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9세기의 ‘가사’ 향유 양상과 20세기에 이왕직 아악부가 전승하고자 노력한 가사쟝르의 연행양상을 이습회의 음악회 프로그램을 통해 정리할 것이다. 이와 함께 20세기 전반기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세기의 ‘가사’ 향유 양상과 20세기에 이왕직 아악부가 전승하고자 노력한 가사쟝르의 연행양상을 이습회의 음악회 프로그램을 통해 정리할 것이다. 이와 함께 20세기 전반기에 ...
이 글은 19세기의 ‘가사’ 향유 양상과 20세기에 이왕직 아악부가 전승하고자 노력한 가사쟝르의 연행양상을 이습회의 음악회 프로그램을 통해 정리할 것이다. 이와 함께 20세기 전반기에 편찬된 여러 가집 내용을 통해 민간에서의 가사 향유 양상을 고찰해 볼 것이다. 특히 20세기 전반기에 편찬된 가집에는 ‘12가사’라는 명칭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이왕직아악부의 하규일, 임기준 전승 12가사라는 범주설정과 전혀 다른 현실이 작동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이는 가사가 ’12‘라는 숫자에 갇혀 있지 않았고, 지난 날에 가사라는 음악은 매우 역동적인 장르로 존재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그와 같은 다양한 양상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ill organize the aspects of enjoying ‘Kasa’ in the 19th century and the aspects of performing the genre of Kasa that the Yiwangjik Aakpu tried to pass down in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concert program of Yisŭphoe. In addition, th...
This article will organize the aspects of enjoying ‘Kasa’ in the 19th century and the aspects of performing the genre of Kasa that the Yiwangjik Aakpu tried to pass down in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concert program of Yisŭphoe. In addition, the aspects of enjoying kasa among the people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contents of various anthologies compil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particular, the term ‘12 Kasa’ is not used at all in the anthologies compil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dicating that a completely different reality is operating from the category setting of 12 Kasa transmitted by Ha Kyu-il and Im Ki-jun of the Yiwangjik Aakpu. This implies that kasa was not confined to the number ‘12’ and that in the past, kasa music existed as a very dynamic genr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discuss such various aspects.
국악사 양성소와 국립국악고등학교의 초창기 여성 거문고 연주자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