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현재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함에 있어서 빅데이터를 수집할 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80828
2022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125-134(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현재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함에 있어서 빅데이터를 수집할 때...
이 연구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현재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함에 있어서 빅데이터를 수집할 때, 처리할 때, 그리고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세 가지로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그 첫 번째로 데이터 자체의 문제점을 지닐 것으로 보이는 가짜 정보를 지적하고 기사형 광고와 정치 관련 가짜 뉴스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빅데이터 처리과정과 그 결과의 문제점으로 알고리즘에 의한 차별을 들었다. 포털 사이트에서 엔지니어를 검색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알고리즘에 의한 차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람과 관련한 개인 정보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에 대한 문제점을 프라이버시권, 정보자기결정권, 잊힐 권리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 시대에 인문학적 관점에서 빅데이터 활용 측면의 당면한 문제를 지적한 점과 빅데이터의 활용과정인 수집, 처리, 사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각각 논의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discuss the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in order to utilize big data. It identifies and discusses three research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collecting, processing, and using big data. F...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discuss the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in order to utilize big data. It identifies and discusses three research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collecting, processing, and using big data. First, it looks at the fake information circulating with regard to problems with the data itself, specifically looking at article-type advertisements and fake news related to politics. Second, discrimination by the algorithm was cited as a problem with big data processing and its results. This discrimination was seen while searching for engineers on the portal site. Finally, problems related to the invasion of personal related information were seen in three categories: the right to privac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be forgott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ints out the problems facing in the aspect of big data utilization from the humanities perspective in the era of big data and discusses possible problems in the collection, processing, and use of big data, respective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균,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법조협회 67 (67): 249-284, 2018
2 박은하, "텔레비전 광고와 영화에 표현된 인공 지능의 이미지" 인문사회 21 12 (12): 1237-1252, 2021
3 "일요신문"
4 김영진, "십대를 위한 영화 속 빅데이터 인문학" 팜파스 2021
5 정용찬, "생각이 크는 인문학" 을파소 2021
6 조하현,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 문제점과 대책" (3) : 1-4, 2014
7 이이삭, "빅데이터의 지식재산권 문제에 관한 연구 : 저작권을 중심으로" (78) : 57-79, 2015
8 유강하, "빅데이터와 빅퀘스천-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과 질문 -" 인문과학연구소 (82) : 187-214, 2018
9 주성빈,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분야 트렌드 분석 : 가짜뉴스(fake news)를 중심으로" 한국융합보안학회 17 (17): 111-119, 2017
10 이일호 ; 김기홍, "빅데이터는 누구의 소유인가?: 빅데이터의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와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 문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9 (19): 37-62, 2016
1 김한균,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법조협회 67 (67): 249-284, 2018
2 박은하, "텔레비전 광고와 영화에 표현된 인공 지능의 이미지" 인문사회 21 12 (12): 1237-1252, 2021
3 "일요신문"
4 김영진, "십대를 위한 영화 속 빅데이터 인문학" 팜파스 2021
5 정용찬, "생각이 크는 인문학" 을파소 2021
6 조하현,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 문제점과 대책" (3) : 1-4, 2014
7 이이삭, "빅데이터의 지식재산권 문제에 관한 연구 : 저작권을 중심으로" (78) : 57-79, 2015
8 유강하, "빅데이터와 빅퀘스천-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과 질문 -" 인문과학연구소 (82) : 187-214, 2018
9 주성빈,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분야 트렌드 분석 : 가짜뉴스(fake news)를 중심으로" 한국융합보안학회 17 (17): 111-119, 2017
10 이일호 ; 김기홍, "빅데이터는 누구의 소유인가?: 빅데이터의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와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 문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9 (19): 37-62, 2016
11 김영진,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과학기술법연구원 23 (23): 83-116, 2017
12 김재경,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법과정책연구원 6 (6): 157-178, 2014
13 박재연 ; 유용민, "빅데이터 활용 선거 기사의 특성과 문제점: 주요 한국 언론의 19대 대선 보도분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5 (35): 89-140, 2018
14 김연권, "빅데이터 시대에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30) : 38-69, 2016
15 "디지털타임스"
16 유봉석 ; 정일권, "뉴스 포털에서의 기사형 광고의 효과 요인에 관한연구: 메시지 노출 환경과 기망성 인식에 의한 역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19 (19): 23-45, 2018
1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8 박은하, "광고 속의 성차별" 소통 2009
19 차영란, "광고 및 미디어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AI) 활용 전략 :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02-115, 2018
20 오병일, "개인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타 활성화 정책의 문제점" (6) : 21-30, 2017
21 윤석진,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 활용의 충돌, 그 문제와 입법정책 과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중앙법학회 17 (17): 7-47, 2015
22 황용석 ; 권오성,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53-101, 2017
23 최창희,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 인터넷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16 (16): 53-101, 2017
24 윤성옥,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사)한국언론법학회 17 (17): 51-84, 2018
25 박아란,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소 56 (56): 113-155, 2019
26 "BBC 뉴스 코리아"
27 C. Nass, "Are machines gender neutral Gender-stereotypic responses to computers with voices" 27 (27): 864-876, 1997
P2E형 가상 농장 영농체험이 잠재 영농인의 태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보시스템성공모델 중심으로
상사 리더십과 동료의 정서적 지원이 성과평가 공정성과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과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외 약사서비스 지불보상체계 현황 :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