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末의 전쟁서사시 「望金城百五十韻」 연구 = A Study on the War Epic 「Manggeumseong Baegosibun(望金城百五十韻)」 at the End of Korean Empi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r epic 「Manggeumseong Baegosibun(望金城百五十韻)」 written by Soun(小雲) Kim Hoejong(金會鍾, 1852~1916) who used to work as the early Righteous Army soldier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Also known as ‘Manggeumseongsi(望金城詩)’, the poem, based on a Oeon Gosi(五言古詩) format composed of 298 verses and 1490 characters, was written four years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Uiseong(義城)-based Righteous Army in 1896. The narration of the poem with repetitive tension and relaxation is focused on looking back on the Righteous Army’s activities, coming and going between the present and past, and describing the individual’s war experience realistically. It also shows the lyricism of the intelligentsia at the end of Korean Empire in an implicative and metaphorical way through quotation(用事) from historical persons and criticism(褒貶).
      The time frame of “Present-Past-Present” shows a typical feature of classical Chinese epic poem. Particularly, it has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classical Chinese epic poem as well, of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with enhanced use of notes(注) expos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onformity to fact. Furthermore, it is worthy of special mention as it describes the agony of the times and individual's emotion plainly, without poetic elaboration and technique, and shows the negative emotionality such as the fear of war and dissatisfaction over current affairs(時事), and the positive one like pride and hope.
      Clearly reflecting the times of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intelligentsia on the basis of actual war experience, 「Manggeumseongsi(望金城詩)」 shows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as the ‘poetical history(詩史)’ in many aspects. It has an enormous value as a proof that Sino-Korean Literature still performed a literary function even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r epic 「Manggeumseong Baegosibun(望金城百五十韻)」 written by Soun(小雲) Kim Hoejong(金會鍾, 1852~1916) who used to work as the early Righteous Army soldier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Als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r epic 「Manggeumseong Baegosibun(望金城百五十韻)」 written by Soun(小雲) Kim Hoejong(金會鍾, 1852~1916) who used to work as the early Righteous Army soldier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Also known as ‘Manggeumseongsi(望金城詩)’, the poem, based on a Oeon Gosi(五言古詩) format composed of 298 verses and 1490 characters, was written four years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Uiseong(義城)-based Righteous Army in 1896. The narration of the poem with repetitive tension and relaxation is focused on looking back on the Righteous Army’s activities, coming and going between the present and past, and describing the individual’s war experience realistically. It also shows the lyricism of the intelligentsia at the end of Korean Empire in an implicative and metaphorical way through quotation(用事) from historical persons and criticism(褒貶).
      The time frame of “Present-Past-Present” shows a typical feature of classical Chinese epic poem. Particularly, it has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classical Chinese epic poem as well, of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with enhanced use of notes(注) expos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onformity to fact. Furthermore, it is worthy of special mention as it describes the agony of the times and individual's emotion plainly, without poetic elaboration and technique, and shows the negative emotionality such as the fear of war and dissatisfaction over current affairs(時事), and the positive one like pride and hope.
      Clearly reflecting the times of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intelligentsia on the basis of actual war experience, 「Manggeumseongsi(望金城詩)」 shows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as the ‘poetical history(詩史)’ in many aspects. It has an enormous value as a proof that Sino-Korean Literature still performed a literary function even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말 전기의병으로 활약한 小雲 金會鍾(1852~1916)의 전쟁서사시 「望金城百五十韻」을 고찰한 것이다. 이 시는 1896년에 봉기한 의성의병진이 해산한 4년 뒤에 작성된 298句 1490字의 五言古詩로, 세칭 ‘望金城詩’라고도 불리운다.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는 이 시의 서사는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며 의병의 활동상을 회고하여, 개인의 전쟁 경험을 핍진하게 묘사하였다. 그리고 褒貶을 동반한 역사 인물의 用事를 통해, 한말 지식인의 서정을 함축적이고 비유적으로 그려내었다.
      이 시는 ‘현재-과거-현재’의 구성을 취한다는 점에서 한문서사시로서 전형성을 띠며, 사실 준거와 역사의식을 드러내는 注의 활용이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한말 한문서사시로서 특수성을 띤다. 그리고 조탁과 기교를 배제한 채 시대적 고뇌와 개인적 심회를 시에 담박하게 담아낸 점, 전쟁의 공포와 時事에 대한 불만 등의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를 함께 반영한 점 역시 특기할 만하다.
      전쟁의 실체험을 기반으로 하여 한말의 시대상과 지식인의 의식을 그대로 반영한 「望金城百五十韻」은 諸家의 평가대로 ‘詩史’로서의 성격을 갖추고 있으며, 한말에도 한문학이 문학적 기능이 여전히 활발히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큰 가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말 전기의병으로 활약한 小雲 金會鍾(1852~1916)의 전쟁서사시 「望金城百五十韻」을 고찰한 것이다. 이 시는 1896년에 봉기한 의성의병진이 해산한 4년 뒤에 작성된 298句 1490字의...

      본 연구는 한말 전기의병으로 활약한 小雲 金會鍾(1852~1916)의 전쟁서사시 「望金城百五十韻」을 고찰한 것이다. 이 시는 1896년에 봉기한 의성의병진이 해산한 4년 뒤에 작성된 298句 1490字의 五言古詩로, 세칭 ‘望金城詩’라고도 불리운다.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는 이 시의 서사는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며 의병의 활동상을 회고하여, 개인의 전쟁 경험을 핍진하게 묘사하였다. 그리고 褒貶을 동반한 역사 인물의 用事를 통해, 한말 지식인의 서정을 함축적이고 비유적으로 그려내었다.
      이 시는 ‘현재-과거-현재’의 구성을 취한다는 점에서 한문서사시로서 전형성을 띠며, 사실 준거와 역사의식을 드러내는 注의 활용이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한말 한문서사시로서 특수성을 띤다. 그리고 조탁과 기교를 배제한 채 시대적 고뇌와 개인적 심회를 시에 담박하게 담아낸 점, 전쟁의 공포와 時事에 대한 불만 등의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를 함께 반영한 점 역시 특기할 만하다.
      전쟁의 실체험을 기반으로 하여 한말의 시대상과 지식인의 의식을 그대로 반영한 「望金城百五十韻」은 諸家의 평가대로 ‘詩史’로서의 성격을 갖추고 있으며, 한말에도 한문학이 문학적 기능이 여전히 활발히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큰 가치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숙, "한국 한문서사시 연구-한문서사시의 개념과 전개 양상" 한국한문학연구회 22 : 1998

      2 의성군지 편찬위원회, "의성군지" 의성군 1998

      3 이국진, "두보시 「北征」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한 일고찰" 동양한문학회 33 (33): 71-107, 2011

      4 申鉉圭, "壬丙兩亂을 素材로 한 漢文敍事詩 硏究"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5 김상종, "云山小雲 二棣倡義錄" 김태덕 2004

      6 김원석, "丙申倡義實錄을 통해 본 의성 의병" 안동대사학회 3 : 1998

      7 李相燦, "1896년 義兵運動의 政治的 性格"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 박혜숙, "한국 한문서사시 연구-한문서사시의 개념과 전개 양상" 한국한문학연구회 22 : 1998

      2 의성군지 편찬위원회, "의성군지" 의성군 1998

      3 이국진, "두보시 「北征」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한 일고찰" 동양한문학회 33 (33): 71-107, 2011

      4 申鉉圭, "壬丙兩亂을 素材로 한 漢文敍事詩 硏究"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5 김상종, "云山小雲 二棣倡義錄" 김태덕 2004

      6 김원석, "丙申倡義實錄을 통해 본 의성 의병" 안동대사학회 3 : 1998

      7 李相燦, "1896년 義兵運動의 政治的 性格"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