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 of Housing Pover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1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case study examined children’s experience of housing poverty with the aim of informing social welfare policies to alleviate this problem. Previous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qualitative studies examining the seriousness of housing poverty in ...

      This case study examined children’s experience of housing poverty with the aim of informing social welfare policies to alleviate this problem. Previous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qualitative studies examining the seriousness of housing poverty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 However, to address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more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children’s experience. Therefore, we collected data from nine 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qualitatively. Consequently, we derived six thematic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The six thematic categories were “discomfort as normal,” “unsafe surrounding environment,” “hiding housing conditions due to shame,” “spending more time outside the home,” “becoming more mature compared to peers,” and “looking forward to better hous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아동의 주거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아동의 주거빈곤 연구는 대부분 양적연구를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아동의 주거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아동의 주거빈곤 연구는 대부분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미치는 심각성을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동 주거빈곤의 심각성과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당사자인 아동의 주거경험을 면밀하게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빈곤 9가구에 살고 있는 아동 9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인터뷰에서 16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6개 상위범주는 “불편함이 일상이 되어버림”, “주변이 안전하지 않음”, “숨기고 싶은 공간이 됨”, “집이 아닌 집밖에서 많은 시간을 보냄”, “일찍 철이 들어 버림”, “더 나은 공간을 기대함”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아동의 주거빈곤 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숙,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75-86, 2012

      2 김광혁, "한국 아동의 생존권:빈곤 및 가족, 주거 환경, 안전, 건강 및 의료의 실태 및 변화 추이"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1-39, 2010

      3 송아영, "포천시 비주택 거주 아동의 주거상향이동경험" 2019

      4 곽현근,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59-86, 2008

      5 최지은, "주거특성과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161-166, 2010

      6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의 권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7-30, 2019

      7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77-402, 2010

      8 김민희,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복지패널에서 활용한 최저주거기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임세희,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29-50, 2016

      10 임세희, "주거개선이 아동주거빈곤가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1 (51): 5-37, 2020

      1 최병숙,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75-86, 2012

      2 김광혁, "한국 아동의 생존권:빈곤 및 가족, 주거 환경, 안전, 건강 및 의료의 실태 및 변화 추이"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1-39, 2010

      3 송아영, "포천시 비주택 거주 아동의 주거상향이동경험" 2019

      4 곽현근,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59-86, 2008

      5 최지은, "주거특성과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161-166, 2010

      6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의 권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7-30, 2019

      7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77-402, 2010

      8 김민희,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복지패널에서 활용한 최저주거기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임세희,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29-50, 2016

      10 임세희, "주거개선이 아동주거빈곤가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1 (51): 5-37, 2020

      11 임세희, "아동주거빈곤가구의 주거 지원 후 삶의 질 변화"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287-319, 2019

      12 임세희, "아동주거빈곤가구 주거지원 효과성 연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주거지원을 중심으로" 아동복지연구소 1-327, 2020

      13 이봉주, "아동의 주거상태와 아동발달" 145 : 43-50, 2008

      14 우경연, "아동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극복개입방안" 1-110, 2016

      15 최은영, "아동의 미래, 집에서 시작합니다" 아동복지연구소 1-120, 2017

      16 김경호, "아동발달과 주택보장" 3 (3): 101-127, 1998

      17 임세희, "아동기 주거빈곤기간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9 : 301-318, 2016

      18 송이수, "아동과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85-196, 2020

      19 고주애, "아동 주거빈곤 정책 마련을 위한 탐색적 연구" 7 (7): 77-85, 2016

      20 김용창,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대한지리학회 48 (48): 509-532, 2013

      21 권지성, "사회복지조직 관리자의 갈등관리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1 (11): 215-246, 2009

      22 이용우, "사회복지사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사회복지사의 위험 경험과 변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2 (12): 97-126, 2018

      23 김진희, "빈곤, 주거환경, 이웃환경과 청소년발달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85-411, 2011

      24 윤수경, "도시빈민지역 아동의 생활실태 및 복지사업의 문제점, 취학 전 아동을 중심으로" 13 : 20-51, 1989

      25 조준용,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82-196, 2020

      26 홍인옥, "노후불량주택개량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70 : 70-86, 2004

      27 임세희,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복지 성과 차이"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75-101, 2018

      28 임세희, "공공임대주택거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5-30, 2013

      29 Leventhal, T., "The Neighborhoods They Live in, The Effects of Neighborhood Residence on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126 (126): 309-337, 2000

      30 Eamon, M. K., "Structural model of the effects of poverty o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of four-to five-year-old children" 24 (24): 143-154, 2000

      31 Gagné, L. G., "Housing, neighbourhoods and development outcomes of children in Canada" 32 (32): 275-300, 2006

      32 Marsh, A., "Housing deprivation and health, a longitudinal analysis" 15 (15): 411-428, 2000

      33 Shaw, M., "Housing and public health" 25 : 397-418, 2004

      34 Lubell, J., "Framing the issues—the positive impacts of affordable housing on health" 34 : 1-34, 2007

      35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1981

      36 Boyden, J., "Child develop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Lessons and future challenges" Young Lives 2012

      37 Harker, L., "Chance of a lifetime, the impact of bad housing on children’s lives"

      38 김순규, "2020년 아동주거권보장사업 집다운 집으로 연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북종합사회복지관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