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궁예정권의 서남지역 경략과 토착세력의 동향 = Gungye's Governance over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and Native Tre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5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궁예정권의 서남해지역 경략의 주체는 왕건이며,『高麗史』등에 비교적 상세한 기록이 남아 있다. 왕건이 현지 호족들의 도움을 받아 후백제의 도전을 물리치고 여러 차례의 전투에 승리하...

      궁예정권의 서남해지역 경략의 주체는 왕건이며,『高麗史』등에 비교적 상세한 기록이 남아 있다. 왕건이 현지 호족들의 도움을 받아 후백제의 도전을 물리치고 여러 차례의 전투에 승리하여 서남해지역을 차지한 내용이 핵심이다. 그러나 양국의 대립은 왕건이 활약한 궁예정권의 일방적인 우세가 아니라 일진일퇴 공방전의 연속이었다.
      왕건의 입장을 주로 반영하여 서술된 사료에 대한 비판 없이 진행된 기존의 연구는 실체적인 면모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없지 않다. 서남해지역이 오랜 세월 동안 경관의 변화가 일어나 地形이 크게 변화된 사실 역시 고려해야 한다. 양국의 치열한 대립 속에 표출된 토착세력의 향배는 문헌 사료 외에 설화와 지명 등에 반영되어 있다. 왕건 및 견훤 출생 설화, 몽탄과 복사초리 및 복룡산 전투 설화, 왕망 설화 및 여러 地名,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등은 부족한 문헌 사료를 보완할 수 있는 간접 자료이다.
      양국의 대립은 현지 호족세력의 향배와 맞물려 복잡한 양상을 띠고 전개되었다. 궁예정권이 서남해지역 진출에 사활을 건 까닭은 후백제의 배후를 교란할 수 있는 정치·군사적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목적 때문이다. 그 외에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곡창지대이며, 여러 나라와 연결되는 해상교통의 요충지를 차지하려는 의도도 없지 않았다.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은 단일한 세력권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포구와 도서를 중심으로 여러 집단이 공존하였다. 서남해지역의 토착세력은 榮山內海의 남쪽과 북쪽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길을 선택하였다. 도서지역의 해상세력 역시 독자적인 활동을 전개하면서 끊임없이 자활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후백제가 전주로 천도한 후 서남해지역으로 진출하기 이전까지 10여 년 동안 자립을 유지하였다. 후백제는 901년에 서남해지역으로 진출하여 탐진강 유역과 영산강 중·하류지역 등 영산내해 남쪽을 차지하였다. 궁예정권 역시 후백제의 압박에 위협을 느낀 나주 등의 호족과 연결하여 後高句麗期에 해당하는 903년에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궁예정권과 후백제의 대립은 摩震期에 해당하는 909년 이후 본격화되었다. 양국은 수차례에 걸쳐 陸戰과 海戰을 치렀다. 궁예정권은 911년에 벌어진 파군교 전투와 복사초리 전투 등을 승리로 이끌면서 서남해지역 전역을 석권하였다. 궁예정권은 승리의 여세를 몰아 국호를 泰封으로 바꾸는 등 전성기를 구가하게 되었다.
      궁예정권의 서남해지역 경략에서 大尾를 장식한 전투는 궁예가 912년 親征한 덕진만 海戰이었다. 태봉은 서남해지역을 확고히 장악하여 후백제의 배후를 위협하는 군사적 거점으로 활용하고, 풍부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은 전쟁 국면을 유리하게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ungye's government desperately advanced towards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with the purpose of using it as a political and military base which might disturb the post-Baekje kingdom. In addition, it was a rich grain belt and a strategic point for s...

      Gungye's government desperately advanced towards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with the purpose of using it as a political and military base which might disturb the post-Baekje kingdom. In addition, it was a rich grain belt and a strategic point for sea traffic which was connected with many countries.
      The sea powers of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centering on ports and islands rather than a single power. The natives of the area were separated into those in the south and those north of the inland sea of Yongsan. Sea powers of the islands pursued being self-supporting while doing independent activities. They had maintained their independence for ten years before they advanced towards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after the post-Bekje kingdom moved its capital to Jeonju.
      The Post-Bekje kingdom advanced towards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in 901 and occupied the south of the inland sea of Yongsan, the Tamjin river area, and the Youngsan river midstream and low stream area. Gungye's government developed a bridgehead in 903 which was in the post-Goguryeo period by uniting with powerful families which felt threatened by pressure from the post-Bekje kingdom.
      Opposition between Gungye and the post-Bekje kingdom increased after 909 which was the Majin period. Both countries had several land and sea battles. The Gungye government conquered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winning the Pagungyo Battle and the Boksachori Battle in 911. It had a period of prosperity through successive victories and changed its national name to Taebong.
      Its finale battle was Dukjin Bay Battle which Gungye oversaw himself in 912. Taebong was used as a military base which threatened the background of the post-Bekje kingdom by dominating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and the abundant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was energy for victory in batt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後高句麗 時期의 진출과 토착세력의 내응
      • Ⅲ. 摩震 時期의 진출과 서남해지역 교두보 확보
      • Ⅳ. 泰封 時期의 서남해지역 석권과 궁예의 親征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後高句麗 時期의 진출과 토착세력의 내응
      • Ⅲ. 摩震 時期의 진출과 서남해지역 교두보 확보
      • Ⅳ. 泰封 時期의 서남해지역 석권과 궁예의 親征
      • Ⅴ. 맺음말
      • 參考文獻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진, "羅末麗初 桐裏山門의 성립과 그 사상" 57 : 1988

      2 나주군지편찬위원회, "羅州郡誌" 나주군 1908

      3 박한설, "羅州道大行臺考" 1 : 1985

      4 강봉룡, "후백제 견훤과 해상세력" 83 : 2002

      5 문안식, "한국고대의 지방사회" 혜안 2004

      6 배재훈, "한국 고대사회와 나주 공산면, In 나말려초 나주의 역사문화 전개와 공산지역" 2012

      7 이기백, "태조 왕건과 그의 호족연합정치, In 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8 이기백, "태조 왕건과 그의 호족연합정치, In 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9 박병훈, "철마산성 조사 보고서, 진도군 향토유적 지정자료 조사 보고서(Ⅱ)" 2009

      10 목포대박물관, "진도군의 문화유적" 1987

      1 김두진, "羅末麗初 桐裏山門의 성립과 그 사상" 57 : 1988

      2 나주군지편찬위원회, "羅州郡誌" 나주군 1908

      3 박한설, "羅州道大行臺考" 1 : 1985

      4 강봉룡, "후백제 견훤과 해상세력" 83 : 2002

      5 문안식, "한국고대의 지방사회" 혜안 2004

      6 배재훈, "한국 고대사회와 나주 공산면, In 나말려초 나주의 역사문화 전개와 공산지역" 2012

      7 이기백, "태조 왕건과 그의 호족연합정치, In 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8 이기백, "태조 왕건과 그의 호족연합정치, In 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9 박병훈, "철마산성 조사 보고서, 진도군 향토유적 지정자료 조사 보고서(Ⅱ)" 2009

      10 목포대박물관, "진도군의 문화유적" 1987

      11 최연식, "전남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7 : 2011

      12 문안식, "왕인의 渡倭와 상대포의 해양교규사적 위상" 한국고대사학회 31 : 149-178, 2003

      13 김대중, "왕건의 후삼국통일과 나주의 전략적 위상, In 나말여초 나주의 역사문화 전개와 공산지역"

      14 채수환, "왕건의 고려건국과 나주에 관한 일고찰" 10 : 1992

      15 이진영, "왕건과 견훤의 복사초리 공방전" 재광나주향후회 (7) : 2009

      16 허경회, "영산강유역 설화에 나타난 주민의식의 비교연구" 1 : 1998

      17 광산문화원, "어등의 맥" 1996

      18 최성환, "신안군의 문화유산" 신안군ㆍ신안문화원 2008

      19 정청주, "신라말․고려초의 나주호족" 14 : 1991

      20 박정주, "신라말․고려초 獅子山門과 政治勢力" 77 : 1984

      21 정청주, "신라말 고려초 호족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一考" 118 : 1988

      22 전남대 박물관, "무진고성2"

      23 무안군, "무안군사"

      24 강봉룡, "나주시의 관방유적, In 나주시의 문화유적" 목포대․나주시 1999

      25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회진성 3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

      26 강봉룡, "나말여초 왕건의 서남해지역 장악과 그 배경" 21 : 2003

      27 고려대 박물관, "나말여초 서남해지방의 해양세력과 왕건․견훤, In 장보고와 동아시아 세계"

      28 추만호, "나말 선사들과 사회제세력과의 관계" 30 : 1986

      29 이태진, "김치양난의 성격" 17 : 1977

      30 신성재, "궁예정권의 군사정책과 후삼국전쟁의 전개" 연세대 대학원 2006

      31 영암신문, "구한말 영산강의 모습은 어땠을까"

      32 유영철,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정 연구" 경인문화사 2005

      33 김당택, "고려시대의 나주, In 나주목의 재조명" 목포대 박물관 1990

      34 김갑동, "고려시대 나주의 지방세력과 그 동향" 11 : 2001

      35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6 강희웅, "고려 혜종조 왕위계승란의 신해석" 7 : 1977

      37 김상기, "고대의 무역형태와 나말의 해상발전에 就하여" 1948

      38 변동명, "고구왕실과 나주, In 한국중세의 지역사회연구" 학연문화사 2002

      39 강봉룡, "견훤의 세력기반 확대와 전주 정도, In 후백제 견훤정권과 전주" 주류성 2001

      40 정청주, "견훤의 豪族政策" 19 : 2002

      41 권덕영, "견당사의 왕복항로, In 고대한중외교사" 일조각 1997

      42 문수진, "高麗建國期의 羅州勢力" 4 : 1987

      43 류선영, "高麗太祖妃 莊和王后" 전남대 이순신해양문화연구소 1 : 2011

      44 "高麗史"

      45 文暻鉉, "高麗 太祖의 後三國 統一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6

      46 전라남도, "道指定文化財調査報告書" 1987

      47 김상기, "羅末 地方群雄의 對中通交, In 황의돈선생고의기념 사학논총" 1960

      48 문안식, "百濟의 西南海 島嶼地域 進出과 海上交通路 掌握" 백제연구소 (55) : 273-297, 2012

      49 변동명, "甄萱의 出身地 再論" 90 : 2000

      50 "東文選"

      51 "東史綱目"

      52 조선총독부, "朝鮮寶物古跡調査資料" 1942

      53 권덕영, "新羅 遣唐使의 羅唐間 往復行路에대한 고찰" 149 : 1996

      54 "新增東國輿地勝覽"

      55 김명진, "太祖王建의 나주 공략과 압해도 능창 제압" 도서문화연구원 (32) : 273-327, 2008

      56 李重煥, "八道總論 全羅道, 擇里志"

      57 "世宗實錄"

      58 "三國史記"

      59 이기동, "9~10세기, 황해를 무대로 한 韓中日 삼국의 해상활동, In 한중문화 교류와 남방해로" 집문당 1997

      60 김대길, "18~19세기 지방장시에 대한 일고찰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In 우인김용덕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