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83-, 1995
2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175-, 1995
3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282-, 1995
4 金東里, "金東里 전집" 민음사 72-73, 1997
5 유철상, "환멸의 낭만주의와 예술가 소설의 한 양상 - 김동리의 <솔거>연작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35) : 227-250, 2005
6 정영길, "현대문학이론연구" 231-254, 1997
7 서 광, "치유하는 불교 읽기" 불광출판사 26-27, 2012
8 金東里, "정원"
9 金東里, "완미설"
10 레비 스트로스, "야생의 사고" 한길사 91-, 1996
1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83-, 1995
2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175-, 1995
3 金東里, "金東里전집" 민음사 282-, 1995
4 金東里, "金東里 전집" 민음사 72-73, 1997
5 유철상, "환멸의 낭만주의와 예술가 소설의 한 양상 - 김동리의 <솔거>연작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35) : 227-250, 2005
6 정영길, "현대문학이론연구" 231-254, 1997
7 서 광, "치유하는 불교 읽기" 불광출판사 26-27, 2012
8 金東里, "정원"
9 金東里, "완미설"
10 레비 스트로스, "야생의 사고" 한길사 91-, 1996
11 데이비드 J, "붓다는 무엇을 말했나-불교철학의 역사적 분석" 한길사 71-, 2011
12 金東里, "불화"
13 방민화,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5 (15): 23-40, 2010
14 金東里, "불교와 나의 작품"
15 가와이 하야오, "불교가 좋다" 동아시아 18-23, 2007
16 金東里, "밥과 사랑과 그리고 영원" 사사연 116-, 1985
17 金東里, "문학하는 것에 대한 사고"
18 金東里, "나를 찾아서" 민음사 1997
19 金東里, "꽃과 소녀와 달과" 제삼기획 24-, 1994
20 홍기돈, "김동리의 구경적(究竟的) 삶과 불교사상의 무(無) ―김동리 소설 읽기ㆍ2―" 인간학연구소 (25) : 145-168, 2013
21 방민화, "김동리의 <미륵랑>에 나타난 화랑과 미륵신앙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97-214, 2009
22 방민화, "김동리 연작소설의 불교적 접근 - 선(禪)을 통해서 본 운명 대응 방식 연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2 (12): 51-68, 2007
23 임영봉, "김동리 소설의 구도적 성격 ―불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4) : 341-371, 2008
24 이찬, "김동리 소설 「솔거」 연작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8) : 209-237, 2008
25 허련화, "김동리 불교소설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5) : 427-455, 2008
26 나까자와 신이치, "對稱性 인류학" 동아시아 170-, 2005
27 나까자와 신이치, "對稱性 인류학" 동아시아 209-, 2005
28 신정숙, "“구경적(究竟的) 생의 형식”과 인간 구원의 문제 -김동리 「솔거」 연작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183-21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