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의종, "증거성과 정보 관할권의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 가와사키 케이고(河崎啓剛), "중세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신구문화사 2017
3 가와사키 케이고(河崎啓剛), "중세한국어 감동법 연구 ― ‘깨달음’과 ‘복수성’―" 서울대학교 2016
4 허웅, "우리 옛말본 ― 15세기 국어형태론" 샘문화사 1975
5 Kawasaki Keigo, "소위 감동법 ‘-ᄉ-’에 대하여" 국어사학회 (19) : 233-260, 2014
6 임동훈, "경계해야 할 두 가지 함정 - 가와사키 케이고(2017)을 중심으로 -" 형태론 20 (20): 279-292, 2018
7 박진호,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언어정보연구소 15 : 1-25, 2011
8 Kawasaki Keigo, "均如鄕歌 解讀을 위한 漢文 資料의 體系的 對照와 巨視的 接近" 구결학회 (29) : 97-151, 2012
9 들랜시(DeLancey, S.), "Mirativity: The grammatical marking of unexpected information" 1 : 33-52, 1997
10 아이헨발트(Aikhenvald, A. Y.), "Evidenti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