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래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ong-Focused Program 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437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6.85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75 p. ; 26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수지
        참고문헌 : p.59-66

      • 소장기관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과 음악 활동 안에서 표현된 내용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상자 선정은 서울시에 소재한 D재활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중에서 발병 2년 이내인 60세 이상 75세 미만의 환자 6명을 대상으로 그룹 음악치료를 시행하였다. 시행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매 회기마다 약 50분간 총 14회기가 시행 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가 직접 노래를 부르고 가사와 연주를 완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첫 번째,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대상자의 재활동기척도 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의 시행에 있어 사전, 사후 재활동기척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두 번째, 대상자의 언어표현 내용을 분석한 결과 14회기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재활동기와 관련된 대상자들의 긍정적인 언어표현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세 번째, 음악치료 활동 안에서 보여지는 대상자들의 음악활동 모습은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변화되었고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대상자들의 노래 부르는 모습과 목소리의 크기, 자세, 악기 연주하기 등의 음악활동 모습 또한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직접 만든 노래가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의 감정들이 반영되었으며, 재활에 대한 의지가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자들은 노래를 부르고 연주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타인에게 표현하고 장애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있었으며, 성공적인 과제 수행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자존감의 향상은 물론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과 음악 활동 안에서 표현된 내용...

      본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과 음악 활동 안에서 표현된 내용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상자 선정은 서울시에 소재한 D재활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중에서 발병 2년 이내인 60세 이상 75세 미만의 환자 6명을 대상으로 그룹 음악치료를 시행하였다. 시행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매 회기마다 약 50분간 총 14회기가 시행 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가 직접 노래를 부르고 가사와 연주를 완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첫 번째,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대상자의 재활동기척도 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노래중심 음악치료 활동의 시행에 있어 사전, 사후 재활동기척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두 번째, 대상자의 언어표현 내용을 분석한 결과 14회기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재활동기와 관련된 대상자들의 긍정적인 언어표현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세 번째, 음악치료 활동 안에서 보여지는 대상자들의 음악활동 모습은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변화되었고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대상자들의 노래 부르는 모습과 목소리의 크기, 자세, 악기 연주하기 등의 음악활동 모습 또한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직접 만든 노래가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의 감정들이 반영되었으며, 재활에 대한 의지가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자들은 노래를 부르고 연주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타인에게 표현하고 장애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있었으며, 성공적인 과제 수행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자존감의 향상은 물론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ng-focused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Inclusion criteria of participants was 1) less than 2 years of first-time stroke attack, 2) the age range between 60 and 75, and 3) the completion of consent forms. A total of six participants was selected at D hospital in Seoul. The 50-minut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weekly for 7 weeks. Throughout the sessions, spontaneous participation was encouraged by the research and participants' verbal and musical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each session was completed. Patient Questionnaire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PAREMO) and audio recordings of sessions were used.
      Statistical analysis found tha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of PAREMO. Analysis of audio data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positive verbal expression and emotional affects were increased demonstrated by active involvement in playing instruments or improved voice projection during singing. In addition, it seemed that participants' positive internal changes were reflected in words completed by participants. Overa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mood induction was yielded after the completion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nd singing and song-writing incorporated with instrument playing may facilitate stroke patients' pos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al ch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ng-focused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Inclusion criteria of participants was 1) less than 2 years of first-time stroke attack, 2) the age range between 60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ng-focused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Inclusion criteria of participants was 1) less than 2 years of first-time stroke attack, 2) the age range between 60 and 75, and 3) the completion of consent forms. A total of six participants was selected at D hospital in Seoul. The 50-minut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weekly for 7 weeks. Throughout the sessions, spontaneous participation was encouraged by the research and participants' verbal and musical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each session was completed. Patient Questionnaire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PAREMO) and audio recordings of sessions were used.
      Statistical analysis found tha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of PAREMO. Analysis of audio data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positive verbal expression and emotional affects were increased demonstrated by active involvement in playing instruments or improved voice projection during singing. In addition, it seemed that participants' positive internal changes were reflected in words completed by participants. Overa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mood induction was yielded after the completion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nd singing and song-writing incorporated with instrument playing may facilitate stroke patients' pos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al change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 문제 = 5
      • C. 용어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7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 문제 = 5
      • C. 용어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7
      • A. 뇌졸중 = 7
      • 1. 뇌졸중의 개념 및 원인 = 7
      • 2. 뇌졸중의 증상 및 예후 = 8
      • B. 뇌졸중 환자의 재활과 재활동기 = 11
      • 1. 뇌졸중 환자의 재활 = 11
      • 2.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 12
      • C. 재활동기 향상을 위한 음악 치료적 접근 = 13
      • 1. 뇌졸중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 13
      • 2. 노래 중심 음악치료 = 15
      • 3. 노래 중심활동과 치료적 접근 = 16
      • Ⅲ. 연구방법 = 21
      • A. 연구대상 = 21
      • 1. 대상 선정 = 21
      • 2. 대상자의 배경 정보 및 특성 = 22
      • B. 측정도구 = 24
      • 1. 재활동기 척도 = 24
      • C. 연구 설계 및 절차 = 24
      • 1. 연구 기간 = 24
      • 2. 연구 설계와 방법 = 24
      • 3. 연구 절차 = 25
      • D. 음악치료 프로그램 = 26
      • 1. 프로그램의 구성 = 26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 A. 양적 결과 분석 = 29
      • 1. 대상자들의 재활동기 사전, 사후 비모수 검정 = 29
      • 2. 대상자별 사전, 사후 재활동기척도 점수 변화 = 29
      • B. 질적 결과 분석 = 33
      • 1. 재활동기에 관한 언어적 반응 내용분석 = 33
      • 2. 재활동기에 관한 음악적 반응 내용분석 = 43
      • Ⅴ. 결론 및 논의 = 53
      • A. 결론 = 53
      • B. 논의 = 55
      • 참고문헌 = 59
      • Abstract = 67
      • 부록 =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