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화선: 마음을 밝히는 몸의 철학 = Ganhwa Seon: A Somatic Philosophy to Illuminate the Min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간화선에서 몸은 어떠한 의미로 마음과 관계맺음을 할까? 수행을 하는 사람이라면, 몸과 그 몸을 토대로 하는 마음에 관심이 많다. 개인 수행에 집중하게 하는 초기유식 섭대승론과 간화선 ...

      간화선에서 몸은 어떠한 의미로 마음과 관계맺음을 할까? 수행을 하는 사람이라면, 몸과 그 몸을 토대로 하는 마음에 관심이 많다. 개인 수행에 집중하게 하는 초기유식 섭대승론과 간화선 전통을 연결해 보려는 시도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 있다. 서양철학에서 몸에 관련된 논의를 함께 거론하려는 것도 간화선을 이해하려는 다른 방법의 제시이다. 참선은 우리에게 근사한 세계를 연다. 화두의 세계이며 몸의 세계이다. 의심이라는 커다란 이슈를 품고 마음을 들여다보고 틀어잡으면서 그것에 용맹정진, 간절함을 가지고 온 힘을 기울이는 경험은 불교도들에게 필수적인 코스가 되었다.
      수행전통은 사사로움과 은폐성으로 인해, 마음과 몸의 일임에도 불구하고 그 세세한 여정과 궁극으로 나아감을 알아차리기는 어렵다. 보편화하거나 대중적으로 공유하려면, 언어를 통해야하는 수고스러움이 있다. 내면세계 속에서 집중하는 것은 외부의 일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개인만의 희열에 머물기보다는 공동체에 집중할 수밖에 없음을 강조하는 것은, 수행이 마음을 향해 있지만 그것은 자신의 몸이 세상과 어떻게 작용하고 영향을 주고받는지 알게함이다. 초기유식과 간화선은 수행을 위한 방법론으로 몸에 관련하여 텍스트와 현실세계에서 교류가 있는 편이지만, 서양철학에서 몸에 관련된 언급들은 설명서 역할에 머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Ganhwa practitioner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is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body, and the mind that has the body as its means of expression, I will connect the practice tradition of Ganhwa Se...

      For Ganhwa practitioner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is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body, and the mind that has the body as its means of expression, I will connect the practice tradition of Ganhwa Seon and the She dasheng lun (Mah āy āna sa ṃgrahaśāstra) of the early Consciousness-Only School which emphasized personal training. I will also present some body-related discussions based on Western philosophy as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Ganhwa Seon. Seon reveals to its practitioners a wonderful world, a realm of hwadu and body. Embracing the great issue called “doubt,”practitioners look into and focus their minds to maintain undaunted practice. This meditation experience, which involves fervent exertion of their whole being, has been established as essential for most Korean Buddhis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wareness in this meditative state partly due to its private and obscure nature, despite it being a matter of body and mind. To make it more universal or to share it with the public entails the trouble of using some language. To concentrate one’s consciousness immersed in the inner world greatly affects the daily life of the outer world. I emphasize that Ganhwa Seon practitioners should concentrate on the community rather than maintaining a state of personal bliss because they should understand how their body interacts with and influences the world, regardless of their Seon practice being focused on their minds. I think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actice theory of both Ganhwa Seon and the early Consciousness-Only School lies in this. Both the early Consciousness-Only School and Ganhwa Seon seem to have som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ir texts and the real world in relation to the body as part of their practice methodology. I employed the body-related discussions based on Western philosophy function as an instruction manu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몸의 철학을 찾아서
      • Ⅱ. 이분법적 사고의 허수와 실수
      • Ⅲ. 간화선 원류: 몸의 언급들
      • Ⅳ. 맺음말
      • 요약문
      • Ⅰ. 몸의 철학을 찾아서
      • Ⅱ. 이분법적 사고의 허수와 실수
      • Ⅲ. 간화선 원류: 몸의 언급들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현,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 강은애, "한국 신행의 중층연구" 9 : 2004

      3 이상호, "중국선종 수행법에 나타난 의정에 대한 연구 : 간화선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불교대학원 2005

      4 Suzuki, D.T, "아홉 마당으로 풀어쓴 선" 한국학술정보 1943

      5 변상섭, "선 신비주의인가 철학인가" 컬처라인 2000

      6 오용석, "대혜종고 간화선 연구" 해조음 2015

      7 우에다 요시부미, "대승불교의 사상" 민족사 1989

      8 姜文善(慧), "간화선에서의 疑와 看에 대한 考察" 한국불교학회 (47) : 199-226, 2007

      9 수불, "간화선과 불교교학" 동국대학교 국제선센터,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 2012

      10 혜민, "간화선, 세계를 비추다"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0

      1 박재현,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 강은애, "한국 신행의 중층연구" 9 : 2004

      3 이상호, "중국선종 수행법에 나타난 의정에 대한 연구 : 간화선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불교대학원 2005

      4 Suzuki, D.T, "아홉 마당으로 풀어쓴 선" 한국학술정보 1943

      5 변상섭, "선 신비주의인가 철학인가" 컬처라인 2000

      6 오용석, "대혜종고 간화선 연구" 해조음 2015

      7 우에다 요시부미, "대승불교의 사상" 민족사 1989

      8 姜文善(慧), "간화선에서의 疑와 看에 대한 考察" 한국불교학회 (47) : 199-226, 2007

      9 수불, "간화선과 불교교학" 동국대학교 국제선센터,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 2012

      10 혜민, "간화선, 세계를 비추다"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0

      11 로버트 버스웰, "간화선(看話禪)에 있어서 의정(疑情)의 전환" 보조사상연구원 (41) : 15-35, 2014

      12 김태완, "간화선 창시자의 선" 침묵의 향기 2011

      13 橫産紘一, "阿黎耶識の三機能" 38 : 1979

      14 추인호, "瑜伽師地論 還滅分에 나타난 알라야식설 연구: 窺基와 道倫의 주석과 관련하여" 동국대 2016

      15 "攝大乘論釋 T.31"

      16 변상섭, "摂大乗論釋 外" 東國大譯經院 2010

      17 長尾雅人, "摂大乗論-和訳と注解 上" 1987

      18 "大慧書:大慧普覺禪師語錄 T.47"

      19 荒木見悟, "佛敎と儒敎" 硏文出版 2013

      20 MacDonald, G., "Why does Social Exclusion hur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Physical Pain" Psychological bulletin 2008

      21 Cassam, Q, "The body and the self" MIT Press 1995

      22 Cassam, Q, "The Oxford Handbook of the Self"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3 Chalmers, D, "The Conscious Mind: In Search of a Fundament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4 Cassam, Q, "Self and World" Clarendon Press 1997

      25 Cole, J., "Pride and a Daily Marathon" Duckworth 1991

      26 Dorothèe L., "Phenomenological Dimensions of Bodily Self-Consciousness. The Oxford Handbook of the Self"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7 Suzuki, D.T, "Living by Zen" Rider and Company 1972

      28 Shoemaker, S., "Identity, Cause, and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29 Husserl. E, "Ideas Pertaining to a Pure Phenomenology and to a Phenomenological Philosoph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89

      30 Martin M.G.F, "Bodily and the Self" MIT Press 1995

      31 Sartre. J.P., "Being and Nothingness" Philosophical Library 1956

      32 Locke, J.,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Clarendon Press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6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