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金東里 文學의 佛敎的 想像力 硏究 -對稱性 사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uddhistic Imagination of Kim Dong Ri Literature -Focusing on Symmetry Thou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2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ation on relation of Buddhism and Kim Dong Ri up to now has focused on exploration of relation in terms of material and application of concept of Buddhism into works. Explanation on borrowing of Buddhistic theme such as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samsara), previous life, punitive justice, belief and offering to Buddha is the concrete case.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feature of view of the world that ap- peared in the novel of Kim Dong Ri based on the study performance up to now, with regard to Buddhism. For this purpose, we’ll examine Buddhistic imagination found in Kim Dong Ri literatur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ymmetry suggested by Claude Lévi-Strauss and Nakajawa Shinichi. Core of Kim Dong Ri literature can be summarized into “Research on Form of essential Life and Overcoming”. “Research on Form of essential Life and Overcoming” is to recognize that there is organic relation between us and the world and to identify the fact that common destiny is granted with regard to this. “Common destiny found in organic relation” referred to by Kim Dong Ri is connected to the way that Buddihism thinks the entity and the whole as the symmetric thought. It was 「Seolgeo」 in 3 pieces(「Solgeo」(<Jokwang>, Aug. 1937), 「Ingyeoseol」(<Joseon Daily>, Dec. 8~24, 1938), 「Wan- miseol」(<Sentence>, Nov. 1939)) when Kim, Dong Ri showed Buddhistic thought in novel. This 3-piece novel describes big descriptive stream con- nected from non-symmetric thought to symmetric thought, and persistent trace of non-symmetric thought of the mundane world that could not be resolved. Narration of 「Seolgeo」 3 pieces shows ‘from non-symmetry to symmtry(「Bulhwa」)’-‘non-symmtry(Jeongwon)’-‘Symmetry(「Wanmiseol」)’ with regard to symmetric thought. 「Deongshinbul」(<Sasanggye>, Nov. 1961) directly shows basic position on Buddhism of author as clearly shown in the title or theme. The process that the hero, Manjeok in 「Deongshinbul」, became Deongshinbul is the process of attaining Buddhahood and attaining the world of complete symmetry beyond the non-symmetric thought. 「Kachi- sori」(『Modern Culture』, Oct. 1966) can be also understood with regard to symmetry. In this work, direct symmetric relation is established between nature and nature, human and nature, human and human. However, 「Kachi- sori」 is transcendental and mechanic different from previous work with regard to symmetry. The reason why behavior of Bongsu who murdered Youngsook, listening to the sound of magpie, despite several foreshadow and suggestion, seemed to be not persuasive, is the result that view of the world of the author is directly applied, which thinks that the world is based on symmetry, omitting the drama of the reality where symmetry and non- symmetry are connected. If that so, the Buddhistic thought may expose more complete form in the work, but the literary impression may reduce relatively. This problem of 「Kachisori」 can be also found in 「Snowy After- noon」(<Monthly Jungang>, Apr. 1969) and 「Jeseongsae」(<Korean Literature>, Dec. 1977) created after that.
      번역하기

      Examination on relation of Buddhism and Kim Dong Ri up to now has focused on exploration of relation in terms of material and application of concept of Buddhism into works. Explanation on borrowing of Buddhistic theme such as eternal cycle of birth, d...

      Examination on relation of Buddhism and Kim Dong Ri up to now has focused on exploration of relation in terms of material and application of concept of Buddhism into works. Explanation on borrowing of Buddhistic theme such as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samsara), previous life, punitive justice, belief and offering to Buddha is the concrete case.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feature of view of the world that ap- peared in the novel of Kim Dong Ri based on the study performance up to now, with regard to Buddhism. For this purpose, we’ll examine Buddhistic imagination found in Kim Dong Ri literatur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ymmetry suggested by Claude Lévi-Strauss and Nakajawa Shinichi. Core of Kim Dong Ri literature can be summarized into “Research on Form of essential Life and Overcoming”. “Research on Form of essential Life and Overcoming” is to recognize that there is organic relation between us and the world and to identify the fact that common destiny is granted with regard to this. “Common destiny found in organic relation” referred to by Kim Dong Ri is connected to the way that Buddihism thinks the entity and the whole as the symmetric thought. It was 「Seolgeo」 in 3 pieces(「Solgeo」(<Jokwang>, Aug. 1937), 「Ingyeoseol」(<Joseon Daily>, Dec. 8~24, 1938), 「Wan- miseol」(<Sentence>, Nov. 1939)) when Kim, Dong Ri showed Buddhistic thought in novel. This 3-piece novel describes big descriptive stream con- nected from non-symmetric thought to symmetric thought, and persistent trace of non-symmetric thought of the mundane world that could not be resolved. Narration of 「Seolgeo」 3 pieces shows ‘from non-symmetry to symmtry(「Bulhwa」)’-‘non-symmtry(Jeongwon)’-‘Symmetry(「Wanmiseol」)’ with regard to symmetric thought. 「Deongshinbul」(<Sasanggye>, Nov. 1961) directly shows basic position on Buddhism of author as clearly shown in the title or theme. The process that the hero, Manjeok in 「Deongshinbul」, became Deongshinbul is the process of attaining Buddhahood and attaining the world of complete symmetry beyond the non-symmetric thought. 「Kachi- sori」(『Modern Culture』, Oct. 1966) can be also understood with regard to symmetry. In this work, direct symmetric relation is established between nature and nature, human and nature, human and human. However, 「Kachi- sori」 is transcendental and mechanic different from previous work with regard to symmetry. The reason why behavior of Bongsu who murdered Youngsook, listening to the sound of magpie, despite several foreshadow and suggestion, seemed to be not persuasive, is the result that view of the world of the author is directly applied, which thinks that the world is based on symmetry, omitting the drama of the reality where symmetry and non- symmetry are connected. If that so, the Buddhistic thought may expose more complete form in the work, but the literary impression may reduce relatively. This problem of 「Kachisori」 can be also found in 「Snowy After- noon」(<Monthly Jungang>, Apr. 1969) and 「Jeseongsae」(<Korean Literature>, Dec. 1977) created after th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金東里와 佛敎의 關聯性을 밝히는 것은 素材的 차원에서의 반영 관계를 찾거나, 상식화 된 佛敎 개념이 작품 속에 적용되는 樣相을 탐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輪廻前生, 因果應報, 燒身供養 등의 佛敎的 소재 借用을 밝힌 것이 그 구체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金東里 소설에 나타난 세계관의 특징을 佛敎와 관련시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레비 스트로스와 나까자와 신이치 등이 주장한 對稱性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金東里 문학에 나타난 佛敎的 想像力을 살펴볼 것이다. 金東里 문학관의 핵심은 말할 것도 없이, ‘究竟的 생의 형식의 探究와 그 打開’로 요약된다. ‘究竟的 생의 형식의 탐구’는 ‘우리와 天地 사이에 有機的 관련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共通된 運命이 부여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을 말한다. 金東里가 말하는 ‘有機的 관련 속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운명’이야말로 對稱性 사고로서의 佛敎가 個體와 全體를 생각하는 방식과 연결되어 있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金東里와 佛敎의 關聯性을 밝히는 것은 素材的 차원에서의 반영 관계를 찾거나, 상식화 된 佛敎 개념이 작품 속에 적용되는 樣相을 탐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輪廻前生, 因果應...

      지금까지 金東里와 佛敎의 關聯性을 밝히는 것은 素材的 차원에서의 반영 관계를 찾거나, 상식화 된 佛敎 개념이 작품 속에 적용되는 樣相을 탐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輪廻前生, 因果應報, 燒身供養 등의 佛敎的 소재 借用을 밝힌 것이 그 구체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金東里 소설에 나타난 세계관의 특징을 佛敎와 관련시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레비 스트로스와 나까자와 신이치 등이 주장한 對稱性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金東里 문학에 나타난 佛敎的 想像力을 살펴볼 것이다. 金東里 문학관의 핵심은 말할 것도 없이, ‘究竟的 생의 형식의 探究와 그 打開’로 요약된다. ‘究竟的 생의 형식의 탐구’는 ‘우리와 天地 사이에 有機的 관련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共通된 運命이 부여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을 말한다. 金東里가 말하는 ‘有機的 관련 속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운명’이야말로 對稱性 사고로서의 佛敎가 個體와 全體를 생각하는 방식과 연결되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83-, 1995

      2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175-, 1995

      3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282-, 1995

      4 金東里, "金東里 전집" 민음사 72-73, 1997

      5 유철상, "환멸의 낭만주의와 예술가 소설의 한 양상 - 김동리의 <솔거>연작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35) : 227-250, 2005

      6 정영길, "현대문학이론연구" 231-254, 1997

      7 서 광, "치유하는 불교 읽기" 불광출판사 26-27, 2012

      8 金東里, "정원"

      9 金東里, "완미설"

      10 레비 스트로스, "야생의 사고" 한길사 91-, 1996

      1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83-, 1995

      2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175-, 1995

      3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282-, 1995

      4 金東里, "金東里 전집" 민음사 72-73, 1997

      5 유철상, "환멸의 낭만주의와 예술가 소설의 한 양상 - 김동리의 <솔거>연작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35) : 227-250, 2005

      6 정영길, "현대문학이론연구" 231-254, 1997

      7 서 광, "치유하는 불교 읽기" 불광출판사 26-27, 2012

      8 金東里, "정원"

      9 金東里, "완미설"

      10 레비 스트로스, "야생의 사고" 한길사 91-, 1996

      11 데이비드 J, "붓다는 무엇을 말했나-불교철학의 역사적 분석" 한길사 71-, 2011

      12 金東里, "불화"

      13 방민화,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5 (15): 23-40, 2010

      14 金東里, "불교와 나의 작품"

      15 가와이 하야오, "불교가 좋다" 동아시아 18-23, 2007

      16 金東里, "밥과 사랑과 그리고 영원" 사사연 116-, 1985

      17 金東里, "문학하는 것에 대한 사고"

      18 金東里, "나를 찾아서" 민음사 1997

      19 金東里, "꽃과 소녀와 달과" 제삼기획 24-, 1994

      20 홍기돈, "김동리의 구경적(究竟的) 삶과 불교사상의 무(無) ―김동리 소설 읽기ㆍ2―" 인간학연구소 (25) : 145-168, 2013

      21 방민화, "김동리의 <미륵랑>에 나타난 화랑과 미륵신앙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97-214, 2009

      22 방민화, "김동리 연작소설의 불교적 접근 - 선(禪)을 통해서 본 운명 대응 방식 연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2 (12): 51-68, 2007

      23 임영봉, "김동리 소설의 구도적 성격 ―불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4) : 341-371, 2008

      24 이찬, "김동리 소설 「솔거」 연작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8) : 209-237, 2008

      25 허련화, "김동리 불교소설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5) : 427-455, 2008

      26 나까자와 신이치, "對稱性 인류학" 동아시아 170-, 2005

      27 나까자와 신이치, "對稱性 인류학" 동아시아 209-, 2005

      28 신정숙, "“구경적(究竟的) 생의 형식”과 인간 구원의 문제 -김동리 「솔거」 연작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183-21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