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방하남, "한국노동패널 특집/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23 : 133-154, 2000
2 전명숙, "학령기 아동을 키우는 전일제 취업모들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1 : 282-282, 2013
3 이윤석,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회 33 (33): 1-31, 2010
4 이희정,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긍정적 정서와 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33 (33): 25-41, 1995
5 심지양, "취업기혼남녀의 일-생활균형요인과 관련요인분석" 246-247, 2010
6 김리진,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38 (38): 47-58, 2000
7 박신아,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 여성노동자의 직업 지위 차이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성국,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67-275, 2017
9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2017
10 김종성,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1 방하남, "한국노동패널 특집/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23 : 133-154, 2000
2 전명숙, "학령기 아동을 키우는 전일제 취업모들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1 : 282-282, 2013
3 이윤석,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회 33 (33): 1-31, 2010
4 이희정,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긍정적 정서와 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33 (33): 25-41, 1995
5 심지양, "취업기혼남녀의 일-생활균형요인과 관련요인분석" 246-247, 2010
6 김리진,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38 (38): 47-58, 2000
7 박신아,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 여성노동자의 직업 지위 차이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성국,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67-275, 2017
9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2017
10 김종성,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11 김지현,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조옥희,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13 송유미,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27-61, 2011
14 유계숙,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8 (18): 111-125, 2012
15 송다영, "일과 가족 양립을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 7-33, 2008
16 이은희, "일과 가족 갈등의 통합모형 : 선행변인, 결과변인과의 관계" 19 (19): 1-42, 2000
17 손제희,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아동양육 취업여성의 근로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미취학아동양육 취업여성과 취학아동양육 취업여성 집단비교" 한국생활과학회 23 (23): 421-441, 2014
18 통계청, "일 가정 양립지표 보도자료"
19 장영은,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63-72, 2011
20 이자명, "워킹맘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서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대안적 사고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1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22 김경희,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333-362, 2009
23 이선아,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4 이현송,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3 (23): 91-117, 2000
25 가영희,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163-186, 2006
26 金賢華,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 성역할 정체감과 내외통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2
27 류연지,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6
28 하민지, "보육서비스 이용이 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서울시 지역아동센터 이용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 (20): 231-256, 2010
29 박주희,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역할갈등, 배우자지지 자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9 (19): 41-62, 2015
30 김혜신,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31 김소정,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의 통합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7 (47): 161-185, 2016
32 손영빈, "맞벌이 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만족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지원의 조절효과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29-60, 2009
33 원영희, "동, 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15 : 97-116, 1995
34 권태연,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2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63-196, 2009
35 임효창,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4 (34): 1417-1443, 2005
36 김현동, "기혼여성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 33-67, 2011
37 강혜련,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연구" 6 (6): 23-42, 2001
38 김성경, "기혼 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3) : 69-94, 2011
39 류임량,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전이(work-to-family spillover)에 대한 연령계층별 차이 연구" 한국여성연구소 9 (9): 119-156, 2009
40 하오령,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 건강과 역할 만족도-역할 갈등, 완벽주의 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675-696, 2006
41 권순원,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299-329, 2013
42 안미양,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결혼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43 심세연, "근로자의 직장-가정 전이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44 이옥순,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45 이요행,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8 (18): 639-657, 2005
46 박주희, "가족친화적 생활환경만족도와 역할만족도 및 역할긴장도가 기혼 취업남녀의 결혼생활향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187-210, 2012
47 박주희,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요소가 유자녀 기혼남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거주환경 만족도, 가족지원시설만족도, 가족지원 프로그램만족도, 양육 및 교육환경 만족도, 생활환경 정보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8 (28): 53-66, 2010
48 홍승아, "가족친화 인증제 운영의 기업업종별 특수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49 유계숙,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한국가족학회 19 (19): 35-60, 2007
50 김영선, "가족기업 종사자의 일-가족갈등 및 직업만족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223-239, 2005
51 박주희, "가족과 일" 도서출판, 하우 2003
52 Fujimoto, T.,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for employed husbands and wives in Japan : Moderating roles of self and spousal role involvement" 8 : 135-162, 2014
53 Grzywacz, J. G., "Work, family, and mental health: Testing different models of work‐family fit" 65 (65): 248-261, 2003
54 Ford, M.,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92 (92): 57-80, 2007
55 Spitze, G., "Women's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595-618, 1988
56 Grover, S., "Who appreciates family-responsive human resource policies :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organizational attachment of parent and nonparents" 48 : 271-288, 1995
57 Greenhaus, J. H.,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31 (31): 72-92, 2006
58 Haddock, S. A., "Therapists' approaches to the normative challenges of dual-earner couples: Negotiating outdated societal ideologies" 13 (13): 91-120, 2002
59 Campbell, A.,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Mcgraw-Hill 1981
60 Wardsworth, L. L.,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67 (67): 75-87, 2007
61 Park, J.,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 changes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43 (43): 571-591, 2000
62 Galinsky, E., "The corporate reference guide to work-family programs" Families and Work Institute 1991
63 Hochschild, A., "The Second Shift" Avon Books 1999
64 Abendroth, A. K., "Support for the work-life balance in Europe: The impact of state, workplace and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25 (25): 234-256, 2011
65 Greenhaus, J. H.,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10 (10): 76-88, 1985
66 Medley, M. L.,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ears and older : A causal model" 31 (31): 448-455, 1976
67 Edwards, J. R.,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25 : 178-199, 2000
68 Eaton, S. C., "If you can use them : Flexibility polic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42 : 145-167, 2003
69 Anderson, S. E., "Formal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informal workplace practices : Links to workfamily conflict and job-related outcomes" 28 (28): 787-810, 2002
70 Allen, T. D.,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58 (58): 414-435, 2001
71 Voydanoff, P., "Consequences of boundary-spanning demands and resources for work-to-family conflict and perceived stress" 10 (10): 491-, 2005
72 Ezra, M., "Balancing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Flextime and Child Care in the Federal Government" 56 (56): 174-179, 1996
73 Frone, M. R.,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77 (77): 65-78, 1992
74 McNall, L. A.,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family enrichment" 25 (25): 381-396, 2010
1인가구 근로자의 식사 관련 시간 분석 : 다인가구와의 비교 및 성별ㆍ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건강가정ㆍ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버지참여 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8-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3-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 |
2005-03-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 of KFRMA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4 | 1.44 | 1.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 | 1.36 | 1.709 | 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