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또래상담자 훈련이 또래상담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Peer-Counseling Training on th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Peer Counsel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58725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Effects of Peer-Counseling Training on th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Peer Counselors

      • 형태사항

        ⅳ, 66 p.p. 26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안범희
        참고문헌 : p.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and prolonged impacts of peer-counseling training on th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peer-counseling trainees, as a peer-counseling program enabled elementary schoolers for whom peer relationship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and prolonged impacts of peer-counseling training on th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peer-counseling trainees, as a peer-counseling program enabled elementary schoolers for whom peer relationship wa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ociability, the fundamental qualities of peer counselor.
      After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on that theoretical base:
      1. An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goes training in peer counseling might show a better improvement in self-esteem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and that effect might remain the same six weeks later.
      2. An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goes training in peer counseling might show a better improvement in sociability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and that effect might remain the same six weeks lat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wo six-year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in Inje-gun, Gangweon province. The selected students wanted to become a peer counselor, and they were divided by lot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2 each.
      The peer-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s Peer-Counseling Program for School Children(Lee Sang-hee, et. al., 2003) that was utilized by schools. The sequential program was conducted in 11 sessions.
      A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in this study, which made a comparison of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self-esteem was Jeon Seung-bae(2000)'s Self-Esteem Inventory with 35 items, which modified Choi Bo-ga and Jeon Gui-yeon(1993)'s adapted inventory based on studies by Coopersmith(1967), et. al. As for sociability evaluation, Yang Chang-ho(1993)'s Sociability Inventory was employed, which included 40 items about five different areas to assess school children's soci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program, and ANCOVA was utiliz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effect of the peer-counseling training,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peer-counseling training on self- esteem,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osting the overall self- esteem of the students, and tha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at improving their general, social, school and home self-esteem as well, which were the subareas of self-esteem. Therefore that turned out to be an effective program.
      Second, as to the influence of the peer-counseling training on sociability,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sociability of the school children, and tha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at bolstering their diligence, independence, responsibility, law-abiding and cooperativeness as well, which were the subareas of sociability. Therefore the training turned out to be an effective program.
      Third, regarding the lasting impacts of the peer-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the school children scored a little less in the retention test than in the posttest when the retention test was implemented six weeks later, but the training effects turned out to last.
      Fourth, as for the prolonged influence on the peer-counseling program on sociability, they got a little lower scores in the retention test than in the posttest when the retention test was carried out six weeks later, but the training effects remained the sa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attained by enhancing th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the students and enabling them to fit into their peer group and establish a friend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us, the peer-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at bolstering self- esteem and sociability, and every school should try to provide a peer- counseling program for students to become peer counselors who are able to share the feelings of their friends who are at psychological crisis and to offer a helping hand to them. That should be conducted on a long- term basis so that many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it and learn to have successful interpersonal experiences in their elementary school days that are crucial for future peer relations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또래관계가 매우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생에게 또래상담자의 기본 자질인 자신의 올바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그 ...

      본 연구는 또래관계가 매우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생에게 또래상담자의 기본 자질인 자신의 올바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그 기술을 익히고 난 후 또래상담자 훈련이 참여자 자신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또래상담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또래상담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 될 것이며, 그 효과는 6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라는 가설과 함께 또래상담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또래상담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성이 향상될 것이며 그 효과는 6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인제군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학생 중에서 또래상담자를 지원한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제비뽑기를 이용하여 실험집단(12명)과 통제집단(12명)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은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 개발 연구하여 각 학교에 보급 운영하고 있는 교재 초등학생용 또래상담 프로그램(이상희 외, 2003)을 기본으로 하여 단계별 프로그램을 11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비교법을 적용하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설계를 채택하였으며, 측정도구로 자아존중감 검사는 자신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Coopersmith(1967)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번안하여 연구 개발하고 전승배(2000)가 수정·보완한 자아존중감 검사지(35문항)를 사용하였고, 사회성 검사는 양창호(1993)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측정도구로 제작한 5개 영역이 포함된 사회성 검사지(40문항)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또래상담자 훈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자 훈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전체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사회, 학교,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
      둘째, 또래상담자 훈련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전체 사회성과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근면성, 자주성, 책임감, 준법성, 협동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상담자 훈련이 자아존중감 향상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후검사보다는 약간 낮아졌으나 6주 후 추후검사에서 그 훈련효과는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상담자 훈련이 사회성 향상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후검사보다는 약간 낮아졌으나 6주 후 추후검사에서 그 훈련효과는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갖는 의미는 또래상담 훈련의 목적으로 했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향상으로 또래집단 내에서 각 개인이 사회적 적응을 잘 하고 긍정적 인간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였다는 것이다.
      학교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인 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또래상담자들을 양성하여 심리적 위기에 처해 있는 친구와의 감정을 공유하도록 하여 도움을 주도록 하고 또래상담자 자신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여 또래관계 형성에 중요한 초등학교시기를 학생들이 원만하게 지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3
      • Ⅱ. 이론적 배경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3
      • Ⅱ. 이론적 배경 = 6
      • 1. 또래상담의 개념 = 6
      • 2.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 = 8
      • 3. 자아존중감 = 10
      • 4. 사회성 = 12
      • 5. 선행연구 고찰 = 14
      • 6. 연구가설 = 16
      • Ⅲ. 연구 방법 = 17
      • 1. 연구대상 = 17
      • 2. 실험설계 = 17
      • 3. 실험 및 측정도구 = 18
      • 4. 실험절차 = 20
      • 5. 자료처리방법 = 21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2
      • Ⅴ. 논의 = 36
      • Ⅵ. 요약 및 결론 = 38
      • 1. 요약 = 38
      • 2. 결론 = 40
      • 참고문헌 = 42
      • Abstract =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