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서양문화 수용이 본격화되던 19세기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 세 나라는 국내외적 상황으로 인해서 서양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즉, 동북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 중국, 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5002385
김승배 (경복대학 건축설계과)
2001
Korean
문화과정 ; 근대건축 ; 중국 ; 일본 ; 전통성 표현 ; Culture process ; modern architecture ; traditional expression ; china ; Japan
041.000
학술저널
75-100(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서양문화 수용이 본격화되던 19세기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 세 나라는 국내외적 상황으로 인해서 서양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즉, 동북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 중국, 일...
근대 서양문화 수용이 본격화되던 19세기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 세 나라는 국내외적 상황으로 인해서 서양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즉, 동북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의 서양문화 수용과정은 서양의 일방적인 압력에 의한 문호개방과 그 맥을 함께 하고 있지만 문화과정의 특성상 일방적인 문화교류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수용국가의 문화적 특성에 따른 선택적인 문화를 수용하게 마련인 것이고 건축문화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세기 근대 초기 서양세력에 의해 개방된 중국과 일본이 근대 서양 건축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전통 건축문화요소를 서양건축물에 어떻게 표현하고자 했는지 그 의지와 표현양상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표현하고자 한 주요 건축요소(Core 요소)들의 범위에 대해서도 함께 중국과 일본의 중요 건축물들의 실증적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 근대건축에 있어서 전통성 표현의 문제에 대한 비교자료를 축적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dealt with the comparative study of traditional expression of China and Japan architecture in the early modern. At the same time, another concern of this study is to pile up and analyze modern architectural data of china and Japan in o...
This study has dealt with the comparative study of traditional expression of China and Japan architecture in the early modern.
At the same time, another concern of this study is to pile up and analyze modern architectural data of china and Japan in order to study modernization of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element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is author has tried to see the aspect of traditional expression, the range of express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elements and the character of modern architecture in China and Japan, from a viewpoint of cultural process, through a series of actual survey and analysis of existing buildings.
데이터베이스 개념설계를 위한 E-A모델과 E-R모델의 통합 모델링
지방중소도시 환경개선을 위한 Super Graphic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