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현장 적응 능력을 갖춘 우수한 기능 인력을 양성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즉 학교, 학생,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2144454
부산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공업교육전공 , 1995. 8
1995
한국어
376.7 판사항(4)
373.246 판사항(19)
부산
vi, 87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72-7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현장 적응 능력을 갖춘 우수한 기능 인력을 양성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즉 학교, 학생,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현장 적응 능력을 갖춘 우수한 기능 인력을 양성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즉 학교, 학생, 산업체에서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현장 실습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현장 실습 교육의 운영 실태와 1994~1997년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1998년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 실시하고자 하는 공고 2+1체제를 학교와 산업체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교사, 학생,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현장 실습의 실시 시기는 3학년 2학기부터, 기간은 현행 1~6개월을 3~6개월(최소 의무기간 3개월)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습 업체는 취업 가능성이 있고 시설과 수용 능력이 갖추어진 산업체만 선정하되 전공별 한 업체의 적정 파견 인원은 대기업 10명 이하, 중소기업 4명 이하가 이상적이다.
2. 실습생이 현장 적응을 못하고 귀교(이탈)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업체에서는 직무 조건을 개선하고 전공과 연계된 분야에 배치하며 인격적 대우를 해야 한다. 학교에서는 파견할 업체를 사전 답사하여 그 업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전 교육시 인성 교육에 중점을 두어 지도해야 한다. 학생은 산업 현장에 적응하려는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하고 인내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3. 학교와 산업체간에 인적·물적 교류를 확대하여 산업체에서는 기자재 및 설비를 실습용으로 기증하여 활용케 하고, 정부에서는 재정을 지원한 업체에 대해 세제 혜택을 주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산업 현장 인식의 폭을 넓히도록 현장 기술자 및 기업체 인사의 초청 강연을 수시로 실시해야 한다.
4. 현장 실습 중 발생하는 산업 재해에 대한 보상이 공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산업 재해 보험 혜택을 인정하거나 학교 안전 공제회에 보상 규정을 두어야 한다.
5. 현장 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통해 얻은 실습한 업체에 대한 직무 조건 등 다양한 정보(자료)를 매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차후 현장 실습 파견시 활용하도록 한다.
6. 공고의 교육 과정을 2+1체제로 개편하여 현장 실습 기간을 1년으로 전환하려는 목적을 현행 체제에서도 해결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므로 공고의 교육과정을 2+1체제로 개편할 필요성이 없다고 본다.
7. 2+1교육체제에 의한 1년간 현장 실습의 부정적 측면으로는 고도화된 산업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기초 교육이 2년간으로는 부족, 실습생을 수용할 산업체의 교육 시설 미비, 실습 현장에서의 생활 지도 및 진로 지도 문제, 현장 실습에 임하는 학생과 학교에 잔류하는 학생간의 교육 과정의 이원화 가능성, 실습 현장에서의 성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 문제,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을 선호하므로 실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그대로 지속될 가능성 등 많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2+1교육체제로의 교육 과정 개편은 신중히 재고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field practical practice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and to propose diverse schemes to remedy their existing problems. This thesis also made an attempt to survey extent of unders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field practical practice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and to propose diverse schemes to remedy their existing problems. This thesis also made an attempt to survey extent of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2+1 system, similar to the dual system in Germany, in school and industry which has been enforced to the model schools from 1994 to 1997 and will be spreaded throughout the county by stages from 1998.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mail survey from three groups, 258 third students, 142 teacher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and 122 persons concerned in industry. Questionnaire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existing knowledge, preliminary survey, and logical reasoning and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employed to test homogeneities and associations for responses of three groups.
From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various schemes are proposed for the starting time and length of practice period, number of trainees per company, problems to quit trainee's job by shortage of selfadjustment,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industry,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s, compensations for industry accid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etc. And the results from respondents in school and industry for the 2+1 system are negative on the whole, because of insufficient basic technical education in school and unpreparedness to receive it in industry.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formation of education system to convert the present professional practices into the 2+1 system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may be reconsidered deliberately. But it is yet premature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of which subjects are covered not by nationwide but by througout Pusan and Kyungsang-Nam-do districts. Further researches with larger sample size and also with more elaborated research methodology will be need to impr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