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중이해관계자 관점에 근거한 지역사회 전체네트워크 효과성 분석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사회네트워크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네트워크 내 개별 조직의 연계활동이 아닌 네트워크 수준의 조직간 연계인 전체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2006년 1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3년에 걸쳐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후원하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가 관리 운영한 ‘지역사회네트워크지원사업’의 대상인 10개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 3개 사업단을 선정하여 사업수행 결과보고서를 포함한 관련자료와 설문조사(기관장, 중간관리자, 실무자 대상)를 통해 확보하였다. 분석을 위해 각 네트워크의 참여조직과 네트워크 사무국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조직간 네트워크의 전체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전체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다중이해관계자관점(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을 반영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참여조직과 네트워크 사무국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네트워크 참여 조직들은 핵심 기관을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는 전체적 구조를 보여주고, 네트워크가 안정적일수록 전체 네트워크의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네트워크 효과성 분석을 전체 네트워크 관점에서 시도하고, 개별조직, 네트워크수준, 지역사회수준의 다차원적인 다중이해관계자관점을 반영한 효과성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의 성격상 분석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후속 연구를 통해 검증을 시도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네트워크 내 개별 조직의 연계활동이 아닌 네트워크 수준의 조직간 연계인 전체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

      본 연구는 네트워크 내 개별 조직의 연계활동이 아닌 네트워크 수준의 조직간 연계인 전체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2006년 1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3년에 걸쳐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후원하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가 관리 운영한 ‘지역사회네트워크지원사업’의 대상인 10개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 3개 사업단을 선정하여 사업수행 결과보고서를 포함한 관련자료와 설문조사(기관장, 중간관리자, 실무자 대상)를 통해 확보하였다. 분석을 위해 각 네트워크의 참여조직과 네트워크 사무국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조직간 네트워크의 전체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전체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다중이해관계자관점(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을 반영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참여조직과 네트워크 사무국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네트워크 참여 조직들은 핵심 기관을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는 전체적 구조를 보여주고, 네트워크가 안정적일수록 전체 네트워크의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네트워크 효과성 분석을 전체 네트워크 관점에서 시도하고, 개별조직, 네트워크수준, 지역사회수준의 다차원적인 다중이해관계자관점을 반영한 효과성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의 성격상 분석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후속 연구를 통해 검증을 시도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whole network effectiveness by expanding the unit of analysis beyo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a network into network-level collaborative relations.
      Data for the analysis were drawn from the evaluation reports and surveys of leaders, mid-level managers, and staff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Community Network Building' project which was funded by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carried out by the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rom November 2006 to November 2009. For the analysis, three out of the 10 networks established in diverse local communit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on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the center organization of each network, we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t a network-level. Second, to analyze effectiveness of the whole network, we employed a 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whole network's structure and its effectivenes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whole network effectiveness is higher when the network is more centralized around the hub organization and more sta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provided and tested a new framework for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by combining the two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framework of Provan and Milward's with evolutionary organizational theor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whole network effectiveness by expanding the unit of analysis beyo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a network into network-level collaborative relations. Data for the analysis were drawn from the evaluation reports and sur...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whole network effectiveness by expanding the unit of analysis beyo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a network into network-level collaborative relations.
      Data for the analysis were drawn from the evaluation reports and surveys of leaders, mid-level managers, and staff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Community Network Building' project which was funded by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carried out by the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rom November 2006 to November 2009. For the analysis, three out of the 10 networks established in diverse local communit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on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the center organization of each network, we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t a network-level. Second, to analyze effectiveness of the whole network, we employed a 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whole network's structure and its effectivenes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whole network effectiveness is higher when the network is more centralized around the hub organization and more sta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provided and tested a new framework for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by combining the two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framework of Provan and Milward's with evolutionary organizational the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분석결과: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효과성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분석결과: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효과성
      • 5. 결론 논의 및 향후 연구 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