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저작권법의 내용 분석과 평가 = 남북한 저작권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2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한 저작권법의 비교·평가를 통해서 북한 저작권법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북한저작권법제에 대한 것으로써 저작권의 기본, 저작권 대상, 저작권리, 남북한 저작재산권보호기간 비교, 남북한 저작권법제의 구성 비교 등에 관한 것이다.
      북한의 저작권법은 자본주의 시장질서에서 나온 저작권법을 수용하면서 체제를 고려한 변형된 저작권법을 운용하고 있다. 그럼으로 남한의 입장에서 이해가 안되거나 더욱이 미비된 조항도 상당수 있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북한과의 저작물 유통배급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체제상 내재된 모순에서 비롯된 저작권법의 내용을 견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저작물의 대상, 저작물에 대한 당국의 가격결정권, 저작재산권에서의 공중송신권 부재, 저작권의 50년간 보호기간, 저작권리 발생이 발표시점이라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북한의 체제에 미칠 영향을 우선 고려하였고, 당국의 관리 감독하에 두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남한의 저작권법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보편성과 거리가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우리가 직시해야 하는 점은 비판보다는 현재의 상황에서 북한 저작권법을 평가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북한의 저작권법은 크게 세 가지로 평가해 볼 수 있다. 첫째, 북한 저작권법의 이질성, 둘째, 여전히 개방의 고민을 안고 있는 보편성의 문제, 셋째, 이에 따른 남북한 저작권법상의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훨씬 많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향후 남북한간의 저작권교류협력에서 접점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남북한 저작권법의 비교·평가를 통해서 북한 저작권법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북한저작권법제에 대한 것으로써 저작권�...

      본 연구는 남북한 저작권법의 비교·평가를 통해서 북한 저작권법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북한저작권법제에 대한 것으로써 저작권의 기본, 저작권 대상, 저작권리, 남북한 저작재산권보호기간 비교, 남북한 저작권법제의 구성 비교 등에 관한 것이다.
      북한의 저작권법은 자본주의 시장질서에서 나온 저작권법을 수용하면서 체제를 고려한 변형된 저작권법을 운용하고 있다. 그럼으로 남한의 입장에서 이해가 안되거나 더욱이 미비된 조항도 상당수 있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북한과의 저작물 유통배급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체제상 내재된 모순에서 비롯된 저작권법의 내용을 견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저작물의 대상, 저작물에 대한 당국의 가격결정권, 저작재산권에서의 공중송신권 부재, 저작권의 50년간 보호기간, 저작권리 발생이 발표시점이라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북한의 체제에 미칠 영향을 우선 고려하였고, 당국의 관리 감독하에 두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남한의 저작권법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보편성과 거리가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우리가 직시해야 하는 점은 비판보다는 현재의 상황에서 북한 저작권법을 평가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북한의 저작권법은 크게 세 가지로 평가해 볼 수 있다. 첫째, 북한 저작권법의 이질성, 둘째, 여전히 개방의 고민을 안고 있는 보편성의 문제, 셋째, 이에 따른 남북한 저작권법상의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훨씬 많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향후 남북한간의 저작권교류협력에서 접점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ssess the contents of copyright Law in North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evalu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copyright Law. The major research focused on the copyright legislative system of North Korea which includes the basic, the target of copyright, its right, the comparison of copyright ter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comparison of their legislative system.
      North Korea has operated the transformed copyright legislative system which accepted the copyright law originated from Capitalist market order and considered their system at the same time. So there exist many of Articles that South Korea can’t understand or not perfectly arranged. We can draw the conclusion which it will not be easy to distribute copyright works with North Korea in this situation. That is, they have continued the contents of copyright law originated from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system.
      For example, it is judged that copyrights are under the supervision of government and they preferentially considered the effect on their system in that the target of copyright works, government’s decision making on the price of copyright works, the absence of public transmission right in property right, 50 years copyright protection period and the counting point of copyright is the time of announcement. Therefore it is analyzed it is far from the universality of global society including the copyright of South Korea.
      We can evaluate it into 3 major categories in this study. First, the difference of the copyright in North Korea, Second, the matters of universality embracing the troubles of opening, Third, there exist much more differences rather than similarities between the copyright of South and North Korea. These matters have suggested that we should seek the point of contact in the copyright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he future South and North relationships.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ssess the contents of copyright Law in North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evalu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copyright Law. The major research focused on the copyright legislative system of North Korea which...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ssess the contents of copyright Law in North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evalu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copyright Law. The major research focused on the copyright legislative system of North Korea which includes the basic, the target of copyright, its right, the comparison of copyright ter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comparison of their legislative system.
      North Korea has operated the transformed copyright legislative system which accepted the copyright law originated from Capitalist market order and considered their system at the same time. So there exist many of Articles that South Korea can’t understand or not perfectly arranged. We can draw the conclusion which it will not be easy to distribute copyright works with North Korea in this situation. That is, they have continued the contents of copyright law originated from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system.
      For example, it is judged that copyrights are under the supervision of government and they preferentially considered the effect on their system in that the target of copyright works, government’s decision making on the price of copyright works, the absence of public transmission right in property right, 50 years copyright protection period and the counting point of copyright is the time of announcement. Therefore it is analyzed it is far from the universality of global society including the copyright of South Korea.
      We can evaluate it into 3 major categories in this study. First, the difference of the copyright in North Korea, Second, the matters of universality embracing the troubles of opening, Third, there exist much more differences rather than similarities between the copyright of South and North Korea. These matters have suggested that we should seek the point of contact in the copyright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he future South and North relationshi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북한 저작권법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 Ⅲ. 북한 저작권법제의 구성 및 실체법
      • Ⅳ. 북한저작권법에 대한 평가
      • ABSTRACT
      • Ⅰ. 서론
      • Ⅱ. 북한 저작권법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 Ⅲ. 북한 저작권법제의 구성 및 실체법
      • Ⅳ. 북한저작권법에 대한 평가
      • Ⅴ. 결론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문성, "지식재산권 분쟁시 바람직한 대체적 분쟁해결 제도(ADR)"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287-297, 2015

      2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2)" 1992

      3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1)" 1992

      4 최은석, "북한의 저작권법과 남한에서의 북한 저작물 이용 및 쟁점" 법학연구소 11 (11): 231-266, 2009

      5 최경수, "북한 저작권법 및 남북간 저작권 분야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5

      6 "북한 저작권법"

      7 류중현, "방송과 저작권-뉴스·영화·드라마·생방송·광고" 커뮤니케이션북스 92-, 2014

      8 "남한 저작권법"

      9 최은석, "남북한 통일을 대비한 저작권법의 기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1

      10 이은정, "남북교류와 지적재산권의 보호, 남북교류와 관련한 법적 문제점(1)" 법원행정처 2002

      1 정문성, "지식재산권 분쟁시 바람직한 대체적 분쟁해결 제도(ADR)"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287-297, 2015

      2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2)" 1992

      3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대사전(1)" 1992

      4 최은석, "북한의 저작권법과 남한에서의 북한 저작물 이용 및 쟁점" 법학연구소 11 (11): 231-266, 2009

      5 최경수, "북한 저작권법 및 남북간 저작권 분야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5

      6 "북한 저작권법"

      7 류중현, "방송과 저작권-뉴스·영화·드라마·생방송·광고" 커뮤니케이션북스 92-, 2014

      8 "남한 저작권법"

      9 최은석, "남북한 통일을 대비한 저작권법의 기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1

      10 이은정, "남북교류와 지적재산권의 보호, 남북교류와 관련한 법적 문제점(1)" 법원행정처 2002

      11 김명기, "남북간 저작권 상호보호방안연구" 통일부 2002

      12 "www.unikorea.go.kr/content.do?cmsid=1557&mode=view&cid=12567"

      13 Tae-Yoon Park, "Protection South & North Korean Copyright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Law 2002

      14 Jae-Woong Lee, "A Study on Legal Issues with regard to the use of North Korean Work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Legal Studies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