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민중미술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민중미술은 한국현대미술사에서 형식주의와 순수주의로 일관했던 기존미술에 저항해 정치적, 사회적 참여를 전개한 최초의 대대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407520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2008
학위논문(박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술사학과 , 2008. 8
2008
한국어
서울
xiv, 160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 송미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민중미술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민중미술은 한국현대미술사에서 형식주의와 순수주의로 일관했던 기존미술에 저항해 정치적, 사회적 참여를 전개한 최초의 대대적인 ...
본 논문은 민중미술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민중미술은 한국현대미술사에서 형식주의와 순수주의로 일관했던 기존미술에 저항해 정치적, 사회적 참여를 전개한 최초의 대대적인 미술운동이었지만, 그 전모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것은 민중미술이 현재 제대로 연구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1980년대 민중미술의 태동과 진행과정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했으며, 이 과정에서 민중미술이 본질적으로 동시대적이고, 문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전제를 이끌어 내었다.
민중미술이 현실 참여 문제에서 선진적이었던 민족문학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연관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조명된 바가 없다. 민중미술은 순수주의와 형식론으로 일관했던 기존의 한국미술에 대한 비판에서 미술과 사회의 관계회복을 주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큰 영향을 준 것이 문학이었다. 문학은 4.19혁명을 계기로 심화되었던 민족주의 논쟁에 힘입어 문학의 역사의식 고취와 현실참여를 주창함으로서, 한국전쟁이후 민족분단의 본질적 원인을 외면하고 현실 도피적이고 자폐적인 성향을 띠었던 한국사회에 문제를 제기했다.
민족문학논쟁은 1966년 백낙청이 『창작과 비평』을 창간하고, 1970년에는 김현, 김병익 등이 『문학과 지성』을 창간함으로서 양 거점을 마련, 열띤 논의를 벌였다. 참여문학론, 시민문학론, 민족문학론, 제3세계문학론, 민중문학론으로 이어지는 민족문학논쟁은 한국이 분단체제국가이며 한국사회의 주요한 모순들은 민족분단이라는 비극에서 기인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민족문학은 당시 한국사회에서 저항운동을 주도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민중미술에 대한 문학의 영향은 내용과 이론 둘 다에서 나타난다. 먼저 민중미술 자체가 내용과 서사의 전달을 우선시하는 문학적 성향이 강한 미술이라는 점이다. 둘째 내용과 작가의식에서 민족과 민중의 현실에 주목했다는 점이다. 특히 분단으로 상징되는 한국의 지정학적 특성에 대한 숙고가 민중미술 작품과 이론 둘 다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게 된 배경에는 문학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민중미술에 있어 문학과의 관련성이 반드시 조명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라는 전제하에 민중미술이 어떻게 1980년대의 한국사회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미술에 대한 인식을 전환해 미술영역을 확대하고 다원화에 기여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관점에서 먼저 II장에서는 민중미술 등장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1절에서는 신군부의 등장과 광주민중항쟁의 발발로 민주화운동이 확대되고 심화되었던, 당시 한국사회가 갖는 시대적 특성을 조망했고 2절에서는 그러한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활발히 진행된 민중론과 민중문화운동에 주목해 보고자 했다. 민중문화운동은 민중미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민중미술의 조직화와 논리구성, 실천방향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III장에서는 민중미술의 본질적 특성인 리얼리즘 미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1절에서는 시대적 맥락을 배경으로 민중미술이라는 명칭이 어떠한 경로와 논의를 거쳐 1980년대의 사회참여적인 미술을 총칭하게 되었는지를 고찰했다. 명칭은 기본적으로 호명대상의 특성과 그 맥락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그 기원과 형성과정은 반드시 조명될 필요가 있다. 2절에서는 민중미술이 내용적 리얼리즘이라는 범주에서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전통을 19세기 이후 서양미술에서의 비판적 리얼리즘과 한국 근 현대 미술에서의 비판적 리얼리즘으로 구분해 조명해 보았다. 3절에서는 민중미술 발생의 미술적 배경인 1970년대 후반 한국 미술에서 형상미술의 재등장에 대해 고찰했다.
다음 IV장은 본 논문의 중심주제로 민중미술과 민족문학과의 관계를 조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1절에서는 4.19혁명이후 촉발된 민족주의 논쟁의 영향으로 참여문학논쟁이 격화되면서 민족문학론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서 민중미술이 왜 민족문학에 기댈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고, 2절에서는 민중미술운동의 선례라 할 ‘‘현실동인’’과 문학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3절에서는 1960년대 말 이후 민족문학의 전개과정에 대해, 그리고 4절에서는 민중미술에서 민족문학의 수용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했다.
V장은 1980년대 민중미술의 전개와 문학에 대해 다루었다. 여기서는 민중미술의 개별적 작품보다는 전체적인 진행과정에 대한 조명을 통해 문학과의 관계를 추론해 보았다. 먼저 1절에서는 민중미술이 등장하고 소집단운동과 전시가 활성화되었던 전반기에 주목했다. 여기서 기존의 한국미술, 특히 모더니즘 미술에 저항한 예술운동으로서의 민중미술의 면모가 부각되면서 한국현대미술의 의미와 영역이 어떻게 변하고 확대되는지가 조명되었다. 2절에서는 민족미술협의회가 결성되고 민중미술운동이 본격적인 현실변혁운동으로 변모하는 후반기를 조망했다. 민중미술운동이 1980년대 중반이후 급격한 시대적 변화를 배경으로 민중미술운동이 참여자들의 다양한 입장차에서 파생되는 문제가 내재된 상태에서 조직화되면서 치열한 논쟁을 거쳐 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민중미술운동은 당시 한국사회를 휩쓸던 사회과학적 논의에 영향 받아 노선이 분화되고 내부갈등이 표면화되면서 현실변혁운동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변모는 이 기간의 민중미술을 예술적 가치와는 무관한 선전, 선동의 도구로서의 역할에만 한정시키려는 시각의 확대에 일정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당시에 제작된 민중미술 작품 중 대다수는 일반적으로 예술적 가치와 조형적 설득력이 없는 이념적 선전, 선동 매체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래서 이 장에서는 민중미술운동이 현실변혁운동으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짚어봄으로서 그동안의 이러한 평가에 대해 재고해 보려 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민중미술이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가장 치열하게 시대성을 구현한 미술로 1960년대부터 시대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온 민족 문학과의 긴밀한 관계에서, 미술과 사회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작가의식을 재정립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미술의 경계 허물기에 기여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Min-Joong art in 1980's. Min-Joong art is an extensive movement of art that resisted against the existing art being consistent with formalism and purism, but the whole picture of it hasn't been known enough. This was caused by the c...
This is a study on Min-Joong art in 1980's. Min-Joong art is an extensive movement of art that resisted against the existing art being consistent with formalism and purism, but the whole picture of it hasn't been known enough. This was caused by the current state in that Min-Joong art is not fully researched.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has contemplated the process of genesis and development of Min-Joong art positively, and derived the presupposition that it was contemporary in essence, and closely related with the literature.
Min-Joong art, as soon as it appeared in the early 1980's, has broadened its influence, becoming less an art-movement than the one reforming the reality around the later years of the decade. For Min-Joong ar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state of affairs then. It was the time when the democracy and the nationalism were the topics debated most vigorously, while the resistance against the neo-military-authority, the Kwangju democratic uprising being the symbolic event of it, has been spread across the whole society. Apart from the literature, which took the lead of these discussion, other genres of art like music, plastic art, dance, ect. have gotten to participate, having left the previous conservative position. In this period when the movement of art and culture we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ocial movement, the sense of crisis that art must not look away from the reality any more, brought a rapid spread of Min-Joong art, and the propensity of the movement, in turn, has been changed depending on its relation to the reality.
This study also payed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he literature in the genesis and the development of Min-Joong art. It is generally known that Min-Joong art was connected with the folk literature, but what kind of aspect the connection specifically had hasn't been illuminated yet. Criticising on preexisting Korean art, Min-Joong art has gotten to advocate the recovery of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society, which was resulted from the influence of the literature. The folk art in 1960's and 70's, by advocating the commitment to the reality and the inspiration 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anks to the nationalist dispute deepened with the 4.19 Revolution, raised questions on the state of the days, in which Korean society tended to seek escapism and shut in, neglecting the cause of the division of country in its essence. Folk literature world has heated controversies, centering on two positions as Paik Nak-Chung founded Chang-Jak-Gua-Bi-Pyung in 1996 and Kim Hyun and Kim Byung-Ik Mun-Hak-Gua-Ji-Sung in 1970. The theories of folk literature from engagement literature, citizen literature, folk literature, to the third world literature have held fast to the position that the major contradictions were caused by the tragedy of division of territory. In the course, folk literature came to stand on a position that leaded the resistance in the Korean society at that time. The influence of literature on Min-Joong art were revealed both in its content and theory. First, Min-Joong art itself has a strong inclination to literature so as to put an emphasis on the delivery of the narrative above everything. Second, in its narrative the nation and the reality of min-Joong drew attention. Especially that the geopolitical particularities of Korea, symbolized with the division, were dealt with great importance both in the works of Min-Joong art and the theory has the literature as the background. Thus this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lation of Min-Joong art to the literature must be lightened up, attempted to examine how Min-Joong art could've improved the understandings of art in Korean society in 1980's so as to contribute for the expans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art.
From this point of view, first in the chapter II, I've looked into the Korean society in eighties and the cultural movement of Min-Joong. The first section of the chapter deals with the appearance of the Neo-Military-Authority and the advent of the Kwangju Democratic Uprising, and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theory on Min-Joong and the cultural movement of Min-Joong under such circumstances as above said. For the cultural movement of Min-Joong is directly connected with Min-Joong art, its organization, logical configuration and the practical policy. In the chapter III, in these context, I have looked into under what kind of course and dispute the name Min-Joong art has gotten to be settled as a generic term for engagement art during 1980's. Since a name basical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ocial context of the named object, the origin and the formation of which must be researched. The chapter IV is focused upon investigating the folk literature that greatly influenced on the genesis and the development of Min-Joong art. In surveying the situation in the literary scene, as the dispute on the engagement literature was heated and leaded to the theory on national literature in consequence of the 4.19 Revolution, I tried to make clear why Min-Joong art had to rely on the national literature. The chapter V was spent for concerning the realist ar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Min-Joong art. The first section describes the reappearance of the concrete art in the late 1970's as the background of the genesis of Min-Joong art, the second treats the socio-critical realism in Western art after 19th century in a sense that Min-Joong art is realistic in its narrative, and the last section illuminates the socio-critical realism in the modern art of Korea.
The chapter VI deals with Min-Joong art in the early 1980's. I considered what kind of critical mind and discussion was deployed in this period when Min-Joong art started to quicken and the small group movement was activated, and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ctivity of the small groups and the exhibitions. Here I tried to reason how the meaning and the area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has changed and expanded , while Min-Joong art was stood out as a movement against the preexisting art, especially the modernist art. The chapter VII gives a light on to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when the National Art Association was found and Min-Joong art movement turned into a genuine reformation movement of the reality. Here the process is viewed, in which Min-Joong art movement was branched off after the fierce dispute as there problems resulted from the differences of various point of views, were inherent in a turbulent situations. At that point, affected by the dominant logic of social reformation, Min-Joong art was divided into numbers of lines, and changed into a reformation movement of the reality, with the inner conflict being disclosed.
From this study, I could have concluded that Min-Joong art, embodying the spirit of time most intensely in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has contributed to break down the boundary of art, by restoring the art's relation to society and reestablishing the artists' awareness of being members of the society,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literature that had coped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since 1960'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