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9월까지 경상남도 남해군의 목도(부도)와 고성군의 윗대호섬 등 2개의 특정도서에서 솔개(Milvus migrans)의 번식이 직·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목도(부도)는 곰솔나무로만 산림이 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06729
2023
Korean
번식 ; 솔개 ; 특정도서 ; BLACK KITE ; BREEDING ; Milvus migrans ; SPECIFIC ISLAND
KCI등재
학술저널
185-189(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22년 5월~9월까지 경상남도 남해군의 목도(부도)와 고성군의 윗대호섬 등 2개의 특정도서에서 솔개(Milvus migrans)의 번식이 직·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목도(부도)는 곰솔나무로만 산림이 형...
2022년 5월~9월까지 경상남도 남해군의 목도(부도)와 고성군의 윗대호섬 등 2개의 특정도서에서 솔개(Milvus migrans)의 번식이 직·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목도(부도)는 곰솔나무로만 산림이 형성된 식생이었으며, 윗대호섬은 곰솔나무와 억새(Miscanthus sinensis), 솜대(Phyllostachys nigra),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잔털벚나무(Prunus serrulata) 군락이 형성된 산림이 형성되어 있었다. 목도(부도)와 윗대호섬은 곰솔나무 군락의 산림이 형성되어 있으며, 둥지도 15m 이상의 곰솔나무 기둥의 약 11m~13m 지점에 위치하고 있었다. 직접적으로 번식이 확인된 목도(부도)에서는 둥지 내에 부화 후 약 4주가 된 새끼새 2개체가 관찰되었다. 윗대호섬에서는 번식모습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7월에 먹이를 들고 상공을 배회하는 성조의 모습이나 이소한 어린새의 모습으로 번식을 유추하였다. 솔개는 과거에 번식이 기록된 바는 있으나, 정확한 문헌 및 사진 자료는 확인되지 않으며, 오랜기간 동안 공식적으로 솔개에 대한 번식 및 서식지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본 보고사례를 통해서 멸종위기종인 솔개의 서식지 보호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번식 현황과 도서 지역의 환경을 분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lack Kite (Milvus migrans) breeding was directly and indirectly confirmed on two islands, Mokdo (Budo) Island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and Whitdaeho Island in Goseong-gun from May to September 2022 in South Korea. Mokdo (Budo) has a forest ha...
Black Kite (Milvus migrans) breeding was directly and indirectly confirmed on two islands, Mokdo (Budo) Island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and Whitdaeho Island in Goseong-gun from May to September 2022 in South Korea. Mokdo (Budo) has a forest habitat only consisting of the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However, Whitdaeho Island consist of a distribution of Japanese black pine, Eulalia grass (Miscanthus sinensis), Black bamboo (Phyllostachys nigra), and Korean hornbeam (Carpinus turczaninowii). Both Mokdo (Budo) and Whitdaeho Islands contain a forest formed by a colony of Japanese black pine, where the Black Kite nests were located approximately 11 to 13 m from a pine tree that is over 15 m tall. In Mokdo (Budo), where breeding was confirmed directly, two chicks were observed approximately four weeks after hatching in the nest. Although breeding was not directly confirmed on Whitdaeho Island, their breeding can be inferred from the appearance of adult birds carrying food or observing a fledged chick near their nest in July. While Black Kite breeding has been recorded in the past, accurate literature and photographic data have not been documented, no official reports on their breeding or habitat have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This case report analyzes the breeding status and environment of island areas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species, the Black Kite.
종간 둥지 탈취로 발생한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Parus varius)의 혼합 육추 사례
기러기류(Anser spp.)의 이동 특성에 따른 서식처 연결성 분석
문헌 및 시민과학 자료 분석에 기반한 국내 야생조류의 먹이식물 목록화
경남 지역 양비둘기-집비둘기 잡종화 현황과 잡종형의 형태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