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이정, "李重慶의 노래에 대한 인식 및 시가 창작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22 (22): 139-170, 2007
2 백민정, "金光煜의 時調에 나타난 ‘江湖’의 空間的 意味와 江湖歌道史的 意義" 인문과학연구소 34 (34): 259-280, 2007
3 조세형, "후기가사의 표현 특성과 그 문학사적 의미" 한국시가학회 22 : 2007
4 윤성현, "후기 가사의 흐름과 근대성" 보고사 2007
5 안남연, "황진이의 재조명" 한국어문학연구학회(구 동악어문학회) 49 : 2007
6 신윤경, "현대시조 창작의 지향점과 그 존재 의의" 한국시가학회 23 : 389-420, 2007
7 김정화, "현대 규방가사의 문학적 특징과 시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32 (32): 139-184, 2007
8 박상진, "향가의 삼구육명(三句六名)과 십이대강보(十二大綱譜)의 관계 - 균여 향가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2007
9 임경화, "향가의 근대 : 향가가 ‘국문학’으로 탄생하기까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32 : 2007
10 김혜진, "향가를 통해 본 신라인의 자연인식" 문학과환경학회 6 (6): 2007
11 이승남, "향가 주술성의 담론층위와 현실적 의미맥락"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2007
12 이형대, "한일 고전시가 어부 형상의 전개와 그 대비적 특질" 한국시가학회 22 (22): 299-351, 2007
13 이순례, "한국여성시조의 변모양상 연구" 동의대 2007
14 고운기, "한국고전시가의 근대" 보고사 2007
15 김인환, "한국고대시가론" 고려대출판부 2007
16 김세종, "한국 음악 속의 <동동>"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007
17 조세형, "한국 애정시가의 전통과 시공간적 상상력" 국어국문학회 (147) : 2007
18 서철원, "한국 서정시의 미학, 그 원류를 향한 도전적 모색: 『향가의 미학』in : 서평"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 : 2007
19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26 : 2007
20 김유경, "최초의 사행가사 <壯遊歌> 연구" 한국시가학회 23 : 243-273, 2007
21 조태성, "초`중등학교 시조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한국고시가문학회 19 (19): 213-233, 2007
22 이영태, "청구영언 ‘연장’ 등장 만횡청류 재론" 한국시조학회 26 : 2007
23 서영숙, "처첩관계 서사민요의 구조적 특성과 향유의식" 어문연구학회 55 : 2007
24 조규익, "창가의 형성에 미친 번역 찬송가의 영향" 온지학회 16 : 2007
25 강옥란, "진본『청구영언』 ‘만횡청류’의 향유양상과 텍스트 특성 연구" 성균관대 2007
26 남정희, "진본 청구영언(靑丘永言) 무명씨(無名氏)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학회 53 (53): 125-154, 2007
27 남정희, "진본 청구영언 내 평시조에 나타나는 여성적 목소리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16 : 2007
28 신영명, "죽지랑, 아름다운 얼굴"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2007
29 김석회, "조선후기 향촌사회와 치산 관련 여성형상" 한국고전문학회 31 (31): 193-217, 2007
30 김용찬, "조선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월인 2007
31 허영진, "조선후기 가집 연구의 시각과 해명 과제: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을 중심으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 : 2007
32 나정순,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시가"와 "가요"의 문제" 한국시가학회 22 : 2007
33 김태준, "조선가요집성" 다운샘 2007
34 황인순, "정철의 양미인곡에 대한 연구" 순천대 2007
35 변승구, "장시조의 타 장르 수용양상과 표현방식-서정양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36 변승구, "장시조의 서사장르 수용과 그 의미" 어문연구학회 55 : 2007
37 신경숙, "일제 치하 조선노래를 지켜온 창가교사, 이상준(李尙俊) ―이상준 잡가집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1 (41): 5-32, 2007
38 김창원, "이현보에서 윤선도로: 족보의 가계도를 따라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 : 2007
39 신영명, "이여 의 시대를 맞이하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 : 2007
40 양덕점, "이세보 시조 종장 말의 표현 연구" 청주대 2007
41 변은숙, "이세보 시조 연구" 부산대 2007
42 박인희, "의해'로 풀어본 양지사석과 <풍요>" 한국고시가문학회 20 (20): 243-267, 2007
43 김주수, "율곡의 大器 大音의 문예 의식" 한국시가학회 23 : 179-209, 2007
44 이현주, "유배가사에 나타난 체험인식과 표현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20 (20): 319-359, 2007
45 김윤조, "유득공의 시조 한역" 문헌과해석사 (40) : 2007
46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底經과 문학적 성격 연구" 동국대 2007
47 강흥구, "울진 방언 가사문학 작품 <유람일기>의 운율의 분석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54 : 2007
48 임주탁, "우리말 노래 창작의 사상적 기반: 주체와 타자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16) : 2007
49 구사회, "우고 이태로의 농부가와 애국적 형상" 국어국문학회 (147) : 295-318, 2007
50 구사회, "우고 이태로의 {면암집초}와 자료적 가치" 한국고시가문학회 20 (20): 1-25, 2007
51 박 수 진, "옥국재 가사에 나타난 시공간구조 연구" 온지학회 17 (17): 293-320, 2007
52 민찬, "연희 관련 문헌 기록에 비추어 본 <청산별곡>" 어문연구학회 55 : 2007
53 박경주, "양성공유문학(兩性共有文學)으로서 규방가사의 특성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14): 273-298, 2007
54 윤영옥, "안민영이 읊은 가곡가사-금옥총부해석" 문창사 2007
55 김용찬, "안민영과 승평곡" 한국시조학회 26 : 2007
56 정우택, "아리랑 노래의 정전화 과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7
57 박해남, "신흠(申欽)의 시조 창작 배경과 작품 양상" 반교어문학회 23 (23): 75-105, 2007
58 박상영, "신흠 시조의 이중 구조와 그 의미지향" 한국시가학회 22 : 2007
59 신재홍,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4 : 2007
60 임종찬, "시조의 한시역과 한시의 시조역의 문제점 연구" 한국시조학회 27 : 2007
61 김상진, "시조의 문학 치료적 기능에 관한 관찰" 한국시조학회 26 (26): 25-54, 2007
62 김정례, "시조와 하이쿠의 창작과 향유 방식의 비교 연구" 세계문학비교학회 18 : 2007
63 조태성, "시조에 나타난 국화[국]의 심상" 한국시조학회 27 (27): 263-284, 2007
64 조규익, "시조발생 담론의 전개양상과 지향점" 한국시조학회 27 : 2007
65 신향림, "시조를 통해 본 陽明學의 傳來와 擴散" 한국고전문학회 32 (32): 59-97, 2007
66 양희철, "시조 종장말의 이형성분 겹생략의 유형"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5 : 2007
67 양희철, "시조 종장말의 동형구문 겹생략의 유형" 청주대학교국제협력연구원 25 : 2007
68 신은경, "시조 종장 첫구 ‘두어라’의 연원에 대한 小考" 한국시조학회 27 : 2007
69 양희철, "시조 생략종결의 함축 연구" 한국시가학회 22 (22): 207-240, 2007
70 양희철, "시조 생략종결의 기능 일면-생략된 동형 문장성분들의 중의와 수용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53 (53): 187-207, 2007
71 전재강, "시조 문학의 이념과 풍류" 보고사 2007
72 신영명, "시골로 내려온 서울, 서울로 오르지 못한 시골" 한국시조학회 26 : 2007
73 최재남, "송순 연구의 과제와 전망"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007
74 전재강, "송도적 시조의 작가와 작품의 성격" 한국어문학회 96 : 2007
75 윤덕진, "송강가사 전승사실의 맥락" 洌上古典硏究會 26 : 2007
76 강동훈, "송강 시조문학의 문화담론 모색" 성균관대 2007
77 정무룡, "송강 <관동별곡> 독해의 새 시각 모색" 한국시가학회 23 : 2007
78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79 林基中, "세 가지 假說과 몇 가지 疑問"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6 : 2007
80 김명준, "선초 악장의 정립 과정과 그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 : 2007
81 정우영, "서동요 독해의 쟁점에 대한 검토" 국어국문학회 (147) : 259-294, 2007
82 전재강, "생활 표현의 고시조 연구" 한국시조학회 26 : 2007
83 김선기, "삼국유사 향가기술문의 詩話的 조명" 어문연구학회 54 : 2007
84 황병익, "삼국유사 죽지랑조와 <모죽지랑가>의 의미 고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5) : 2007
85 이승남, "삼국유사 신충괘관조에 나타난 일연의 서사적 시각" 한국사상문화학회 40 : 2007
86 황병익, "삼국유사 수로부인조와 <헌화가>의 의미 재론" 한국시가학회 22 : 2007
87 김선숙, "삼국유사 무왕조의 서동설화에 대한 검토"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42 : 2007
88 권순열, "삼구회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 (20): 65-89, 2007
89 최준선, "사설시조의 서사적 진술방식 연구" 강릉대 2007
90 조흥욱, "사설시조와 한시의 관련 양상 연구" 국민대학교출판부 26 : 2007
91 양희철, "무돌 김선기의 향찰 연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42 : 2007
92 조성진, "만횡청류와 明代 民歌에 나타난 眞情의 문제" 국문학회 (15) : 2007
93 임종찬, "동양적 사유에서 본 백수 정완영 시조" 한국시조학회 26 : 2007
94 김진영, "동물(動物) 소재(素材) 사설시조(辭說時調) 연구(硏究)" 동양예학회 2007
95 최규수, "대학생을 위한 고전시가 "교육"의 몇 가지 키워드" 한국고전연구학회 15 : 2007
96 전재진, "남훈태평가의 印刊과 개화기 한남서림 서적발행의 의의"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9 : 2007
97 강재헌, "김천택의 시조관과 구현에 관한 연구" 충남대 2007
98 신재홍, "기획논문: 향가의 공간적 상상력 / 논평: 서철원" 한국고전문학회 31 (31): 1-30, 2007
99 박순, "기녀시조의 문학적 특성 연구" 동의대 2007
100 김종규, "금가보 장가형 및 향가 악구율의 실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 (19): 47-70, 2007
101 조해숙, "근대전환기 국문시가에 나타난 주체와 타자 - ‘복선화음가’ 계열 가사를 중심으로" 국문학회 15 : 2007
102 이연숙, "균여 향가의 밀교적 성격과 문학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학회 45 (45): 35-65, 2007
103 김옥선, "규방가사의 혼인갈등 양상과 여성의식의 변화" 성균관대 2007
104 박경주, "규방가사의 양성성" 월인 2007
105 이정아, "규방가사와 시집살이 노래에 나타난 여성의 자기 인식" 한국고전연구학회 15 : 2007
106 이형대, "규방가사ㆍ민요ㆍ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153-184, 2007
107 안혜진, "구강의 <사미인곡>에 나타난 문학적 특성과 의의" 한국시가학회 23 : 2007
108 김진욱, "광덕`엄장 인물 유형 분석을 통한 <원왕생가> 화자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9 (19): 71-91, 2007
109 강명혜, "고전시가와 스토리텔링" 온지학회 16 : 2007
110 최규수, "고전시가 연구의 전망과 모색" 다운샘 2007
111 김윤희, "고전시가 2006년 연구동향"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 : 2007
112 고정희, "고전문학의 시공간적 거리감과 문학사적 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14): 89-120, 2007
113 박애경, "고전문학과 공간적 상상력: 대한제국기 가사에 나타난 이국 형상의 의미 -서양 체험가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31 : 2007
114 전재장, "고시조에서의 정치의식 표출의 양식" 한국시조학회 27 (27): 47-74, 2007
115 정병헌, "고시가 연구의 시각과 전망"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007
116 이윤선, "고려속가의 욕망 표출 구조와 의미" 경북대 2007
117 김성은, "고려속가의 시·공간 의식 연구-이별노래를 중심으로-" 경북대 2007
118 성호경, "고려 말?조선 초의 시가 형식 변화와 장르 변천" 한국시가학회 23 : 2007
119 김영수, "고대가요연구" 단국대출판부 2007
120 윤주필, "경복궁중건 연희시가를 통해 본 전통 공연문화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1 : 2007
121 김영철, "개화기 시가에 나타난 연속성의 제양상" 우리말글학회 41 : 2007
122 전재진, "가집 『흥비부』의 전사본과 19C 후반~20C 초반 가곡의 변화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23 류해춘, "가족갈등을 매개로 한 사설시조의 성담론" 한국시조학회 27 : 2007
124 조세형, "가사의 언어와 의식" 보고사 2007
125 조규익, "頌禱 모티프의 연원과 전개양상" 한국고전문학회 32 (32): 35-57, 2007
126 박영준, "韓日 定型詩歌 比較硏究" 중앙어문학회 36 : 2007
127 서철원,미국워싱,턴주립대학교, 생명자원환경과학부, , , , , , , , , , , , , , , , ,, "鄕歌와 高麗俗謠의 장르적 차이를 통해 본 轉變 樣相의 단서" 한국시가학회 23 : 5-47, 2007
128 조평환, "鄕歌와 變文의 比較硏究" 동아시아고대학회 16 (16): 207-236, 2007
129 박규홍, "辨別要素를 통해 본 時調와 歌辭의 境界" 한민족어문학회 51 (51): 315-346, 2007
130 趙姬珍, "白華 梁建植 단편소설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231-252, 2002
131 육민수, "片片奇談警世歌와 萬古奇談處世歌의 출판 배경과 텍스트 지향" 한민족어문학회 30 (30): 129-158, 2007
132 김광조, "江湖歌辭의 作中空間 設定과 意味" 한국시가학회 23 : 115-147, 2007
133 康京浩, "歌集『海東樂章』의 作品 收錄 양상과 編纂 특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6 : 2007
134 전재진, "樂府와 統制營의 풍류-『興比賦』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42 : 2007
135 김상진, "松巖 權好文의 <閑居十八曲>과 문학치료" 한국시가학회 22 (22): 41-74, 2007
136 신현규, "朝鮮美人寶鑑에 수록된 唱歌 硏究" 우리문학회 21 : 2007
137 홍성란, "時調의 開化期時代 形式 轉變 樣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6 : 2007
138 신은경, "時調와 歌辭의 시적 관습 형성에 있어서의 杜詩諺解의 역할: 종결표현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소 41 (41): 1-21, 2007
139 李澯旭, "時調文學 텍스트의 문화콘텐츠화 硏究" 우리문학회 21 : 2007
140 김상진, "政客 이정보와 시조, 그 逸脫의 의미" 한국시조학회 27 : 2007
141 이상원, "客樂譜의 성격과 가곡사적 위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 : 2007
142 류해춘, "商行爲를 媒介로 한 辭說時調의 性談論" 우리문학회 22 : 2007
143 김기종, "印千江之曲의 底經과 사상적 기반" 어문연구학회 53 : 35-61, 2007
144 하윤섭, "仰 宋純의 현실대응방식과 시적 지향" 고려대 2007
145 김병국, "「정언묘선서」에 보이는 이정(移情)의 연구" 한국시가학회 23 : 2007
146 권현주, "《소정가사(素亭歌辭)》의 문학적 연구 -이희본을 중심으로-" 동양예학회 2007
147 강재헌, "≪海東歌謠≫ 所載 金壽長 自作 時調 排列 意圖" 어문연구학회 55 : 73-95, 2007
148 서유경, "‘공무도하가’에 대한 표현 교육론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2007
149 국윤주, "[대한매일신보] 소재 흥타령 시조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 (20): 27-63, 2007
150 김승우, "<龍飛御天歌> 향유수용양상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23 : 81-113, 2007
151 김종진, "<회심가>의 컨텍스트와 작가론적 전망" 한국시가학회 23 : 2007
152 조용호, "<황조가>의 求愛民謠的 성격" 한국고전문학회 32 (32): 5-34, 2007
153 정재호, "<청산별곡>론 서설"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 : 2007
154 정무룡, "<죽계별곡> 새로 읽기" 한민족어문학회 50 : 2007
155 이수곤, "<정읍사>의 여성 화자 태도와 그 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여성 화자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앞으로의 과제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4 : 2007
156 정인숙, "<정읍사>의 공연예술적 변용과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36 : 2007
157 정갑준, "<쌍화점>의 공연 및 공연공간에 대하여" 한국극예술학회 26 : 2007
158 조연숙, "<서방가>와 <안양찬>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19 (19): 193-212, 2007
159 신영명, "<서동요>의 역사적 성격" 우리문학회 21 : 2007
160 이현주, "<서경별곡>의 창작배경과 연군가적 성격" 부경대 2007
161 이유진, "<사미인곡>?<속미인곡>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국문학치료학회 7 : 2007
162 김성문, "<만전춘별사>의 시적 문맥과 정서 표출양상 연구" 우리문학회 21 : 2007
163 김광조, "<누항사>에 나타난 ‘歎窮’의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 : 2007
164 오태권, "<구지가> 서사의 封祭機能 연구" 洌上古典硏究會 26 : 2007
165 변유유, "<공무도하가>연구-중국시가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경상대 2007
166 이상원, "<개암십이곡>의 성격과 시가사적 위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007
167 조태흠, "<酒老園擊壤歌>의 구조와 의미" 한국문학회 46 (46): 5-32, 2007
168 이완형, "<讚耆婆郞歌>에 숨겨진 의도와 노래의 기능" 한국어문학회 96 : 2007
169 박상석, "<秋風感別曲> 연구 : 작품의 대중성을 중심으로" 연세대 2007
170 고은지, "20세기 초 시가의 새로운 소통 매체 출현과 그 의미" 민족어문학회 55 (55): 31-61, 2007
171 최현재,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한국문학회 46 : 2007
172 고은지, "20세기 전반 소통 매체의 다양화와 잡가의 존재 양상" 한국고전문학회 32 (32): 99-138, 2007
173 성무경, "19세기 초반 가곡가집,영언" 대동문화연구가집자료총서1,보고사 2007
174 이유진, "19세기 시조창 대중화에 대한 재론" 국문학회 (16) : 2007
175 이상원, "19세기 말 화서학파의 <고산구곡가> 수용과 그 의미" 한국시조학회 27 : 2007
176 정한기,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寫景의 문학교육적 의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2007
177 문주석, "19세기 古樂譜?歌集의 音樂論 考察" 한국시조학회 1 (1): 187-222, 2007
178 백은주, "1990년대 한국 여성시인들의 시에 나타난 금기와 위반으로서의 性-조선시대 후기 사설시조와 관련하여" 한국여성문학학회 18 (18): 271-311, 2007
179 김학성, "18세기 초 전환기 시조 양식의 전변과 장르 실현 양상" 한국시가학회 23 : 275-313, 2007
180 윤덕진, "18세기 중·후반 사곡(詞曲)가집,고금가곡" 대동문화연구가집자료총서2,보고사 2007
181 양정화, "18세기 사대부 시조 미학의 한 양상 : 옥소 권섭의 시조작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2007
182 안혜진, "18세기 가사를 통해 본 경향사족간 의식의 거리"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305-333, 2007
183 유정선, "18·19세기 기행가사 연구" 역락 2007
184 조태성, "18~9세기 불교가사에 나타난 현실 인식"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2007
185 나정순, "17세기 초의 사상적 전개와 정훈의 시조" 한국시조학회 27 : 2007
186 이승남,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 우리어문학회 28 (28): 193-222, 2007
187 임재욱, "12가사의 연원 연구" 서울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