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의 식민 지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식민지 권력의 구조와 이를 물질적⋅화폐적으로 떠받치는 역할을 한 식민지 재정의 구조를 해명하는 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
일본의 식민 지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식민지 권력의 구조와 이를 물질적⋅화폐적으로 떠받치는 역할을 한 식민지 재정의 구조를 해명하는 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비교사적인 접근을 통해 식민지 재정을 재검토하게 되면 개별 식민지에 대해서만 관찰해서는 잘 보이지 않던 식민지 재정 전체의 특징이 더욱 선명하게 부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정 현상에서 파생되는 지배 양상과 그 함의에 대해서도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줄 수 있다. 통치기간이 비교적 길고 유사한 통치모델이 적용되었던 대만과 조선의 식민지 재정과 재정 문제에서 비롯된 통치의 제반 양상을 재검토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필자는 본고를 포함하여 대만과 조선의 재정 현상에 관한 일련의 비교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세출 구조 비교 연구, 세입 구조 및 조세부담 비교연구, 지방재정 비교 연구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필자가 금후 수행할 일련의 식민지 재정사 비교연구의 일부에 해당된다. 세출의 비교분석을 통해 세출의 추이와 특징은 물론이고 세출의 부문별 비교를 통해 두 식민지의 통치 양상이 어떤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재정 현상이 식민지 지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추적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두 총독부 세출을 비교한 결과 이하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대만⋅조선총독부의 재정 운용이 외지특별회계라는 동일한 제도적 설계 하에서 운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출 부문에서 확인된 바 재정운영의 실적에는 무시할 수 없는 차이를 낳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 재정 현상은 ‘政務의 貨幣的 표현’이라 정의되는 만큼, 규모(인구와 면적)를 고려한 1인당 또는 단위면적당 세출 규모의 차이는 당연하게도 통치효과에 있어서의 차이를 낳았다.
대만재정독립계획이 성공한 결과 “대만 재정은 비상한 호황을 맞아 收入의 洪水를 現出하여 총독부 당국마저 현혹케 하는 황금시대를 보여주었으며,” 풍부한 재원을 활용한 토목⋅권업 경비의 지출이 “대만 人口 및 民度에 비해 과대하다”고까지 표현했다. 반면 거의 전 시기에 걸쳐 일본정부 일반회계로부터의 보충금에 의존해야 했던 조선총독부로서는 대만총독부와 같은 과감한 재정 지출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고, 이는 결과적으로 대만 수준의 통치경비 지출을 곤란하게 만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식민지 조선 재정에서 식민지 행정 및 ‘순화’ 비용이 상대적으로 훨씬 컸고, 따라서 경제개발이나 산업개발에 돌릴 여력이 대만에 비해 훨씬 작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 – 국민계정 1911-2010"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2 민족문제연구소, "일제하 전시체제기 정책사료총서 (帝國議會說明資料, 제2권)" 한국학술정보 2000
3 문명기, "일제하 대만·조선 공의(公醫)제도 비교연구: 제도 운영과 그 효과" 대한의사학회 23 (23): 157-202, 2014
4 문명기, "일제하 대만·조선 公醫制度에 대한 비교사적 접근 - 제도외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42 : 319-358, 2014
5 정태헌, "일제의 경제정책과 조선사회 –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역사비평사 1996
6 문명기, "왜 <帝國主義下の朝鮮>은 없었는가? ―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의 식민(정책)론과 대만・조선" 역사연구소 (85) : 3-40, 2015
7 문명기, "식민지 ‘문명화’의 격차와 그 함의 -의료부문의 비교를 통해 보는 대만ㆍ조선의 ‘식민지근대’-" 한국학연구소 (46) : 33-69, 2013
8 문명기, "대만ㆍ조선총독부의 초기 재정 비교연구 - ‘식민제국’ 일본의 식민지 통치역량과 관련하여 -" 중국근현대사학회 (44) : 91-113, 2009
9 문명기, "대만・조선의 ‘식민지근대’의 격차 – 경찰 부문의 비교를 통하여" 중국근현대사학회 (59) : 69-100, 2013
10 문명기,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 ‘臺灣모델’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 중국근현대사학회 (53) : 199-220, 2012
1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 – 국민계정 1911-2010"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2 민족문제연구소, "일제하 전시체제기 정책사료총서 (帝國議會說明資料, 제2권)" 한국학술정보 2000
3 문명기, "일제하 대만·조선 공의(公醫)제도 비교연구: 제도 운영과 그 효과" 대한의사학회 23 (23): 157-202, 2014
4 문명기, "일제하 대만·조선 公醫制度에 대한 비교사적 접근 - 제도외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42 : 319-358, 2014
5 정태헌, "일제의 경제정책과 조선사회 –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역사비평사 1996
6 문명기, "왜 <帝國主義下の朝鮮>은 없었는가? ―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의 식민(정책)론과 대만・조선" 역사연구소 (85) : 3-40, 2015
7 문명기, "식민지 ‘문명화’의 격차와 그 함의 -의료부문의 비교를 통해 보는 대만ㆍ조선의 ‘식민지근대’-" 한국학연구소 (46) : 33-69, 2013
8 문명기, "대만ㆍ조선총독부의 초기 재정 비교연구 - ‘식민제국’ 일본의 식민지 통치역량과 관련하여 -" 중국근현대사학회 (44) : 91-113, 2009
9 문명기, "대만・조선의 ‘식민지근대’의 격차 – 경찰 부문의 비교를 통하여" 중국근현대사학회 (59) : 69-100, 2013
10 문명기,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 ‘臺灣모델’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 중국근현대사학회 (53) : 199-220, 2012
11 臺灣總督府, "臺灣總督府統計書 (各年版)"
12 東鄕實, "臺灣植民發達史" 成文出版社 1985
13 水田直昌, "總督府時代の財政" 友邦協會 1974
14 高橋龜吉, "現代朝鮮經濟論" 千倉書房 1935
15 김재호, "植民地期의 財政支出과 社會間接資本의 形成" 경제사학회 46 : 85-125, 2009
16 岡本眞希子, "植民地官僚の政治史 - 朝鮮·臺灣總督府と帝國日本" 三元社 2008
17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統計年報 (各年版)"
18 金子文夫, "書評: 平井廣一, 日本植民地財政史硏究" 64 (64): 1999
19 臺灣總督府 警務局, "昭和15年臺灣總督府警察統計書"
20 溝口敏行, "旧日本植民地經濟統計-推計と分析" 東洋經濟新報社 1988
21 林煒舒, "日治時期臺灣歲計制度建立之硏究, 1895-1899" 國立中央大學 歷史硏究所 2009
22 坂入長太郞, "日本財政史 – 資本主義と財政の政治過程" バリエ社 1983
23 平井廣一, "日本植民地財政史硏究" ミネルヴァ書房 1997
24 持地六三郞, "日本植民地經濟論" 改造社 1926
25 山本有造, "日本植民地經濟史硏究" 名古屋大學出版會 1992
26 涂照彦, "日本帝國主義下の臺灣" 東京大學出版會 1975
27 張漢裕, "日據時代臺灣經濟之演變(臺灣經濟史二集)" 臺灣銀行 1955
28 黃通, "日據時代的臺灣財政" 聯經出版社 1988
29 禹明東, "日帝下 朝鮮財政의 構造와 性格"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8
30 林采成, "戰時經濟と鐵道運營 - ‘植民地’朝鮮から‘分斷’韓國への歷史的經路を探る" 東京大學出版會 2005
31 周婉窈, "從比較的觀點看臺灣與韓國的皇民化運動(1937~1945)" 5 (5): 1994
32 矢內原忠雄, "帝國主義下の臺灣" 岩波書店 1929
마을역사책을 쓴 어느 농민의 생애와 생각 - 『풍덕마을의 새마을운동』을 쓴 이세영 옹의 구술 생애사 -
『管子』 「輕重」篇의 저작 및 성서 연대: 「輕重」篇 古朝鮮 기사 분석을 위한 예비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8 | 0.55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