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형혁신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 및 하위지표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sub-indica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Seoul-type Hyukshin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0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and sub-indica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new academic ability, which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eoul-type Hyukshin Scho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and sub-indica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new academic ability, which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eoul-type Hyukshin School. 

      Methodology: The author reviewed Seoul-type Hyuksh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performed one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two Delphi survey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concerned.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 defined as 'children who make their lives happy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The core competencies are divided into cognitive, social・emotional, and practical ones. 

      Value: First, the evaluation of Hyukshin schools is prepared with a performance index that can be measured with a new view of academic background that encompasses cognitive ability. Second, five basic spirits of Seoul-type Hyukshin School are established along with student competenc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class. Third, as part of th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actical competency is included to combine life and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의 이론적 토대인 새로운 학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로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과 하위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형 혁신초등학교의 교육과정 고찰...

      본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의 이론적 토대인 새로운 학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로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과 하위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형 혁신초등학교의 교육과정 고찰, 혁신학교 부장경력이 있는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1회의 FGI와 혁신학교 교사, 혁신학교 교장, 혁신학교 업무 담당 장학사 2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초등 학생상을 ‘자신의 삶을 행복하고 더불어 사는 삶으로 가꾸는 어린이’로 정의하고 핵심역량을 지성을 기르는 인지역량, 감성과 건강을 키우는 사회‧정서역량 및 자신의 삶과 지속 가능한 세상을 가꾸는 실천역량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학교의 변화를 시도해 온 혁신학교 평가를 인지능력을 포괄하는 새로운 학력관으로 측정‧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마련하였다. 둘째, 인권과 평등, 책임과 공공성, 자율과 창의, 자발과 참여, 소통과 협력이라는 서울형혁신학교의 5대 기본정신과 초등이라는 급별 특수성이 반영된 학생역량을 정립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역량의 한 부분으로 실천역량이 포함되어 삶과 교육이 결합된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설계가 가능한 학습주제를 형성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2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경기도교육청 2019

      3 서민희, "혁신학교 성과 분석–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 기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4 조상식, "혁신미래교육을 위한 새로운 학력관의정립과 실현 방안" 서울시교육청 2015

      5 제시카 조엘 알렉산더, "행복을 배우는 덴마크 학교 이야기" 생각정원 2020

      6 김 용, "학교교육과정의 자율성과 학사 운영의 민주성 확대를 통한민주주의 확립 방안 연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7

      7 마이클 풀란,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21세기 연구소 2017

      8 서근원,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 교육과학사 2020

      9 김 용, "충북형 미래학력의 방향과 내용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2015

      10 서민희,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9 (39): 1-21, 2018

      1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2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경기도교육청 2019

      3 서민희, "혁신학교 성과 분석–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 기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4 조상식, "혁신미래교육을 위한 새로운 학력관의정립과 실현 방안" 서울시교육청 2015

      5 제시카 조엘 알렉산더, "행복을 배우는 덴마크 학교 이야기" 생각정원 2020

      6 김 용, "학교교육과정의 자율성과 학사 운영의 민주성 확대를 통한민주주의 확립 방안 연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7

      7 마이클 풀란,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21세기 연구소 2017

      8 서근원,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 교육과학사 2020

      9 김 용, "충북형 미래학력의 방향과 내용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2015

      10 서민희,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9 (39): 1-21, 2018

      11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2 이가영, "전북교육의 핵심역량 체계 개발 연구" 전북교육연구정보원 2015

      13 박상현, "서울형혁신학교의 종단적 효과분석: 새로운 학력 관점의학생역량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연구정보원 2016

      14 박삼철, "서울형혁신학교 운영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연구정보원 2019

      15 이윤미, "서울형혁신학교 성과분석 및 운영개선을 위한 국제협력연구-1차년 보고서" 서울특별시교육청연구정보원 2019

      16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형혁신학교 10년, 학교혁신의 길을 묻다 토론회 발제문"

      17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형 혁신학교 종합평가 운영 계획" 서울시교육청 2020

      18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형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서울시교육청 2020

      19 박상현,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설문문항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연구정보원 2019

      20 김경희, "서울학생역량 검사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연구정보원 2019

      21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서울특별시교육청 고시 제2016-9호)"

      22 김경희,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학생역량 검사지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연구정보원 2020

      23 서울특별시교육청, "생태전환교육 중장기(2020~2024) 발전 계획" 서울시교육청 2020

      24 김경희, "새로운 학력 지표 구성 및 측정 방안 연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충북: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25 성열관, "새로운 학력 개념 정립 및 구현 방안"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7

      26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16

      27 양서영, "교사-학생관계에 대한 혁신중학교 효과분석: 마할라노비스 거리 매칭의 적용"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1-21, 2017

      28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29 김위정, "경기도 교육과정 핵심역량 체계 재정비 및 측정도구 개발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30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2005

      31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Flyer)" OECD 2018

      32 김아미, "OECD 학습 나침반 2030: 변혁적 역량과 민주시민교육의 접점"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33 남궁지영, "KEDI 학생역량 조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개발원 2015

      34 Rose, L. Colby, "Competency-Based Education: A New Architecture for K-12 Schooling" Harvard Education Press 2017

      35 권희경, "2018 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교육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5 2.25 2.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7 1.68 2.64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