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역사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낯선 타자인 고전문학 텍스트를 현재 나의 삶과 연계된 것으로 체험할 수 있는 창의적 수업전략을 구안하고 실행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64645
2011
-
KCI등재
학술저널
183-215(3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역사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낯선 타자인 고전문학 텍스트를 현재 나의 삶과 연계된 것으로 체험할 수 있는 창의적 수업전략을 구안하고 실행하...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역사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낯선 타자인 고전문학 텍스트를 현재 나의 삶과 연계된 것으로 체험할 수 있는 창의적 수업전략을 구안하고 실행하는 방법론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하고자 하는 데 있다. 교육연극의 다양한 방법론 중에서 창의적 드라마는 즉흥적, 비공연적, 과정 중심적인 연극형식으로 드라마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언어와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기술, 창의성, 긍정적인 자아 개념, 연극예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잠재력을 기를 수 있다.
고전문학 교육에서 창의적 드라마를 활용할 때 학습자들은 역사적 거리를 뛰어넘어 체험을 통해 작품 속의 인물, 사건, 배경을 입체적으로 만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 삶의 보편적 진리를 이해함으로써 전인적 성장을 이루고 새로운 배움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황조가> 감상을 위해 1) 배경설화의 맥락을 통한 서사 재구성 과정 2) 인물 탐구를 통한 정서 내면화 과정으로 드라마 수업구조를 구안하고 실행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수업의 전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드라마 관습을 통해 <황조가>의 두 측면, 서정시와 서사시의 가능성을 모두 탐구하게 되며, 유리왕 시대의 역사적 사실이 들려주지 못하는 빈 공간의 이야기를 문학적 상상력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을 해봄으로써 서사와 인물 이해에서 나아가 작품의 정서와 주제를 깊이 내면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상상력 사이에서 우리는 숨겨진 진실이 무엇인가를 묻고 답을 찾아야 한다. 그 작업을 도와줄 수 있는 것이 바로 드라마이다. 고전문학 교육이 현장과 유리된 이론 탐구나 작품의 해석과 고증에 머물지 않고 학습자로 하여금 인간 삶을 총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들이 드라마를 활용한 교육에 관심을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use of educational drama to compose and practice crea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ancient literary works, unfamiliar and historically far away objects under the light of their real present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use of educational drama to compose and practice crea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ancient literary works, unfamiliar and historically far away objects under the light of their real present lives. The creative dramas, which are prompt, non-performance, processoriented form of play, among various educational play teaching methods let the students enhance their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capacity, creativity, positive self-esteem and potential to understand the art play by participating the drama activities.
The use of creative drama in teaching the ancient literature enable students to meet the characters and perceive the events and backgrounds from diverse perspectives, which leads to holistic growth by their understanding the universal truth found in the works.
This thesis is about how to make the teaching structures and arrange the real activities focusing on 1) narration restructuring process using the context of the background legends 2) internalization process of emotion by studying the characters in teaching Hwangjoga(the song of a nightingale).
The students are led to study two possibilities of the poem, epic or lyric, and restructure the vacant part which historical fact cannot identify. These learning activities let students internalize the feeling and theme of the think of all the possibilities.
We should try to ask and find the truth hidden between historical facts and literary imagination. It's the drama teaching that help to solve the problem. I hope that the teachers will be interested in teaching ancient poetry using drama activities during the class in order to experience the human life from various perspectives rather than staying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interpret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detached from real lif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찬, "황조가의 신고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9 : 1969
2 주문경, "황조가 의 국어교육론적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2004
3 현승환, "황조가 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백록어문학회 14 : 1997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
5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4
6 심경호, "한국 고전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학교육학회 6 : 2000
7 최영애, "연극놀이의 개념과 실제" 한국예술종합학교연극원 (창간) : 2000
8 김순희, "연극 관습(Dramatic Conventions)소개" 한국예술종합학교 아동청소년 예술센터 2005
9 염은열,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 읽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6) : 65-90, 2008
10 이정순, "교육연극론의 성과와 전망, In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 인간 2000
1 김승찬, "황조가의 신고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9 : 1969
2 주문경, "황조가 의 국어교육론적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2004
3 현승환, "황조가 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백록어문학회 14 : 1997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
5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4
6 심경호, "한국 고전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학교육학회 6 : 2000
7 최영애, "연극놀이의 개념과 실제" 한국예술종합학교연극원 (창간) : 2000
8 김순희, "연극 관습(Dramatic Conventions)소개" 한국예술종합학교 아동청소년 예술센터 2005
9 염은열,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 읽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6) : 65-90, 2008
10 이정순, "교육연극론의 성과와 전망, In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 인간 2000
11 김 선, "교육연극(Educational Drama)에서의 리더의 접근방식 연구: 크리에이티브 드라마(Creative Drama)와 디․아이․이이(Drama in education)를 중심으로" 중앙대 1997
12 김석회, "고전시가 연구와 교육의 전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8) : 69-85, 2009
13 염은열,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전문학과 교육』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8) : 5-40, 2009
14 고정희, "고전문학의 시공간적 거리감과 문학사적 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14): 89-120, 2007
15 김흥규, "고전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 한신문화사 3 : 1992
16 조희정, "고전 리터러시의 ‘시공간적 거리감’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9) : 61-93, 2006
17 박경신, "고등학교 문학(상)" (주)금성교과서 2003
18 장선희, "고구려의 <황조가> 연구" 20 : 1995
19 서유경, "‘공무도하가’에 대한 표현 교육론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121-146, 2007
20 Jed H. Davis, "Theatre, Children and Youth" Anchorage Press 1982
21 Winifred Ward, "Playmaking with Children" Appleton-Century -Crofts 1957
22 Way Brian, "Development Through Drama" Humanities Press 1967
23 Nellie Mccaslin,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Longman Inc 1985
24 정재찬, "21세기 문학교육의 전망" 한국문학교육학회 2000
고전문학의 문화상품 제작 사례 연구 -공연예술 문화상품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 사회문화적 상황과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 -자본과 욕망의 시대, 존재와 가치의 근원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4 | 2.362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