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주여성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 형성과정과 그 의미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forming new social relationships and its meaning for immigrant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9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government's various policies and supports, immigrant women still face many difficulties in forming new social relationships after immigrating to Korea.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structural aspects of social relationship...

      Despite the government's various policies and supports, immigrant women still face many difficulties in forming new social relationships after immigrating to Korea.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structural asp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figuring out the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relatively few studies examining the context of how immigrant women form new social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new social relationship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and the meaning of new social relationships for immigrant women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15 semantic units, 5 revealed themes, and 3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Discuss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immigrant women form new social relationships by using various channels at the community level. Second,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romotion programs and policies should be reviewed and programs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natives’ awareness towards immigrant women should be prepared. Lastly, the practicality of existing language programs for immigrant women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the process of forming new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difficulties and meanings derived from the process for immigrant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주여성은 정부의 여러 정책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이주 후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사회적 관계의 구조적 측면에 집중한 연구들과 사회적 지...

      이주여성은 정부의 여러 정책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 이주 후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사회적 관계의 구조적 측면에 집중한 연구들과 사회적 지지체계가 이주여성의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연구들은 많았지만, 이주여성이 사회적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게 되는지 그 맥락을 살펴보는 연구는 비교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 형성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관계 형성이 주는 의미를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15개의 의미단위와 이를 포괄하는 5개의 드러난 주제 그리고 3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조화하였으며, 3개의 본질적 주제는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 ‘이주여성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새로운 사회적 관계형성에서 겪는 양가적 심정’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양한 채널을 이용하여 이주여성이 관계를 맺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 다문화수용성 증진 프로그램 및 정책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선이주여성에 대한 선주민의 인식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주여성을 위한 기존 언어 프로그램의 실용성을 증진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를 통한 결과적 측면 및 사회적 지지에 초점을 둔 것과 달리 새로운 사회적 관계형성 과정과 그 과정에서 파생되는 어려움의 요인 및 의미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가일, "질적연구, 계획에서 글쓰기까지" 학이시습 2021

      2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 여성가족부,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4 최혜지,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문화변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217-244, 2012

      5 임원선 ; 정혜원,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영리학회 18 (18): 41-66, 2019

      6 임동진 ; 강정향 ; 송민혜 ; 유민이 ; 박관태, "이민자들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이민정책학회 3 (3): 1-26, 2020

      7 이민아,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31-60, 2010

      8 구정화,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교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 한국비블리아학회 29 (29): 269-296, 2018

      9 이은해,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자녀양육에 대한 난이도 지각과 아동의 발달" 35 (35): 31-45, 1997

      10 한준 ; 김석호 ; 하상응 ; 신인철,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학회 48 (48): 1-24, 2014

      1 전가일, "질적연구, 계획에서 글쓰기까지" 학이시습 2021

      2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 여성가족부,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4 최혜지,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문화변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217-244, 2012

      5 임원선 ; 정혜원,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영리학회 18 (18): 41-66, 2019

      6 임동진 ; 강정향 ; 송민혜 ; 유민이 ; 박관태, "이민자들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이민정책학회 3 (3): 1-26, 2020

      7 이민아,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31-60, 2010

      8 구정화,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교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 한국비블리아학회 29 (29): 269-296, 2018

      9 이은해,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자녀양육에 대한 난이도 지각과 아동의 발달" 35 (35): 31-45, 1997

      10 한준 ; 김석호 ; 하상응 ; 신인철,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학회 48 (48): 1-24, 2014

      11 서재복 ; 임명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 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3 (13): 157-182, 2018

      12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 관계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281-302, 2012

      13 안재진 ; 김지혜,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61-87, 2004

      14 김이선,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0

      15 김종욱, "다문화가족실태조사"

      16 정의정 ; 하규수,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22-231, 2012

      17 공은화 ; 신유경,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756-765, 2016

      18 공미혜 ; 오세자,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부산지역 베트남, 필리핀 여성과 한국 남성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2 (22): 95-120, 2010

      19 하종범, "국내유입인구에 대한 지원정책 현황 및 정책과제" 1 (1): 134-159, 2012

      20 이혜경 ; 전혜인,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413-432, 2013

      21 홍은미 ; 신승연,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다문화평화연구소 9 (9): 101-121, 2015

      22 박순희 ; 조원탁,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비교: 이주여성과 일반여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41-57, 2013

      23 민무숙 ; 김이선 ; 주유선 ; 이정연,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통합의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5 (85): 5-43, 2013

      24 이혜림,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9 (29): 119-154, 2020

      25 김순옥 ; 임현숙 ;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21-235, 2013

      26 주소희 ; 이경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서적고립 및 소외와의 관련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7 (7): 45-64, 2014

      27 김현숙 ; 김희재 ; 오중환,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4 (34): 27-51, 2011

      28 김순양 ; 고수정 ; 강준혁, "결혼이주여성 사회적 배제의 도농(都農) 간 차이 분석 및 정책적 처방: 베트남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77-112, 2016

      29 황정미,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연결망과 행위전략의 다양성 : 연결망의 유형화와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6 (26): 1-38, 2010

      30 이용균,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35-51, 2007

      31 Haws, C. A., "The possible effect of altitude on regional variation in suicide rates" 73 (73): 587-590, 2009

      32 Giorgi, A.,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DuquesneUniversity Press 2009

      33 Guruge, S., "Social support, social conflict, and immigrant women's mental health in a Canadian context: a scoping review" 22 (22): 655-667, 2015

      34 Renner, W.,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nd asylum seekers" 40 (40): 129-145, 2012

      35 Coyne, J. C., "Social factors and psychopathology :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42 (42): 401-425, 1991

      36 Fergusson, D. M.,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daption in the childhood advers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0-155, 2003

      37 Yin, R. K., "Qualitative Research from Start to Finish" Guilford Press 2011

      38 Giorgi, A., "Psychology as a Human Science" Harper & Row 1970

      39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91

      40 Giorgi, A., "Phenomenological psychology" Duquesne University Press 82-103, 1975

      41 Legault, L., "Looking after children; Implementation and outcomes in Canada" 19 : 160-169, 2004

      42 Jeong, G. S, "Current Status and Policy Development for Social Support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Kyenggido"

      43 여성가족부,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44 최윤정, "2018년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04-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다문화가족학회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 Korean Academy of Multicultural Welfare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