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쿠마 켄고 건축 공간에 나타나는 시간성 = The Temporality of Kuma Kengo’s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3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Kuma kengo criticized a modern architecture as an object, he has pursued anti-objects in his works. It was essential to use the materials for Placeness and granulating of elevation materials, which have established his own architectural philosophy. This study is to know how Kuma Kengo’s architectural spaces make it possible to experience subjective spaces internally with temporality. Temporality wa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s. For this study, we have analyzed six works of Kuma kengo with three analysis frameworks (actual temporality, abstract temporality and contextual temporality). This results of these analysis are the Temporality formulated by using of materials and composition of granulating. In conclusion, the real, the abstract, and the contextual temporalities were shown in his works.
      번역하기

      Since Kuma kengo criticized a modern architecture as an object, he has pursued anti-objects in his works. It was essential to use the materials for Placeness and granulating of elevation materials, which have established his own architectural philosop...

      Since Kuma kengo criticized a modern architecture as an object, he has pursued anti-objects in his works. It was essential to use the materials for Placeness and granulating of elevation materials, which have established his own architectural philosophy. This study is to know how Kuma Kengo’s architectural spaces make it possible to experience subjective spaces internally with temporality. Temporality wa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s. For this study, we have analyzed six works of Kuma kengo with three analysis frameworks (actual temporality, abstract temporality and contextual temporality). This results of these analysis are the Temporality formulated by using of materials and composition of granulating. In conclusion, the real, the abstract, and the contextual temporalities were shown in his wo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은, "현대 미술의 시간성과 혼합성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2 장용순,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 01.위상학" 미메시스 2010

      3 김정기, "현대 건축에 있어 들뢰즈의 '생성'에 관한 연구 : UN studio건축을 사례분석으로"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4

      4 장정제, "현대 건축 공간에 나타나는 시간의 감각과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54-163, 2013

      5 다케우치 가오루, "한권으로 충분한 시간론" 전나무 숲 2015

      6 Jean Robertson,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7 박찬일, "쿠마켄고의 건축론에서 나타나는 반(反) 오브젝트의 개념적 특성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67-77, 2015

      8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9 봉일범, "잠재성의 차원" Spacetime 2005

      10 쿠마켄고, "약한건축" 디자인하우스 2009

      1 이상은, "현대 미술의 시간성과 혼합성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2 장용순,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 01.위상학" 미메시스 2010

      3 김정기, "현대 건축에 있어 들뢰즈의 '생성'에 관한 연구 : UN studio건축을 사례분석으로"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4

      4 장정제, "현대 건축 공간에 나타나는 시간의 감각과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54-163, 2013

      5 다케우치 가오루, "한권으로 충분한 시간론" 전나무 숲 2015

      6 Jean Robertson,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7 박찬일, "쿠마켄고의 건축론에서 나타나는 반(反) 오브젝트의 개념적 특성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67-77, 2015

      8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9 봉일범, "잠재성의 차원" Spacetime 2005

      10 쿠마켄고, "약한건축" 디자인하우스 2009

      11 문정필, "시간으로서의 건축" 대가 2009

      12 쿠마켄고, "삼저주의" 안그라픽스 2012

      13 김민태, "사이버건축에서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성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6

      14 박영욱, "데리다&들뢰즈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김영사 2018

      15 김기찬,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의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알도 반 아이크와 헤르만 헬쯔버거의 건축작품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8

      16 구마겐고, "나, 건축가 구마 겐고" 안그라픽스 2014

      17 "https://www.youtube.com/watch?v=5T0VGV8DaMA"

      18 "https://www.world-architects.com/en/kengo-kuma-and-associ ates-tokyo/project/chokkura-plaza"

      19 "https://www.pinterest.co.kr/pin/26599454022075384/"

      20 "https://www.metalocus.es/en"

      21 "https://www.gsd.harvard.edu/event/kengo-kuma-after-march-11th/"

      22 "https://www.france-voyage.com/activities/leisure-poissy-101735.htm"

      23 "https://www.dezeen.com/2015/10/16/china-academy-of-arts-folkart-museum-kengo-kuma-recycled-tiles-roof/"

      24 "https://www.designisthis.com/blog/en/post/tower-of-windstoyo-ito"

      25 "https://www.bloglovin.com"

      26 "https://www.architonic.com/en/project/kengo-kuma-shipyard-1862/5106177"

      27 "https://www.architectural-review.com"

      28 "https://www.archdaily.com"

      29 "https://theownerbuildernetwork.co/bamboo_house_kengo_kuma"

      30 "https://kkaa.co.jp/works/architecture/starbucks-coffee-at-dazai futenmangu-omotesando"

      31 "https://kkaa.co.jp/works/architecture/lotus-house/"

      32 "https://kkaa.co.jp/works/architecture/chokkura-plaza/"

      33 "https://kkaa.co.jp"

      34 "https://interactive.wttw.com/ten/homes/fallingwater"

      35 "https://inspiration.detail.de/stone-museum-in-nasu-106684html? lang=en"

      36 "https://eisenmanarchitects.com/Aronoff-Center-for-Design-and-Art-1996"

      37 "https://de.wikipedia.org/wiki/Bauhaus_Dessau"

      38 "https://article.wn.com/view/2015/08/05/Kengo_Kuma_to_expand_Portland_Japanese_Garden_with_LEEDcerti/"

      39 "https://arcspace.com/travel/commune-by-the-great-wall/"

      40 "https://arcspace.com/travel/commune-by-the-great-wall/"

      41 "https://architizer.com/projects/lotus-house"

      42 "https://anc.masilwide.com"

      43 "http://www.detailsinsection.org"

      44 "http://www.archidiap.com"

      45 Ekaterina Moreva, "Time from quantum entanglement:an experimental illustration" 89 : 2014

      46 유은복, "'시공간'개념으로 본 사진적 주체의 근대성 : 데카르트(뉴튼)의 절대적 시간, 공간과 아인쉬타인의 상대적 '시공간'을 비교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