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다중피해 발생 양상에 관한 성별 비교 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맥락중심적 접근 = A Gender Comparison of the Occurrence of Polyvictimization among Adolescents: A Context-Centered Approach Using a Network Anla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47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 and context of adolescents’ polyvictimization by gender. Thus, th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visualize the polyvictimization, and estimated the core victimization type by calculating centr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 and context of adolescents’ polyvictimization by gender. Thus, th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visualize the polyvictimization, and estimated the core victimization type by calculating centrality,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and chronicity of polyvictimization. Cross-section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urvey on Juvenile Victimization in 2014 (N=7,109)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twork analysis detected 5 communities (‘polyvictimization’, ‘emotional and property victimization’, ‘physical and property victimization’, ‘sexual victimization’, and ‘witness and indirect victimization’) in the male group, and 4 communities (‘polyvictimization’, emotional and cyber victimization’, ‘physical and property victimization’, and ‘witness and indirect victimization’) in the female group. Second, child maltreatment was clustered in the ‘polyvictimiztion’, which included the most diverse sub-types in both gender. Third, group assault by peers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centrality and most influential sub-types of polyvictimization in both gender.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s for expanding the school social work system and strengthening child protection system were suggested to prevent polyvictim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청소년이 경험하는 다중피해의 실질적 발생 양상과 그 맥락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다중피해 네트워크를 시각화하...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청소년이 경험하는 다중피해의 실질적 발생 양상과 그 맥락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다중피해 네트워크를 시각화하고, 중심성 지표 분석을 통해 다중피해의 발생 및 만성화에 핵심이 되는 피해 유형을 규명하여 사회복지적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2014년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에서 2014년 진행한 ‘청소년 대상 범죄피해조사’에서 청소년 7,109명(남자 청소년 3,347명, 여자 3,76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횡단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중피해 하위 21개 세부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남자청소년의 피해 커뮤니티는 5개(‘다중피해’, ‘정서 및 재산피해’, 신체 및 재산피해‘, 성피해’, 목격 및 간접피해‘), 여자청소년은 4개(’다중피해‘, ’정서 및 사이버 피해‘, ’신체 및 재산피해‘, 목격 및 간접피해’)로 구분되었다. 둘째, 남녀 모두 가장 다양한 유형이 포함된 ‘다중피해’ 커뮤니티에는 아동학대가 포함된 공통점을 보인 반면, 성피해 발생 양상은 이질적이었다. 셋째, 또래에 의한 집단 폭행은 남녀 모두에게서 가장 높은 중심성을 보여 다중피해 예방을 위한 핵심 유형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다중피해 예방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제도 확대 및 기능 강화, 아동학대 예방 및 성피해 예방을 위한 정책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남미애, "학교폭력에 대한 도움요청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부산지역 초·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95-127, 2015

      2 홍봉선 ; 남미애,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 차원의 회복적 사법의 적용" 한국형사정책학회 26 (26): 45-79, 2014

      3 남미애 ; 홍봉선,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109-144, 2015

      4 안윤숙 ; 김흥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4 (14): 387-413, 2013

      5 이은혜 ; 성지은 ; 황성환,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 전략: 예방과 초기 개입 단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60) : 121-147, 2019

      6 주석진 ; 진혜경 ; 조성심 ; 박경현,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7) : 23-62, 2019

      7 김준범 ; 최서연, "피해와 우울의 악순환:학교폭력 피해가 우울의 종단적 매개로 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0) : 1-24, 2020

      8 김성언, "폭력피해와 성차 : 폭행·상해, 협박과 괴롭힘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1 (21): 103-134, 2010

      9 김준범, "초기청소년기 가정 내 학대피해와 가정 외 폭력피해 및 자살시도: 다중폭력피해 관점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213-239, 2019

      10 김준범 ; 최윤희, "초기 청소년기 다중폭력피해자의 자살시도에관한 연구: 심리적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6 (26): 121-149, 2018

      1 남미애, "학교폭력에 대한 도움요청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부산지역 초·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95-127, 2015

      2 홍봉선 ; 남미애,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 차원의 회복적 사법의 적용" 한국형사정책학회 26 (26): 45-79, 2014

      3 남미애 ; 홍봉선,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109-144, 2015

      4 안윤숙 ; 김흥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4 (14): 387-413, 2013

      5 이은혜 ; 성지은 ; 황성환,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 전략: 예방과 초기 개입 단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60) : 121-147, 2019

      6 주석진 ; 진혜경 ; 조성심 ; 박경현,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7) : 23-62, 2019

      7 김준범 ; 최서연, "피해와 우울의 악순환:학교폭력 피해가 우울의 종단적 매개로 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0) : 1-24, 2020

      8 김성언, "폭력피해와 성차 : 폭행·상해, 협박과 괴롭힘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1 (21): 103-134, 2010

      9 김준범, "초기청소년기 가정 내 학대피해와 가정 외 폭력피해 및 자살시도: 다중폭력피해 관점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213-239, 2019

      10 김준범 ; 최윤희, "초기 청소년기 다중폭력피해자의 자살시도에관한 연구: 심리적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6 (26): 121-149, 2018

      11 강지영, "청소년의 폭력피해 잠재유형 분류와 유형별 예측변인" 사회복지연구소 64 : 35-63, 2020

      12 김준범 ; 한광현, "청소년의 불안-우울 공존 양상과 자살시도: 부모의 낮은 정신건강 관심정도의 가중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8 (48): 5-34, 2020

      13 여성가족부,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21

      14 김준범 ; 최유일, "청소년 가출과 다중피해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185-214, 2019

      15 여성가족부, "제4차 청소년보호종합대책: 2022~2024" 여성가족부 2022

      16 홍영오,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연구 :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15

      17 최장원 ; 김준범,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기 다중피해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향점수매칭 분석의 적용-" 한국범죄심리학회 16 (16): 171-188, 2020

      18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19 최희경, "아동.청소년 성착취 피해예방과 인권적 구제 방안 실태조사 - 디지털 성착취 피해를 중심으로 -" 국가인권위원회 2021

      20 류정희, "생애주기별 학대경험의 상호관계성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2017

      21 류정희, "생애주기별 학대․폭력에 대한 통합적 접근과 정책대응" 보건사회연구원 2016

      22 류정희, "생애주기별 학대 경험 연구-아동기 학대·폭력의 중복적 경험과 정책적 대응" 보건사회연구원 2018

      23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24 김진광 ; 오창혁 ; 김소형, "논문 인용에 따른 학술지 군집화 방법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827-839, 2015

      25 관계기관합동, "관계부처 합동 아동학대 대응체계 강화 이행상황 점검(보도자료)"

      26 황지태, "공식통계와 범죄피해조사의 상반된 결과에 대한 설명: 범죄 감소의 직접적 요인 설명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 (20): 279-303, 2009

      27 김민선 ; 최현정, "경계선 성격의 핵심증상 및 우울 증상과의 동반이환: 네트워크 분석" 한국임상심리학회 39 (39): 257-273, 2020

      28 김범구, "가정 밖 청소년의 효율적 지원을 위한 청소년 쉼터 실태조사" 2019

      29 배수희 ; 손승영,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과 인식의 여성주의적 분석" 여성연구소 26 (26): 93-124, 2016

      30 Epskamp, S., "qgraph: Network visualizations of relationships in psychometric data" 48 : 1-18, 2012

      31 Ruback, R. B., "Why are crime victims at risk of being victimized again? Substance use, depression, and offending as mediators of the victimization-revictimization link" 29 (29): 157-185, 2014

      32 Price, M., "The symptoms at the center: examining the comorbidit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with network analysis" 109 : 52-58, 2019

      33 Trentacosta, C. J., "The relations among cumulative risk, parenting, and behavior problems during early childhood" 49 (49): 1211-1219, 2008

      34 Cyr, K., "The impact of lifetime victimization and polyvictimization on adolescents in Québec: mental health symptoms and gender differences" 32 (32): 3-21, 2017

      35 Csardi, G., "The igraph software package for complex network research" 1695 (1695): 1-9, 2006

      36 Lazarov, A., "Symptom structure of PTSD and co-morbid depressive symptoms-a network analysis of combat veteran patients" 50 (50): 2154-2170, 2020

      37 Boardman, J., "Social exclusion and mental health-how people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re disadvantaged: an overview" 15 (15): 112-121, 2011

      38 Rutter, M, "Primary prevention in psychopathology. Vol. 8: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49-74, 1979

      39 Christ, C., "Prevention of violent revictimization in depressed patients with an add-on internet-based emotion regulation training (iERT): study protocol for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8 (18): 1-14, 2018

      40 Yount, K. M., "Preventing gender-based violence victimization in adolescent girls in lower-income countries: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192 : 1-13, 2017

      41 Marquart, B. S., "Prevalence of dating violence and victimization: Regional and gender differences" 42 (42): 645-657, 2007

      42 Amstadter, A. B., "Predictors of physical assault victimization: Finding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Adolescents" 36 (36): 814-820, 2011

      43 Conrado Filho, F., "Potentialities and limitations of network analysis methodologies : a theoretical model focused on the Social Sciences" (33) : 199-214, 2018

      44 Finkelhor, D., "Polyvictimization: Children’s Exposure to Multiple Types of Violence, Crime, and Abuse" National survey of children’s exposure to violence 2011

      45 Turner, H. A., "Polyvictimization and youth violence exposure across contexts" 58 (58): 208-214, 2016

      46 Butcher, F., "Polyvictimization across social contexts: Home, school, and neighborhood violence exposure" 43 (43): 1726-1740, 2016

      47 Finkelhor, D., "Poly-victimization: A neglected component in child victimization" 31 (31): 7-26, 2007

      48 Turner, H. A., "Poly-victimization in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and youth" 38 (38): 323-330, 2010

      49 Ellonen, N., "Poly-victimization as a life condition: Correlates of poly-victimization among Finnish children" 12 (12): 20-44, 2011

      50 Mitchell, K. J., "Poly-victimization and peer harassment involvement in a technological world" 33 (33): 762-788, 2018

      51 Borsboom, D., "Network analysis: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structure of psychopathology" 9 : 91-121, 2013

      52 Borsboom, D., "Network analysis: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structure of psychopathology" 9 : 91-121, 2013

      53 Dalege, J., "Network analysis on attitudes: A brief tutorial" 8 (8): 528-537, 2017

      54 Charak, R., "Latent classes of childhood poly-victimization and associations with suicidal behavior among adult trauma victims: Moderating role of anger" 62 : 19-28, 2016

      55 Haslbeck, J., "How well do network models predict observations? On the importance of predictability in network models" 50 (50): 853-861, 2018

      56 Cornally, N., "Help‐seeking behaviour: A concept analysis" 17 (17): 280-288, 2011

      57 Brown, J. B., "Geographical disparity and traumatic brain injury in America: rural areas suffer poorer outcomes" 10 (10): 10-15, 2019

      58 Schwartz, B., "Gender differences in the violence exposure types that predict PTSD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36 (36): 8358-8381, 2021

      59 Hines, D. A., "Gender differences in sexual assault victimization among college students" 27 (27): 922-940, 2012

      60 Epskamp, S., "Estimating psychological networks and their accuracy: A tutorial paper" 50 (50): 195-212, 2018

      61 Dierkhising, C. B., "Developmental timing of polyvictimization: Continuity, change, and association with adverse outcomes in adolescence" 87 : 40-50, 2019

      62 Ireland, T. O., "Developmental issues in the impact of child maltreatment on later delinquency and drug use" 40 (40): 359-400, 2002

      63 Pereira, F., "Cyber-harassment victimization in Portugal: Prevalence, fear and help-seeking among adolescents" 62 : 136-146, 2016

      64 Carbone-Lopez, K.,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peer victimization: Gender differences in direct and indirect forms of bullying" 8 (8): 332-350, 2010

      65 Saner, H., "Concurrent risk factors for adolescent violence" 19 : 94-103, 1996

      66 Pons, P., "Computing communities in large networks using random walks" Springer 284-293, 2005

      67 Finkelhor, D., "Children’s exposure to violence, crime, and abuse: An update"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 2015

      68 Stewart, S., "Childhood maltreatment and risk of harm to self and others: The role of sex and polyvictimization" 7 (7): 108-122, 2020

      69 Jones, P. J., "Bridge centrality: A network approach to understanding comorbidity" 56 (56): 353-367, 2021

      70 보건복지부, "2022 아동분야사업안내 2" 보건복지부 2022

      71 보건복지부, "2020 아동학대 주요통계" 보건복지부 2021

      72 대검찰청, "2019 범죄분석" 대검찰청 2019

      73 법무연수원, "2019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