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0년대 후반 소설의 거창민간인학살 형상화 양상과 기억투쟁 = The Aspects of the Geochang Genocide in Novels of the late 1980s and the Struggle of Memo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Geochang genocide in the late 1980s by Noh Soon-Ja's “Mountain Crying”(1986) and “Echo of Anger”(1987) series, Kim Young-Hyun, “The Sound of Unbleaching Crying”(1987), Kim Won-Il, Winter Valley(1987), and Jo Jeong...

      This study deals with the Geochang genocide in the late 1980s by Noh Soon-Ja's “Mountain Crying”(1986) and “Echo of Anger”(1987) series, Kim Young-Hyun, “The Sound of Unbleaching Crying”(1987), Kim Won-Il, Winter Valley(1987), and Jo Jeong-Rae's Taebaek Mountains Chapter 4(1989). I examined the aspects of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that appeared in these novels. These novels practiced the struggle of memory by presenting a counter-memory in resistance to the military's government-controlled memory that attempted to conceal and distort the Geochang genocide.
      According to Vamic D. Volkan, a psychoanalyst who studied the collective psychology of genocide victims, if a certain generation cannot overcome historical trauma, that trauma is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Writers use traumatic events as their matter of subject to express identity of victim and form alternative narrative memor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in the Republic of South Korean society was discovered in the late 1980s as a trauma that has not yet been resolved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80s, the Geochang genocide was shed new light by a group of novelists. In the process, writers suffered from the regime's persecution and censorship, which attempted to cover up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and the resulting self-censorship. Noh Soon-Ja, Kim Young-Hyun, Kim Won-Il, and Jo Jeong-Rae overcame the fear of censorship caused by the regime's red complex and created works that dealt with the Geochang genocide, thereby narrating the identity of the victim community called Geochang people.
      Geochang people's identity as a victim was depicted by Noh Soon-Ja as a 'suffering people,' Kim Young-Hyun as a 'generation of fathers of May 18,' Kim Won-Il as a 'human victim of ideology,' and Jo Jeong-Rae as a 'conscientious nationalist.' The identity of the victims expressed in their works became the foundation of a counter-memory to the military's memory of control. The authors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Geochang from various angles by forming and transmitting the victim's identity. The process by which artists appropriate the symbolic identity of Geochang people in different ways makes it possible to seek a new community. Through this struggle of the memory, these novels provided an opportunity to mourn the victims of the Geochang Civilian Massac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을 소재로 다룬 노순자, 「산울음」(1986-1987) 연작, 김영현, 「불울음소리」(1987), 김원일, 『겨울 골짜기』(1987), 조정래, 『태백산맥』제4부(1989...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을 소재로 다룬 노순자, 「산울음」(1986-1987) 연작, 김영현, 「불울음소리」(1987), 김원일, 『겨울 골짜기』(1987), 조정래, 『태백산맥』제4부(1989)에 나타나는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의 형상화 양상을 고찰했다. 이들 소설은 거창사건을 은폐하고 왜곡하려는 군부의 관제기억에 저항해 대항기억을 제시함으로써 기억투쟁을 실천했다.
      제노사이드 피해자들의 집단 심리를 연구한 정신분석가 바믹 볼칸에 의하면 특정 세대가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할 경우, 그 트라우마는 다음 세대에게 전승된다. 작가들은 트라우마적 사건을 소재로 삼아 피해자 정체성을 표현하고 대안적인 서사적 기억을 형성한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은 1980년대 후반에 남한 사회에서 아직 해소되지 못한 트라우마로 발견되었다는 점에 본 연구는 주목했다.
      1980년대 후반에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은 일군의 소설가들에 의해 새롭게 조명된다. 그 과정에서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을 은폐하려는 정권의 핍박과 검열, 그에 따른 자기검열에 작가들은 시달렸다. 노순자, 김영현, 김원일, 조정래는 정권의 레드 콤플렉스에 따른 검열의 공포를 극복하고 거창사건을 소재로 다룬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거창인이라는 피해자 공동체의 정체성을 서사화했다.
      거창민의 피해자 정체성을 노순자는 ‘수난 당하는 민중’으로, 김영현은 ‘5·18의 아버지 세대’로, 김원일은 ‘이념에 희생된 인간’으로, 조정래는 ‘양심적 민족주의자’로 그려냈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피해자 정체성은 군부의 관제기억에 대한 대항기억의 토대가 되었다. 작가들은 피해자 정체성을 형성하고 전승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거창을 고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작가들이 거창인이라는 상징적 정체성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유하는 과정은 새로운 공동체의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억투쟁을 통해 이들 소설은 거창민간인학살사건의 피해자들에 대한 애도의 계기를 마련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