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Macrocyclic trichothecene toxins exert anti-melanoma activity through ER stress-mediated apoptosis in mouse melanoma ce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91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crocyclic trichothecene toxins (MTTs) were extracted from Podostroma cornu-damae, a deadly poisonous mushroom. Although these compounds have been known to possess antifungal, antiviral, and anticancer activities, their anti-melanoma activity has not been reported. Therefore, in this study, anti-cancer activity of MTTs against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their underlying mechanisms were examined. The isolated compounds (P1−13) were evaluated for cytotoxicity against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P1 (Roridin E, R) and P5 (Satratoxin H, S) exhibited a significant cytotoxicity and reduced cell proliferation. They elevated the expression of Bax and cleaved caspase-3. They also increas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cytotoxicity caused by R and S was attenuated after scavenging ROS with glutathione (GSH). In the Autodock analysis, R and S showed high binding affinity with ribosome, indicating their binding to ribosome. R and S upregulated the levels of ER stress biomarkers and activated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IRE1, PERK, ATF6). In addition, they induc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d caused caspase-dependent apoptosis following ER stress response.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 and S can trigger ER stress-mediated apoptosis in melanoma cells, suggesting that they could be introduced as an anti-melanoma strategy.
      번역하기

      Macrocyclic trichothecene toxins (MTTs) were extracted from Podostroma cornu-damae, a deadly poisonous mushroom. Although these compounds have been known to possess antifungal, antiviral, and anticancer activities, their anti-melanoma activity has not...

      Macrocyclic trichothecene toxins (MTTs) were extracted from Podostroma cornu-damae, a deadly poisonous mushroom. Although these compounds have been known to possess antifungal, antiviral, and anticancer activities, their anti-melanoma activity has not been reported. Therefore, in this study, anti-cancer activity of MTTs against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their underlying mechanisms were examined. The isolated compounds (P1−13) were evaluated for cytotoxicity against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P1 (Roridin E, R) and P5 (Satratoxin H, S) exhibited a significant cytotoxicity and reduced cell proliferation. They elevated the expression of Bax and cleaved caspase-3. They also increas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cytotoxicity caused by R and S was attenuated after scavenging ROS with glutathione (GSH). In the Autodock analysis, R and S showed high binding affinity with ribosome, indicating their binding to ribosome. R and S upregulated the levels of ER stress biomarkers and activated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IRE1, PERK, ATF6). In addition, they induc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d caused caspase-dependent apoptosis following ER stress response.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 and S can trigger ER stress-mediated apoptosis in melanoma cells, suggesting that they could be introduced as an anti-melanoma strate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붉은 사슴뿔 버섯에서 추출한 대환식 트리코테신 독소 13종을 스크리닝한 결과, Roridin E, Satratoxin H에서 암세포(B16F10)에 대한 유의미한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사멸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항산화제인 GSH(Glutathione)을 처리하였을 때 트리코테신에 의해 증가하였던 활성산소가 감소하였고, 세포 생존능이 회복되었다. 따라서 활성산소가 트리코테신의 세포사멸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트리코테신의 독성은 세포 내 리보솜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분자 모델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리보솜과 트리코테신이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트리코테신의 세포사멸에 관여하는지 확인했을 때,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소포체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비-접힘 단백질 반응 중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PERK, ATF4의 mRNA 발현이 트리코테신에 의해 증가하였다. 세포사멸 시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를 매개하는 세포질 내 칼슘 농도 또한 트리코테신에 의해 증가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탈분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해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Bax, Bcl-2, cleaved caspase3)을 확인했을 때 트리코테신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남을 확인했다.
      트리코테신에 의한 세포 독성은 정상 멜라닌 세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선택적으로 흑색종 세포에서만 나타났다. 따라서 트리코테신에 의한 항-흑색종 효과를 시사한다.
      번역하기

      붉은 사슴뿔 버섯에서 추출한 대환식 트리코테신 독소 13종을 스크리닝한 결과, Roridin E, Satratoxin H에서 암세포(B16F10)에 대한 유의미한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사멸을 유도하는데 중요...

      붉은 사슴뿔 버섯에서 추출한 대환식 트리코테신 독소 13종을 스크리닝한 결과, Roridin E, Satratoxin H에서 암세포(B16F10)에 대한 유의미한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사멸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항산화제인 GSH(Glutathione)을 처리하였을 때 트리코테신에 의해 증가하였던 활성산소가 감소하였고, 세포 생존능이 회복되었다. 따라서 활성산소가 트리코테신의 세포사멸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트리코테신의 독성은 세포 내 리보솜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분자 모델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리보솜과 트리코테신이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트리코테신의 세포사멸에 관여하는지 확인했을 때,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소포체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비-접힘 단백질 반응 중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PERK, ATF4의 mRNA 발현이 트리코테신에 의해 증가하였다. 세포사멸 시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를 매개하는 세포질 내 칼슘 농도 또한 트리코테신에 의해 증가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탈분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해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Bax, Bcl-2, cleaved caspase3)을 확인했을 때 트리코테신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남을 확인했다.
      트리코테신에 의한 세포 독성은 정상 멜라닌 세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선택적으로 흑색종 세포에서만 나타났다. 따라서 트리코테신에 의한 항-흑색종 효과를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3
      • List of Abbreviations 4
      • Abstract 5
      • 1. Introduction 7
      • 2. Materials and Methods 9
      • List of Figures 3
      • List of Abbreviations 4
      • Abstract 5
      • 1. Introduction 7
      • 2. Materials and Methods 9
      • 2.1 Cell culture 9
      • 2.2 Cell viability assay 9
      • 2.3 Edu Incorporation Assay 10
      • 2.4 BrdU Assay 10
      • 2.5 Flou-4 Ca2+ Influx assay 10
      • 2.6 DCF-DA assay 11
      • 2.7 Annexin V & PI staining 11
      • 2.8 MitoSox 12
      • 2.9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12
      • 2.10 Western blotting analysis 12
      • 2.11 Molecular docking Analysis 13
      • 2.12 Statistical Analysis 13
      • 3. Results 15
      • 3.1 Roridin E and Satratoxin H promote apoptosis in B16 mouse melanoma cells. 15
      • 3.2 Roridin E and Satratoxin H induce ER stress by binding to ribosome in B16 mouse melanoma cells. 19
      • 3.3 Roridin E and Satratoxin H cause ROS mediated apoptosis in B16 mouse melanoma cell. 23
      • 3.4 Roridin E and Satratoxin H trigger ER stress-mediated apoptosis in B16 mouse melanoma cell. 26
      • 4. Discussion 30
      • References 34
      • 논문요약 (국문) 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