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인스타그램에 자녀의 사진을 공유하는 영유아 어머니 10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인스타그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58835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 2022. 2
2022
한국어
362.7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sharenting' experienc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 focused on instagram
viii, 94 p. : 삽화 ; 26cm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강지영
참고문헌 : p. 78-89
I804:11043-00000007025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인스타그램에 자녀의 사진을 공유하는 영유아 어머니 10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인스타그램 ...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인스타그램에 자녀의 사진을 공유하는 영유아 어머니 10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인스타그램 내 육아 계정들의 게시물을 살펴보았다. 일반적 질적연구방법에 따라 수집한 자료로 귀납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고, 8개의 중심주제와 20개의 범주, 3개의 영역을 발견하였다. 발견한 3개의 영역은 각각 ‘셰어런팅 톺아보기’, ‘셰어런팅 체험기’, ‘셰어런팅 조율하기’였고, 각 영역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셰어런팅이 아이를 주연으로 어머니가 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인스타그램은 하나의 육아 일기장이자 소통의 창구가 되고 있었다. 셰어런팅이 아동의 사진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행위임에도 그 안에서 아동의 목소리는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사진을 해석하고 게시하는 권리는 전적으로 어머니가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의 권리는 아동의 사진에 달리는 댓글에 반응하는 것으로까지 확장되어 아동이 가져야 할 감정과 반응까지 어머니가 대리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어머니들은 인스타그램 속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얻기도 하고 사회비교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사회적 지지 면에서 영유아 어머니들은 다른 어머니와의 소통을 통해 육아 초기의 고립감을 해소하기도 하고 육아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었다. 때로는 사회적 지지가 과부하에 이르러 부담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또 다른 어머니의 육아 방식을 보며 자신의 육아 방식을 비교, 평가하는 등 사회비교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셋째, 영유아 어머니들은 셰어런팅의 부정적인 면을 인식하고 나름대로 셰어런팅 패턴을 조절해가며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영유아 어머니들은 셰어런팅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있다는 것과 셰어런팅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당장 셰어런팅의 부작용을 크게 체감하지는 못했지만 위험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상세한 정보는 올리지 않는 등 나름의 기준을 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셰어런팅이 가지고 있는 명암(明暗)을 아동의 권리 측면과 어머니의 복지 측면에서 바라볼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 실천적 측면에서 아동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일 것과 어머니들의 사회적 지지원 마련의 필요성, 그리고 셰어런팅이 초래할 수 있는 범죄에 대한 경각심과 처벌 및 예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sharenting' experienc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mothers of young children who share photos of their children and from posts of sharenting accounts on Instagram. Us...
This study aims to reveal 'sharenting' experienc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mothers of young children who share photos of their children and from posts of sharenting accounts on Instagram. Using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uctive subject analysis and 8 central subjects, 20 categories, and 3 domains were found. The 3 domains were ‘examining sharenting’, ‘sharenting experiences’, and ‘adjusting sharen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arenting has been conducted in a way that when directed by the mother, starring children and Instagram has become a parenting diary and a window for communication. Even though photos of children were the medium of sharenting, it was difficult to find voices of children in sharenting and the mother had the right to interpret and post photos entirely. The mother's rights were extended to respond to comments posted on the children’s photos, which means the mother represented the emotions and reactions of the children.
Second, mothers of young children gained social support and experienced social comparison in a relationship on Instagram.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mother was relieved of the sense of isolation in the early stages of childca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 mothers and acquired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care. Sometimes, when social support became overloaded, the mother felt burdened and stressed. In addition, the mother experienced social comparison by comparing with other mothers and evaluating their own parenting skills.
Third, mothers of young children knew the negative effect of sharenting and kept their life balance through adjusting the sharenting pattern. The mothers already perceived that there were critics of sharenting and the negative effect that sharenting could bring. The mothers did not worry about the negative effect right away, but they set their own standards such as not posting detailed information in order to protect their children as they were aware of the risk of sharent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light and shade of sharenting in terms of children’s rights and mother’s welfare. In terms of the practical side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voices of children, to provide social support to mothers, and to enhance awareness, punishment and prevention of crimes that sharenting can lead to.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