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을 고려한 멀티링크 현가장치의 VTL 기반 입력하중 저감 설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819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친환경고안전자동차전공,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29.229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VTL-based Input Load Reduction Design of Multi-link Suspension Considering Ride and Handling Performance

      • 형태사항

        vi, 6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허승진
        참고문헌 : p. 63-64

      • UCI식별코드

        I804:11014-200000010370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컴퓨터 기술 발전됨에 따라 차량 개발 과정에서 가상 시험 기법이 승차감, 조종안정성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내구분야에도 여러 가상 시험기법이 시도되어 내구 품질을 확보하고 있다.
      실제 차량의 내구 성능은 내구로 주행 등의 실험을 거쳐 평가된다.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내구 해석은 실제와 같은 시험조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VTL(Virtual Testing Laboratory)은 기존 차량의 내구로 주행시험을 통해 계측된 휠 하중을 개발 차량의 현가장치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내구 성능을 예측한다. 하지만 차체를 구속하고 가상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차체가 구속되지 않은 실제 차량과 같은 시험 조건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스템 규명 기법을 적용하여 VTL 가상 시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규명은 차량 현가장치 모델을 수학적 함수로 근사하고 실차 시험 결과를 만족시키는 휠 하중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휠 하중을 개발 차량의 현가장치 모델에 적용하여 개발 차량 부품의 입력하중을 예측하게 되고 내구 성능을 평가하게 된다.
      또한 제시된 내구 시험 기법을 차량 개발 과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현가장치 최적설계를 진행하였다. 승차감, 조종안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ISO 규정된 시험 기법과 평가 방법들을 활용하였고,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은 유지하면서 내구 성능이 향상된 최적의 현가장치 모델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컴퓨터 기술 발전됨에 따라 차량 개발 과정에서 가상 시험 기법이 승차감, 조종안정성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내구분야에도 여러 가상 시험기법이 시도되어 내구...

      컴퓨터 기술 발전됨에 따라 차량 개발 과정에서 가상 시험 기법이 승차감, 조종안정성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내구분야에도 여러 가상 시험기법이 시도되어 내구 품질을 확보하고 있다.
      실제 차량의 내구 성능은 내구로 주행 등의 실험을 거쳐 평가된다.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내구 해석은 실제와 같은 시험조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VTL(Virtual Testing Laboratory)은 기존 차량의 내구로 주행시험을 통해 계측된 휠 하중을 개발 차량의 현가장치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내구 성능을 예측한다. 하지만 차체를 구속하고 가상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차체가 구속되지 않은 실제 차량과 같은 시험 조건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스템 규명 기법을 적용하여 VTL 가상 시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규명은 차량 현가장치 모델을 수학적 함수로 근사하고 실차 시험 결과를 만족시키는 휠 하중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휠 하중을 개발 차량의 현가장치 모델에 적용하여 개발 차량 부품의 입력하중을 예측하게 되고 내구 성능을 평가하게 된다.
      또한 제시된 내구 시험 기법을 차량 개발 과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현가장치 최적설계를 진행하였다. 승차감, 조종안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ISO 규정된 시험 기법과 평가 방법들을 활용하였고,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은 유지하면서 내구 성능이 향상된 최적의 현가장치 모델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virtual test techniques are applied in many fields such as ride comfort, handling, etc. In recent years, several virtual test techniques have been tried in the durability field of vehicles to ensure the quality of durability.
      The durability of an actual vehicle i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such as running on the road. And the durability analysis in the virtual space needs to be done under the actual test conditions. The proposed VTL (Virtual Testing Laboratory) predicts the durability performance by applying the wheel load measured by the running test of the existing vehicle to the suspension model of the developed vehicle. However, as the vehicle body is restrained and the virtual test progresses, the vehicle body will not have the same test conditions as the unrestricted actual vehicl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TL virtual test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System identification approximates the vehicle suspension model with a mathematical function and generates wheel loads that satisfies the actual vehicle test results.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proposed durability test method to the vehicle development process, the optimum design of a suspens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sider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we used the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specified test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and we derived an optimal suspension model with improved durability while maintaining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번역하기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virtual test techniques are applied in many fields such as ride comfort, handling, etc. In recent years, several virtual test techniques have been tried in the durability field of vehicles to ensure the quality of dura...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virtual test techniques are applied in many fields such as ride comfort, handling, etc. In recent years, several virtual test techniques have been tried in the durability field of vehicles to ensure the quality of durability.
      The durability of an actual vehicle i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such as running on the road. And the durability analysis in the virtual space needs to be done under the actual test conditions. The proposed VTL (Virtual Testing Laboratory) predicts the durability performance by applying the wheel load measured by the running test of the existing vehicle to the suspension model of the developed vehicle. However, as the vehicle body is restrained and the virtual test progresses, the vehicle body will not have the same test conditions as the unrestricted actual vehicl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TL virtual test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System identification approximates the vehicle suspension model with a mathematical function and generates wheel loads that satisfies the actual vehicle test results.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proposed durability test method to the vehicle development process, the optimum design of a suspens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sider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we used the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specified test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and we derived an optimal suspension model with improved durability while maintaining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내용 2
      • 2.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 평가 3
      • 2.1 샤시 모델 3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내용 2
      • 2.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 평가 3
      • 2.1 샤시 모델 3
      • 2.2 승차감 평가 5
      • 2.3 핸들링 평가 9
      • 2.3.1 스텝 조향 9
      • 2.3.2 정상상태 원 선회 13
      • 3. Virtual Testing Laboratory 17
      • 3.1 개요 17
      • 3.2 VTL 기법 19
      • 3.2.1 주파수 응답함수 기반 시스템 모델링 21
      • 3.2.2 Drive Signal 생성 24
      • 3.2.3 반복기법 기반 수정된 Drive Signal 생성 25
      • 3.3 VTL 적용 26
      • 3.3.1 VTL 시험 환경 26
      • 3.3.2 VTL 검증 28
      • 3.4 내구 성능 평가
      • 4. 설계 변수 및 민감도 분석 34
      • 4.1 설계 변수 34
      • 4.1.1 하드포인트 34
      • 4.1.2 고무 부싱 36
      • 4.1.3 스프링 & 댐퍼 40
      • 4.1.4 민감도 분석 41
      • 5. 현가 장치 최적 설계 48
      • 5.1 메타 모델 구성 48
      • 5.2 최적 설계 정식화 49
      • 5.3 최적 설계 결과 50
      • 5.3.1 설계 변수 51
      • 5.3.2 승차감 성능 53
      • 5.3.3 핸들링 성능 54
      • 5.3.4 내구 성능 56
      • 6. 결론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