 99-105, 2017
23 박정애 ; 박은혜, "그림상징을 활용한 이야기 읽기 활동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발달장애학생의 철자지식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1-28, 2020
24 한경임, "경남, 부산 지역 특수교육 기관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실태와 연구 현황" 3 (3): 31-55, 2015
25 민미영 ; 지경미 ; 배수진, "가정과 연계한 AAC 말하기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친 효과 -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일상 경험 말하기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5 (5): 125-155, 2017
26 Maras, K., "The Witness-Aimed First Account(WAFA) : A new technique for interviewing autistic witnesses and victims" 24 (24): 1449-1467, 2020
27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16
28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Person Education 2007
29 Johnson, J. M., "Perspectives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regarding success versus abandonment of AAC" 22 : 85-99, 2006
30 박현주, "Parents’ Experiences and Acceptance Factors of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5 (25): 318-333, 2020
31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008
32 Beukelman, D.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 in children and adults" Paul H. Brookes 2005
33 Iacono, T., "An exploration of communication within active support for adults with high and low support needs" 32 : 61-70, 2018
34 남세현 ; 박은혜 ; 김경양 ; 김영태, "AAC중재 사회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29-55, 2015
35 이재신 ; 박은혜, "AAC 활용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AAC 지식 및 적용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313-337, 2018
36 김경양 ; 김성현, "AAC 중심으로 특화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폐학회 20 (20): 103-128, 2020
37 김경양, "AAC 기기 활용 중재서비스를 위한 요구 및 인식 연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5 (5): 95-124, 2017
38 Moorcroft, A., "A systematic review of the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the provision and use of low-tech and unaided AAC systems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nd their families" 14 : 710-731, 2019
39 교육부,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4호)[별책 1]"
40 교육부, "2022 기본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4호)[별책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