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시인이 ‘자화상’ 시편을 왜 창작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전제로 일제강점기(1920~1945) 시인들의 자화상 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양상을 정신분석적으로 밝히는 작업이다. 시인들의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15358
2012
Korean
자화상 ; 일제강점기 ; 정신분석 ; 자아방어기제 ; 박종화 ; 이상 ; 노천명 ; 윤곤강 ; 서정주 ; 권환 ; 박세영 ; analysis of poet ; Japanese colonial era ; psychoanalysis ; defense mechanism ; Park jong hwa ; No cheon myeong ; Lee sang ; Yoon kon Kang ; Seo jung joo ; Kwon hwa ; Park se yong
KCI등재
학술저널
37-67(31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시인이 ‘자화상’ 시편을 왜 창작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전제로 일제강점기(1920~1945) 시인들의 자화상 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양상을 정신분석적으로 밝히는 작업이다. 시인들의 자...
본고는 시인이 ‘자화상’ 시편을 왜 창작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전제로 일제강점기(1920~1945) 시인들의 자화상 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양상을 정신분석적으로 밝히는 작업이다. 시인들의 자화상을 욕망으로 파악하고 자아방어기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시에 직?간접적으로 표출되는가를 살폈다.<br/>
본고는 일제강점기 시의 ‘자화상’ 전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일제강점기 시기의 ‘자화상’ 시편을 전경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동시대를 살다간 시인들에 대한 정체성과 시의식을 살필 수 있다. 나아가 당대 시인들의 ‘자화상’ 시편을 통해 시인이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상화하면서 시대를 극복하는지에 대한 물음과 통찰이 가능해진다면 시인들의 근?현대 전체성에 대한 자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br/>
한국 문학사에서 자화상 이라는 제목으로 시가 창작된 것은 일제강점기에 박종화(1923), 이상(1936), 노천명(1938), 윤동주(1939), 윤곤강(1939), 서정주(1941), 권환(1943), 박세영(1943) 등 8명의 시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정신분석학의 ‘상상계적 이미지’로서 ‘나르시스즘 자화상’(노천명, 박종화)으로, ‘분열된 자화상’(권환, 이상)으로, ‘상징계적 이미지’로서 ‘이중 자화상’(윤동주, 윤곤강)으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서정주, 박세영)로 탐구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요위위, "「자화상」시인의 자아 인식에 대한 고찰" 25 : 2011
2 이지나, "?자화상?에 나타난 자아 인식의 양상― 윤동주와 서정주의 ?자화상?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8 : 7-, 2003
3 김현진,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 이미지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정효구, "한국 근․현대시 속에 나타난 「자화상」 시편의 양상과 그 의미: 근대적 자아 인식의 극복을 위한 하나의 시론"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43 : 2011
5 조두영, "프로이트와 한국문학" 일조각 1999
6 이기언, "폴 리쾨르 : 해석학과 자기 이해" 한국불어불문학회 (79) : 401-439, 2009
7 이기성, "초연한 수동성과의 시쓰기 -1930년대 후반 백석 시의 자화상-" 한국근대문학회 1 (1): 33-64, 2008
8 이진경, "철학과 굴뚝청소부" 그린비 2011
9 프로이드, "정신분석학 입문" 선영사 2003
10 박찬부, "재현과 그 불만: 라캉의 실재론" 신영어영문학회 (35) : 83-106, 2006
1 요위위, "「자화상」시인의 자아 인식에 대한 고찰" 25 : 2011
2 이지나, "?자화상?에 나타난 자아 인식의 양상― 윤동주와 서정주의 ?자화상?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8 : 7-, 2003
3 김현진,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거울 이미지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정효구, "한국 근․현대시 속에 나타난 「자화상」 시편의 양상과 그 의미: 근대적 자아 인식의 극복을 위한 하나의 시론"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43 : 2011
5 조두영, "프로이트와 한국문학" 일조각 1999
6 이기언, "폴 리쾨르 : 해석학과 자기 이해" 한국불어불문학회 (79) : 401-439, 2009
7 이기성, "초연한 수동성과의 시쓰기 -1930년대 후반 백석 시의 자화상-" 한국근대문학회 1 (1): 33-64, 2008
8 이진경, "철학과 굴뚝청소부" 그린비 2011
9 프로이드, "정신분석학 입문" 선영사 2003
10 박찬부, "재현과 그 불만: 라캉의 실재론" 신영어영문학회 (35) : 83-106, 2006
11 정순진, "자아정체성의 시적 형상화" 26 (26): 1998
12 이재선, "우리 문학은 어디에서 왔는가" 소설문학사 1986
13 가와노 히로시, "예술 기호 정보" 중원문화 2010
14 김석, "에크리-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15 강성자, "서정주와 윤동주의 자의식 비교, In 청람어문학" 1992
16 김종훈, "미래의 서정에게" 창비 2012
17 오형엽, "문학과 수사학" 소명출판 2011
18 박찬부, "라캉의 기호적 주체론" 한국기호학회 6 : 1999
19 맹정현, "라캉과 정신의학" 민음사 2002
20 최동호, "디지털 코드와 극서정시" 서정시학 2012
21 장만호, "국학의 이념과 근대시의 거절 - 최남선과 안확의 시조론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39) : 187-208, 2011
22 백상빈, "가시성과 언표 : 정신분석에서 이미지의 위치" 한국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8
23 李南昊, "尹東柱 와 徐廷柱 의 『 自畵像 』 比較 分析" 고려대학교 1981
24 신익호, "「자화상」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시적 형상화" 한국언어문학회 (68) : 277-308, 2009
25 A. Arnauld, "Nicole, La logique ou l'art de penser, for chapter" Paris Gallimard 1992
26 슬라보예 지젝, "HOW TO READ 라캉" 웅진지식하우스 2007
27 김권동, "1930년대 후반 『자화상』의 문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노천명, 서정주, 윤동주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52) : 333-360, 2008
<대무신왕신화>의 영웅일대기와 게임 <바람의 나라>의 영웅시스템, 그 서사적 상관성과 신화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