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 Min Jeong. 2015. The Study of meaning and function’s expansion of ‘Jom’ on the basis of multi-corpus. Korean Semantics, 49.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meaning and function’s expansion of ‘jom’which is a adverb of degree which re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32429
조민정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2015
Korean
‘Jom’ ; lexical meaning ; derived meaning ; implicature ; discourse marker ; function ; grammaticalization ; ‘좀’ ; 어휘적 의미 ; 변이의미 ; 함축상황 의미 ; 담화표지 ; 기능 ; 문법화
KCI등재
학술저널
1-32(32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 Min Jeong. 2015. The Study of meaning and function’s expansion of ‘Jom’ on the basis of multi-corpus. Korean Semantics, 49.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meaning and function’s expansion of ‘jom’which is a adverb of degree which rep...
Jo Min Jeong. 2015. The Study of meaning and function’s expansion of ‘Jom’ on the basis of multi-corpus. Korean Semantics, 49.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meaning and function’s expansion of ‘jom’which is a adverb of degree which represent speaker’s attitude about events. Basically its basic meaning is ‘a little’, but it has also ‘some degree’ in some data. And also it’s meaning changes across the data, ‘refusal’, ‘boast’, ‘reproach’, ‘discourse marker’, etc. This paper investigate those phenomenons by three tests which are a substitution of ‘jokum’, a possibility of deletion, a meaning change test.
Two meaning of ‘jom’ are controlled by a verb which is with ‘jom’ in the same clause. And ‘request’ is derived from a positive of ‘jom’ by honorific system, and it is advanced to ‘boast’ or admiration. While ‘refusal’ is derived from a negative by substitution ‘jokum’. ‘Jom’s a determiner which emphasize a preceding noun, an adverb phrase. It is used a discourse marker which presents the begin, middle, and close part of a discourse.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정수, "{좀}의 기능과 문법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 (7): 77-100, 2001
2 구종남, "화용 표지 ‘좀’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학회 41 : 411-434, 1998
3 정선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연구 : {글쎄}, {뭐}, {좀}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 월인 2003
5 유현경, "품사 통용어 ‘조금’의 사전적 처리 -용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23) : 205-231, 2014
6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2011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남길임, "텍스트 장르와 접미사의 사용 양상―‘-적’과 ‘-적’ 파생어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6 (6): 63-91, 2009
9 안주호, "축약형 담화표지 “좀/막”에 대한 연구" 한국사전학회 19 (19): 199-223, 2009
10 서상규, "정도부사에 대한 국어학사적인 조명과 그 분류에 대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8 : 219-267, 1991
1 목정수, "{좀}의 기능과 문법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 (7): 77-100, 2001
2 구종남, "화용 표지 ‘좀’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학회 41 : 411-434, 1998
3 정선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연구 : {글쎄}, {뭐}, {좀}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 월인 2003
5 유현경, "품사 통용어 ‘조금’의 사전적 처리 -용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23) : 205-231, 2014
6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2011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남길임, "텍스트 장르와 접미사의 사용 양상―‘-적’과 ‘-적’ 파생어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6 (6): 63-91, 2009
9 안주호, "축약형 담화표지 “좀/막”에 대한 연구" 한국사전학회 19 (19): 199-223, 2009
10 서상규, "정도부사에 대한 국어학사적인 조명과 그 분류에 대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8 : 219-267, 1991
11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2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연세 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3 남기심, "어휘 의미와 문법"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87 : 157-179, 1995
14 조민정, "신소설에 나타난 인성명사 형성 접미사의 특징에 대하여" 한국문학언어학회 (50) : 1-32, 2009
15 김선희, "부정 양태 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성" 한글학회 6 (6): 69-97, 2002
16 주경희, "대화에서의 ‘좀’의 기능" 국어국문학회 126 : 75-99, 2000
17 박혜선, "담화표지어 ‘좀’ 사용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7 (27): 29-52, 2011
18 송인성, "담화표지 {좀}의 기능과 형태적, 운율적 특성" 한국어학회 99-116, 2013
19 임지룡, "다의어의 인지적 의미 특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8) : 229-261, 1996
20 장소원, "국어 의문사 어휘의 실제적 용법 연구" 한국언어학회 23 (23): 691-708, 1998
21 구종남, "국어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통사 구조의 해석" 어문연구학회 72 : 5-34, 2012
22 고려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 출판부 2008
23 손세모돌, "‘좀’의 상황적 의미"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4 : 477-508, 1989
24 주경희, "‘좀’과 ‘조금’" 국어학회 36 : 379-399, 2000
25 주경희, "‘좀’ 문법화의 의미 화용론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43 (43): 433-453, 2004
26 임유종, "‘좀 / 조금’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학회 13 : 1081-1101, 1995
27 한정한, "‘조차’, ‘까지’, ‘마저’의 텍스트 의미" 한글학회 23 (23): 231-263, 2010
28 박재희,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 com - its Functions and Meanings -" 한국어학회 57 : 207-233, 2012
29 Lyons, J., "Semantics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30 Leech, G. N., "Principles of politeness" Longman 1983
31 Yule, G., "Prag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2 Brown, P,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33 Biber, D,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Longman 1999
34 Taylor, J. R., "Linguistic Categorization: Prototypes in Linguistic Theory" Clarendon Press 1995
35 Asher, N., "Lexical Meaning in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36 Bach, Kent, "Escaping the Speech Act Dilemma" JSTOR Archive 41 (41): 146-149, 1981
37 Bolinger, D., "Degree Words" Mouton 1972
38 배진영, "(말뭉치 기반) 구어·문어 통합문법기술 I –어휘부류" 박이정 2013
한국어 금지화행 전략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한국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전략 비교를 중심으로-
텍스트 구조 분석을 통한 한국어 장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논증형 글쓰기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0.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6 | 1.503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