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창의성의 개념을 규명하고 현대시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40253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 (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국어과 창의성 교육 ; 현대시 교육 ; 창의성
495.1071 판사항(22)
서울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odern poetry for enhancing creativity
109 p. ; 26 cm.
한국외대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신주철
참고문헌 : p. 102-10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창의성의 개념을 규명하고 현대시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창의성의 개념을 규명하고 현대시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기존에 이루어진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성 연구 중에서 본고에서 검토할 만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일반적인 창의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국어과에서의 창의성 개념, 창의성 교육의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창의성과 시 교육의 관계를 밝혔다. 이를 통하여 창의성 신장에 기여하는 시 교육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창의성의 신장을 돕는 국어과 교수·학습의 특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의미 있는 시 교수·학습 모형과 창의성 관련 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여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원리를 구체화하였다.
Ⅳ장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각 단계는 ‘ 계획→도입→전개→정리 단계→평가’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특히 ‘전개 단계’는 창의적인 활동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제 발견하기→ 아이디어 준비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나누기’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구안한 모형을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수록 작품인 <처음 안 일>시 수업에 적용하여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Ⅰ장부터 Ⅳ장까지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면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다루었다.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시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매우 유의미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재확인한 점, 또한 창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가 기반이 되어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다양한 시 수업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odern Poetry for Enhancing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an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how it can increase stu...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odern Poetry for Enhancing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an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how it can increase student creativity using modern poetry.
In Chapter I, I discussed the research purpose and background, and reviewed valuable arguments among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cre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In Chapter II, based on the concept of general creativity, I suggested a definition of creativity and components in creativity education. I also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teaching poetry. Through this, I confirmed the usefulness of poetry education in contributing to creativity improvement.
In Chapter III, I reviewed the Teaching-Learning attributes in the Korean Language enhancing creativity. Specifically, the principle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examining existing valuable research.
In Chapter IV, I made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Each phase consists of Plan ? Introduction ? Development ? Wrap up ? Assessment. The Development phase is divided into Problem seeking - idea preparing ? idea generating ? idea sharing. I applied this model to a poetry class of freshman middle school dealing with <처음 안 일>. Through this I suggest a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nhancing creativity.
Chapter V discusses academic meaning and limitations by summarizing the research from I to IV. I also suggested directions for meaningful research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and provide developments for futur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veral ways.
This study reconfirmed that poetry class could be an important method for enhancing student creativity. Furthermore, this study created a modern poetry Teaching-Learning model and suggested an application method. Based on this study, I expect to continue a lot of study related to poetry class enhancing creativ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