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요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급속히 변하는 사회복지 업무 환경 속에서 전문직 사회복지사로서의 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요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급속히 변하는 사회복지 업무 환경 속에서 전문직 사회복지사로서의 직...
논문요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급속히 변하는 사회복지 업무 환경 속에서 전문직 사회복지사로서의 직업정체성을 형성해 가면서 동시에 공직자로서의 긍지를 찾고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좀 더 나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기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업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가는지를 그 형성 맥락과 과정을 분석하여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클라이언트들의 다양한 복지 욕구와 사회복지 정책 및 제도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화해 내고 있는지를 이해하여, 보다 나은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겪는 직업정체성 형성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시 지역에 근무하는 5급 이하 사회복지직 공무원으로서 10년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8명으로, ○○시 및 ○○군·구에 본 연구의 주제에 적합한 연구참여자의 소개를 의뢰하여 추천받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 방법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면담 중에 나타나는 표정이나 행동 등의 관찰도 병행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 및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자료를 분석한 절차와 결과에 대해 살펴보자.
먼저 연구자는 원 자료(Raw Data)를 바탕으로 의미 단위 분석을 한 결과 251개의 개념들을 구성했다. 이 개념들 중 연구자는 상호 중복되거나 범주 밖에 존재하는 것들을 제거하고, 이를 요약하여 169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개념들을 하나로 묶어 37개를 하위범주로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37개의 하위범주 중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향성을 지닌 것들을 공통성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묶어 13개로 상위 범주화하였다. 이렇게 상위 범주화한 결과는 ‘공직에 대한 막연한 선호’, ‘공직 생활의 현실 인식’, ‘고립된 섬으로 존재하는 사회복지직’, ‘악성 고질 민원 견디기’, ‘질풍과 같은 최일선의 복지 현장에서 버티기’, ‘전문성의 장애물’, ‘타성에 젖어가는 사회복지직에 대한 갈증’, ‘공직을 지속하게 하는 동력’, ‘찾아가는 복지 제도의 허와 실’, ‘찾아가는 주민복지의 빛과 그림자’, ‘바람직한 사례관리 및 복지허브화 방향에 대한 의견’, ‘깊고 넓어진 업무 수행의 지평’, ‘시간이 약’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직업정체성을 공직 초기, 중기, 현재 경력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면서 형성되어 가는지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공직 경험을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이유는, 이 분석 과정을 통해 직업정체성의 변화를 좀 더 깊이 있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탐색해 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 분석은 참여자들의 경험을 전담공무원으로 임용되면서부터 현재까지 시·공간적 흐름 속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6단계로 도출하였는데,「진입 단계」,「한계 인식 단계」,「업무 매몰 단계」,「대응 노력 단계」,「다차원성의 통찰 단계」,「역할 통합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상의 얻은 연구 결과들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공적 사회복지를 수행함에 있어 공무원임과 동시에 사회복지사로서의 복합적 역할을 수행하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에 대한 이해와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직업정체성, 실천 경험, 역할 수행, 사례연구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유미, "직업윤리", 경기 파주: 신지서원, 2009
2 이덕희,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창지사, pp. 125-126, 2016
3 남세진, 조흥식, "한국사회복지론", 서울: 나남출판사, 1995
4 권진숙, 박지영,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1
5 소진광, "「한국지방자치의 이해」", 서울: 박영사, 2008
6 박성미, "대학생을 위한 직업준비교육", 경기 고양: 서현사, 2006
7 최성재, "사회복지실천과 임상사회사업", 서울: 학문사, 1999
8 김경동, "현대의 사회학: 사회학적 관심", 서울: 박영사, 2004
9 이영철, "보다 나은 사례연구: 논리와 예시", 정부학연구, 제15권 1호, pp. 189- 214, 2009
10 이희숙, "“한국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 김유미, "직업윤리", 경기 파주: 신지서원, 2009
2 이덕희,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창지사, pp. 125-126, 2016
3 남세진, 조흥식, "한국사회복지론", 서울: 나남출판사, 1995
4 권진숙, 박지영,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1
5 소진광, "「한국지방자치의 이해」", 서울: 박영사, 2008
6 박성미, "대학생을 위한 직업준비교육", 경기 고양: 서현사, 2006
7 최성재, "사회복지실천과 임상사회사업", 서울: 학문사, 1999
8 김경동, "현대의 사회학: 사회학적 관심", 서울: 박영사, 2004
9 이영철, "보다 나은 사례연구: 논리와 예시", 정부학연구, 제15권 1호, pp. 189- 214, 2009
10 이희숙, "“한국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1 유홍준, "“한국인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위세”", 한국사회, 제18권 1호, pp. 77- 104, 2017
12 구인회, "“사회복지 지방분권 개선방안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0권 3호, pp. 99-124, 2009
13 박종우,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14 김진학,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채용과정 역사”", 최일선포럼: 2014년 10월 31일, 2014
15 김슬옹, "“논문: 인식 방법론 어휘 담론과 교육”", 한말연구, 제26권 26호, pp. 33-62, 2010
16 전재일,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1권 4호, pp. 347-370, 2005
17 권덕철, "“찾아가는 읍면동 서비스, 전국 확대한다”,", 세계일보, 2018
18 김이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수행 방향 모색”", 사회복지정책, 제43권 4 호, pp. 109-139, 2016
19 신세민, "“사회복지직 강등임용자 직급회복 과정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5
20 김미경, 이환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 개선방안”", 한국지역혁신 논집, 제3권 1호, pp. 19-42, 2008
21 김소정, "“동사무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 딜레마”", 사회복지연구, 제46권 1호, pp. 315-342, 2015
22 정옥희, "“미술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 조형교육, 제42권, pp. 213-232, 2012
23 이정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제도의 의의와 활성화 과제”", 사회복지전문요원 10년사 1987-1997, 전국사회복지전문요원 동우회, 1997
24 문진영, "한국사회복지사협회자격관리센터, http://lic.welfare.net", “국회토론회 자료실”, 2009
25 조연오, "“근거이론에 입각한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창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5
26 김영종, "“공공 복지전달체계 개편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복지, 제168 권, pp. 6-20, 2006
27 김이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직렬통합 논의의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복지 행정, 제16권 3호, pp. 147-179, 2014
28 문현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 행정학, 제16권 1호, pp. 113-146, 2014
29 조성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 구, 제29권 1호, pp. 169-197, 2013
30 정혜정, "“초등 사회과 전문 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교과교 육학회, 학술대회지 2009년 2호, pp. 363-385, 2009
31 김상곤, "“민관 협력을 위한 통합사례관리 운영체계 구축방안”", 사례관리연구, 제4권 제1호, pp. 51-87, 2013
32 전진호,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3 이현주, "“사회복지사는 어떻게 전문직 정체성을 찾아가는가?”", 중앙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pp. 30-31, 2012
34 김예경,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0
35 정창현, "“우리나라의 정보격차와 정책적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6 정현주, "“초등학교 고령 여교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초등교육연 구, 제24권 4호, pp. 375-395, 2011
37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여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8 장윤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사 회복지행정학, 제14권 4호, pp. 297-331, 2012
39 강혜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수행 실태와 인력관리의 쟁점”", 한국사 회복지행정학, 제5권, pp. 41-77, 2001
40 김인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 조직화-공공담론의 역설과 실패”", 한국 사 회복지학회 추계학술자료집, pp. 124-175, 2016
41 정윤모, 강영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특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제36권 1호, pp. 255-277, 2009
42 정무성,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관련 요인 연구”", 재활 복지, 제9권 1호, pp. 19-46, 2005
43 강혜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시행과 공적 복지전문인력의 역할”", 한국 사회복지행정학, 제2권, pp. 1-28, 2000
44 정수영,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5 박용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6 권진옥,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7 이혁구, 임해영, "“미혼모의 입양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해석학적 근거이론 접 근”",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3호, pp. 53-78, 2013
48 김창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정체성 변화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삼육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9 송경민, 이형렬, "“여성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RI연구논총, 제12권 2호, pp. 173-200, 2010
50 정샛별, "“의료사회복지사 수련교육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 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1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신경식 서아영 역, 2013, 사례연구방법", 서울: 한경사, 2011
52 김지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요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 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3 임해영, "“미혼모의 양육과 입양 결정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25-42, 2014
54 황미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수퍼비젼과 직무관련 변인의 구조적 관계”", 중 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5 조연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 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6 이은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57 심우찬, "“Professional Identity,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of Licensed Social Worker in Korea”", 복지행정논총, 제18권 1호, pp. 111-133, 2008
58 최지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미래역할과 역량, 필수 교과목-델파이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8권, pp.19-44, 2014
59 류채형, "“한국 여성경찰관의 직업정체성과 직무태도와의 관계에 관 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0 홍성의, "“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에서 지역사회 협력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61 정은경,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 역할수행의 맥락과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62 김기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 및 직무특성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3 조성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클라이언트 관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 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1호, pp. 109-142, 2015
64 김진학, 황미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멘토관계의 관련 성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25권 1호, pp. 225-251, 2006
65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5th ed.), 신경식 서 아영 역, 2011, 사례연구방법", 서울: 한경사, 2009
66 박승규,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67 남기민, 박웅렬,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고객지향성에 미 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38권 3호, pp. 93-121, 2008
68 조수민, "“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69 홍성대, "“복지사각지대 해소 방안으로서의 사례관리 활성화를 위한 법 제도적 과제”", 입법과 정책, 제3권 제2호, pp. 127-149, 2011
70 이소민, "“사회복지학 전공자들이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71 이진, "“한국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지방정부 역할을 중심으 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72 Hewitt, J. P., "Self and Society, 윤인진 외 역, 2001, 자아와 사회: 상징적 상 호작용주의 사회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1
73 한승주, "“공무원의 주관적 책임성-지방자치단체 중하위직 공무원의 경험을 통 한 탐색”", 한국행정학보, 제47권 1호, pp. 25-45, 2013
74 박병식, "“사례조사의 방법론적 분석-한국행정학보에 게재된 사례조사연구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1993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제1권, pp. 25- 51, 1993
75 신원식, 이경은, "“현장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 형-Q방법론의 활용”", 사회보장연구, 제21권 1호, pp. 59-84, 2005
76 손경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 직무환경, 소진에 관한 실태 및 지역 별 차이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2호, pp. 233-253, 2009
77 이재완,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 유사 중복 사회보장사업 정비조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6권, pp. 83-112, 2016
78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홍용희 외 역, 2000, 질적 사례 연구", 서울: 창지사, pp. 24-25, 1995
79 이영란, "“아이돌보미 여성의 근무환경, 직업정체성,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 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62-70, 2016
80 홍미영, "“지방공무원의 승진공정성 지각과 만족의 영향요인-남성공무원과 여성공무원의 비교”", 지방정부연구, 제9권 1호, pp. 45-69, 2005
81 문영주, 황미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멘토링 경험 및 멘토링 기능이 전 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제14권 S호, pp. 93-111, 2007
82 김동룡,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에서의 복지모순에 관한 연구-경상북도 집행 과정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83 이혜경,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정체성과 적응에 관한 경험 범주 탐구-K 교육 청 직원 면담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84 김장환, 이용재, "“조직 내 의사소통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몰입에 미치 는 영향-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9권, pp. 31-51, 2014
85 박수선, "수퍼비젼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서울, 경기 소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6 김경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 결정 모형-자기효능감과 내재적 직 무동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87 이지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사회화와 전문직 태도에 관한 연구-서울시 소 재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8 김나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개인적특성, 업무 환경,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9 김철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직무스트레 스, 우울, 사회적지지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90 김동원, 조남신, "“보건의료영역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공동체의식과 참여의식에 대해 조직 관리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지, 제18권 2호, pp. 104-126, 2013
91 전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사회복지교육성과와 직무성과와의 관계-임 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1호, pp. 291- 316, 2011
92 나상희,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성원칙과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전문직업 적 정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93 권현수, 성희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긴장,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민 간부문 사회복지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4권 3호, pp. 361 -383, 2013
94 문영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 전문직업적 정체성, 직 무수행에 있어 멘토 유무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사회복지연구, 제35권 4호, pp. 93-115, 2007
95 박은경,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요인에 관한 연 구-강원도 소재 사회복지 시설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6 김경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가 사례관리 직무수행 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97 김주현, 전진호, "“원격대학의 사회복지현장실습 3P-Plus모델에 관한 연구-사회 복지 현장의 실습수퍼바이저의 의견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2 권, pp. 1-30, 2010
98 정홍원, "“사회복지 담당공무원의 직무역량 수준과 직무교육 욕구-기초자치 단체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제21권 제3호, pp. 143-167, 2011
99 허대영, "“전문직 사회화 요인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인 천, 경기 지역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00 순덕기,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01 선수경,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직무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02 Padgett, D.,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유태균 역, 2001,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1998
103 김은정, 박종일, "“집단정체성(group identity) 연구에서 근원주의(essentialism) 와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검토-민족과 연령집단을 중심으로”", 사회와 이론, 제13권, pp. 185-212, 2008
104 박미선, "“사회복지공무원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대구지역 읍면동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2권, pp. 193-221, 2007
105 전태준,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의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106 문지은,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4
107 이슬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사회화가 전문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수련과정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7
108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조흥식 외 역, 2010,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 울: 학지사, 2007
109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조흥식 외 역, 2015,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 울: 학지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