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건축초과이익, 왜 환수하여야 하는가? = Why Do We Levy on the Redevelopment Prof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1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legitimacy of the Levy on Excess Return of Redevelopment (LERR) analyzing whether or not LERR achieves its two stipulated goals: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s’ and ‘social equity’. First, it is not obvious that LERR ...

      This paper examines the legitimacy of the Levy on Excess Return of Redevelopment (LERR) analyzing whether or not LERR achieves its two stipulated goals: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s’ and ‘social equity’. First, it is not obvious that LERR stabilizes housing prices. Even if the prices rise, its upper bound exists-the regional average of newly build housing. Although it sometimes shows rapid growth, it should be regarded the growth based on consumption demand since the government recently enforced strong regulation on investment demand. However, the current LERR treats consumption demand as same as investment demand. Second, the social equity seems to represent the housing wellbeing of low-income households. Yet, LERR neither do set the levy based on the negative effects on affordable housing, nor use the revenue of levy for affordable housing provision.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LERR fails to achieve its main goals is that i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lthough it is purely local issue to evaluate the impacts of redevelopment projects, to grant permission to them, and to minimize their side effects to communities. This implies that LERR can win a social consensus only after the local government includes it in its regional housing policy and uses it to expand regional affordable housing opport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도가 법에서 스스로 제시한 두 가지 핵심 목표, 즉 주택가격 안정과 사회적 형평을 달성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재건축초과이익을 환수하는 것이 주...

      본 연구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도가 법에서 스스로 제시한 두 가지 핵심 목표, 즉 주택가격 안정과 사회적 형평을 달성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재건축초과이익을 환수하는 것이 주택가격 안정에 기여하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주택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지역 내 신규 주택의 평균 가격이라는 상한이 존재하며, 최근 투기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이 다양하게 마련되었으므로 이 상승은 실수요에 기초한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제도는 실수요자에 대해서도동일하게 재건축부담금을 부과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형평이라는 목표는 징수된 부담금의 배분과 사용 기준으로 볼 때 저소득가구의 주거복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행 제도에서 부담금은 재건축사업이 부담가능주택 재고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기초하여 산정되지도 않으며, 그 부담금 역시 부담가능주택 재고 증가를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도 않고 있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도가 이처럼 스스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재건축사업의 인허가와 그에 따른 부작용의 관리가 철저히 지역적인 이슈임에도 불구, 중앙정부 주도로 획일적으로 계획되고 시행되기 때문이다. 향후 지방정부의 주거복지정책 내에 부담가능주택 재고를 확충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때,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도는 ‘부유세’에 대한 반발에서 벗어나 주민들로부터 충분한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동훈, "주택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별 가격상승규모 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43-155, 2004

      2 이춘원,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7

      3 국토교통부,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업무처리지침(고시 제2017-720호)"

      4 김진수, "재건축부담금 제도의 문제점 실증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82 : 67-91, 2018

      5 국토교통부, "재건축부담금 업무매뉴얼"

      6 이창무, "재건축가능성이 아파트 가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93-107, 2004

      7 이춘원,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도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4 : 43-78, 2017

      8 건설교통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법, 9.25일부터 시행"

      9 강팔문, "재건축 이익 환수 헌법정신에 합치"

      10 최막중, "재건축 규제의 허와 실" 한국경제연구원 2006

      1 오동훈, "주택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별 가격상승규모 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43-155, 2004

      2 이춘원,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7

      3 국토교통부,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업무처리지침(고시 제2017-720호)"

      4 김진수, "재건축부담금 제도의 문제점 실증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82 : 67-91, 2018

      5 국토교통부, "재건축부담금 업무매뉴얼"

      6 이창무, "재건축가능성이 아파트 가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93-107, 2004

      7 이춘원,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도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4 : 43-78, 2017

      8 건설교통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법, 9.25일부터 시행"

      9 강팔문, "재건축 이익 환수 헌법정신에 합치"

      10 최막중, "재건축 규제의 허와 실" 한국경제연구원 2006

      11 이용만,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제도가 재건축 시기와 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택학회 13 (13): 81-101, 2005

      12 서초구, "시장과 동떨어진 재건축 부담금 산정방식 손봐야"

      13 김현미, "수요 보호와 단기 투기수요 억제를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브리핑문)"

      14 Bell, C. A., "Workforce housing: The new economic imperative? Fannie Mae Foundation" 4 (4): 3-4, 2002

      15 Association of Bay Area Government, "Regional Housing Need Plan for the San Francisco Bay Area: 2014-2022"

      16 최막중, "PFI 계층혼합형 용도지역제에 기초한 임대주택 확충방안" 42 : 29-53, 2004

      17 Schwartz, A., "Housing Policy in the United States" Routledge 2015

      18 Ewing, R., "Best Development Practices: Doing the Right Thing and Making Money at the Same Time" Planners Press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