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대광, "혈죽 담론(血竹 談論)의 형성 과정과 공론장적 성격"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325-350, 2015
2 노명호, "한말 항일투쟁에 나타난 명예자살에 관한 연구 - 이한응, 민영환, 이준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사상학회 11 (11): 57-100, 2017
3 임계순, "청일전쟁을 전후한 한국과 열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4 김정기, "임오년에 다시 보는 120년 전의 '임오군란'" 역사문제연구소 (60) : 310-327, 2002
5 김신중, "애국계몽기의 혈죽가사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95) : 125-147, 2015
6 장성진, "애국계몽기 민충정공 추모시가의 주제화 양상" 배달말학회 (55) : 305-337, 2014
7 이성현, "민영환의 ‘殉國’ 담론에 대한 고찰" 강원사학회 (26) : 99-146, 2014
8 유기룡, "국문학 연구에서 망각지대로 남은 기록문학" 국어국문학회 100 : 1988
9 "高宗實錄"
10 "驪興閔氏族譜[CD-ROM]"
1 권대광, "혈죽 담론(血竹 談論)의 형성 과정과 공론장적 성격"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325-350, 2015
2 노명호, "한말 항일투쟁에 나타난 명예자살에 관한 연구 - 이한응, 민영환, 이준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사상학회 11 (11): 57-100, 2017
3 임계순, "청일전쟁을 전후한 한국과 열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4 김정기, "임오년에 다시 보는 120년 전의 '임오군란'" 역사문제연구소 (60) : 310-327, 2002
5 김신중, "애국계몽기의 혈죽가사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95) : 125-147, 2015
6 장성진, "애국계몽기 민충정공 추모시가의 주제화 양상" 배달말학회 (55) : 305-337, 2014
7 이성현, "민영환의 ‘殉國’ 담론에 대한 고찰" 강원사학회 (26) : 99-146, 2014
8 유기룡, "국문학 연구에서 망각지대로 남은 기록문학" 국어국문학회 100 : 1988
9 "高宗實錄"
10 "驪興閔氏族譜[CD-ROM]"
11 宋相燾, "騎驢隨筆" 국사편찬위원회 1971
12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실, "韓國軍制史:近世朝鮮後期編" 육군본부 1977
13 閔泳煥, "閔忠正公遺稿"
14 이희목, "閔忠正公血竹詩 硏究" 우리한문학회 7 (7): 271-293, 2002
15 "金史"
16 趙鏞殷, "遺芳集" 아세아문화사 1992
17 朴周大, "羅巖隨錄" 국사편찬위원회 1971
18 "禮記"
19 黃玹, "梅泉集(韓國文集叢刊vol.348)"
20 黃玹, "梅泉野錄" 국사편찬위원회 1971
21 李沂, "李海鶴遺書(韓國文集叢刊vol.347)"
22 "承政院日記"
23 한철호, "『매천야록』에 나타난 황현의 역사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55) : 7-33, 2010
24 이계형, "<<매천야록>>의 사료적 가치의 재검토" 한국근현대사학회 (76) : 7-32, 2016
25 유바다, "19세기 후반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